KR200335089Y1 -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89Y1
KR200335089Y1 KR20-2003-0029571U KR20030029571U KR200335089Y1 KR 200335089 Y1 KR200335089 Y1 KR 200335089Y1 KR 20030029571 U KR20030029571 U KR 20030029571U KR 200335089 Y1 KR200335089 Y1 KR 200335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liquid
storage container
liquid storage
outflow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성
Original Assignee
송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성 filed Critical 송태성
Priority to KR20-2003-0029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의 유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병에 관한 것으로서,이 병은 (1)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2)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중공 형상의 마개 체결부와, (3)상기 액체 저장 용기 본체 또는 마개 체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마개 체결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 (4) 상기 마개 체결부에 체결 가능하고 내측에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부가 계지(係止; engagement)되는 계지 돌기를 포함하는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마개와 마개 체결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주름부가 연장되어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Liquid Container Having Member for Changing Outlet Direction}
본 고안은 유출 방향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 저장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주름관을 제공하여 액체를 유출시킬 때 유출 방향으로 여러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페트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는 캔과 같은 같은 용기에 담아 유통되는데 특히 1.5 리터 이상의 대용량의 액체는 페트(PET)병에 담겨져서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액체 저장 용기는 그 안에 담겨있는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기울여야 했다. 이처럼 액체가 담겨져 있는 상태의 무거운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수반되었고, 또한 급작스럽게 많은 양의 액체가 유출됨으로써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액체가 헛되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액체 저장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액체 저장 용기의 주둥이 부분에 액체 저장 용기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의 유출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액체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 저장 용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 저장 용기에 마개가 체결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마개와 마개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서 마개를 위로 이동시킬 때 주름부가 연장해 가는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주름부를 연장시킨 후 마개를 제거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주름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킨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체 저장 용기 본체 20: 마개 체결부
30: 유출 방향 변경 부재 31: 고정부
33: 통로 35: 주름부
37: 계지홈 40: 마개
43: 나사부 45: 계지 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기는, (1)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2)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중공 형상의 마개 체결부와, (3)상기 액체 저장 용기 본체 또는 마개 체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마개 체결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 (4) 상기 마개 체결부에 체결 가능하고 내측에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부가 계지(係止; engagement)되는 계지 돌기를 포함하는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마개와 마개 체결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주름부가 연장되어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액체 저장 용기 마개를 개방하여 액체 저장 용기 본체의 액체가 유출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 마개를 따라 연장하여 나온 주름부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꺽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액체 저장 용기 전체를 많이 기울이지 않고 약간만 기울이더라도 액체 저장 용기 본체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체 저장 용기과 같은 불편함이 제거된다. 그리고 액체를 손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개 체결부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개 체결부와 마개는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을 하여 체결과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 방향 변경 부재의 고정부는 융착에 의하여 병 본체 또는 마개 체결부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1)의 일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 용기(1)는 액체 등이 저장되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와, 마개 체결부(20)와,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와, 마개(40)를 포함한다. 액체는 음용할 수 있는 음료가 될 수도 있고, 엔진 오일 등과 같이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액체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마개 체결부(20)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의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통상(筒狀) 부재이다. 마개 체결부(20)의 내측을 통해 액체 저장 용기(1)에 액체를 넣거나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유출시켜 음용할 수 있다.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는 고정부(31)와, 이 고정부로부터 연장하는 주름부(35)를 포함하는데,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내측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는 마개 체결부(20)의 내측 벽면에 접합되어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진동 융착이나, 회전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측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계지홈(37)이 제공된다. 마개(40)의 내측에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계지홈(37)에 계지 가능한 계지돌기(45)가 제공된다. 계지 돌기(45)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탄성은, 마개(40)의 계지 돌기(45)가 계지홈(37)에 계지(engagement)된 상태에서 마개(40)를 상부로 당겼을 때에 계지 상태가 유지되어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주름부(35)를 소정 길이만큼 연장시킬 수 있으며, 마개(40)를 어느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계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계지 돌기(45)가 탄성 변형되고, 마개(40)를 어느 이상의 힘으로 밀면 다시 계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계지 돌기(45)가 계지홈(37)으로 밀려 들어가 걸리는 범위의 값을 가진다.
도 2에는 마개(40)가 마개 체결부(20)에 체결되어 액체 저장 용기(1)가 밀봉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계지 돌기(45)가 마개(40)의 내측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마개(40)의 내측 둘레 전체에 걸쳐 계지 돌부(45)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주름부(35)는 수축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마개(40)와 마개 체결부(20)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연장되어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부(35)의 가요성은 정상 상태에서는 주름부(35)의 연장 상태가 유지되지만 소정의 힘 이상을 가하여 주름부(35)를 절곡시키면 절곡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한편, 마개(40)의 내측과 마개 체결부(20)의 외측에는 각각 나사부(43)와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에 대해 나사 결합한다.
도 3에는 마개(40)를 돌려서 마개 체결부(20)와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개(40)를 돌려서 화살표 A방향으로 위로 이동시키면, 마개(40)의 내측 계지 돌부(45)에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계지홈(37)이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부(35)도 늘어나면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그 길이도 연장되게 된다.
도 4에는 주름부(35)가 완전히 늘어나서 연장한 상태에서 마개(40)가 제거된 상태 즉 제1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40)를 소정의 힘 이상으로 잡아 당기면 계지 돌기(45)와 계지홈(37)과의 계지 상태가 해제된다.
도 5에는 도 4의 상태에서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에 힘을 가해 그 방향을 오른쪽으로 변경시킨 상태 즉 제2 상태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주름부(35)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 유출되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체 음용이 종료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의 주름부(35)를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시키고,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단부에 마개(40)를 끼운 후 일정한 힘을 가하여, 마개(40)의 계지 돌기(45)와 유출 방향 변경 부재(30)의 계지홈(37)을 계지 상태로 한 후, 마개(40)를 액체 저장 용기 본체(10) 방향으로 눌른 후 다시 마개 체결부(20)와 나사 결합 상태로 하면, 액체 저장 용기(1)은 다시 밀봉 상태로 된다.
본 고안은 PET 병, 유리병 등 그 종류를 가리지 아니하고 적용이 가능하며, 액체 저장 용기의 종류에 의해 그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 저장 용기의 상부를 통해 액체가 유출되는 기술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는 액체 저장 용기의 상부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대해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에 의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에 의하면, 액체 저장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의 유출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용기 내의 액체를 따르거나 마실 때에 많은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를 포함하며 액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상기 액체 유입 및 유출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통상(筒狀)의 마개 체결부와,
    상기 액체 저장 용기 본체 또는 마개 체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마개 체결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내측에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와,
    상기 마개 체결부에 체결 가능하고 내측에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부가 계지(係止; engagement)되는 계지 돌기를 포함하는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는, 수축되어 있을 때의 제1 상태와, 상기 마개와 마개 체결부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연장되어 액체의 유출 방향 변경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체결부는 액체 저장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체결부와 마개는 나사 결합을 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병 본체 또는 마개 체결부에 융착 접합되는,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KR20-2003-0029571U 2003-09-18 2003-09-18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KR200335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71U KR200335089Y1 (ko) 2003-09-18 2003-09-18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71U KR200335089Y1 (ko) 2003-09-18 2003-09-18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89Y1 true KR200335089Y1 (ko) 2003-12-06

Family

ID=4934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571U KR200335089Y1 (ko) 2003-09-18 2003-09-18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132B1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fitment spout and valve
US9056699B2 (en) Pouring spout for container
CA2455448C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US7823756B2 (en) Alternative flexible gate restrictors
CA2979827C (en) Dispensing systems for containers
KR970042110A (ko) 포개질 수 있는 유출 스포우트 조립체(Nestable pouring spout assembly)
US7040499B1 (en) Container with primary closure and a secondary closure
WO2006095649A1 (ja) 注ぎ口器具及び容器
US20200216230A1 (en) Pouring Spout Fitment for Flexible Container
US11325755B2 (en) Pouring spout fitment for flexible container
CA2111832A1 (en) Toggle closure which permits uninterrupted glug-free pouring from resiliently deformable container
KR200335089Y1 (ko)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 용기
WO1997031836A1 (en) Closure with a collapsible funnel
JPH0642984Y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EP1862395A1 (en) Condiment dispenser with collapsible spout
MXPA03002883A (es) Sistema de orientacion positiva para cierres y recipientes.
WO2015041528A1 (en) Closing element
US5964376A (en) Inverted bottle support and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thereof
BR112019006131B1 (pt) Unidade de fechamento, parede para um recipiente e recipiente
KR200339393Y1 (ko) 유출 방향 변경 부재를 내장하는 액체 저장 용기
JP4294242B2 (ja) 蓋部を開いた状態に固定可能にした液体注出容器
KR100541339B1 (ko) 유출방향 변경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용 마개 체결부재 및 그러한 마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덮개 조립체
JP2009001286A (ja) 蓋付き注出栓
US6186375B1 (en) Push-pull spou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