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89Y1 -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 Google Patents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89Y1
KR200334889Y1 KR20-2003-0024898U KR20030024898U KR200334889Y1 KR 200334889 Y1 KR200334889 Y1 KR 200334889Y1 KR 20030024898 U KR20030024898 U KR 20030024898U KR 200334889 Y1 KR200334889 Y1 KR 200334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support
head
support
ne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의
Original Assignee
홍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의 filed Critical 홍창의
Priority to KR20-2003-0024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도록 천소재를 박음질하여 형성된 튜브형태의 목지지부; 상기 목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접되되, 상기 목지지부에 비해 내경이 작은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머리지지부; 및 상기 목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충전물을 종입하도록 상기 목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목지지부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가 봉제선에 의해 구획되어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걸맞게 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Pillow structure for supporting neck and head simultaneously}
본 고안은 인체의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에 걸맞도록 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우수한 통기성과 건강증진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베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인체의 중요 부분인 머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면을 기준으로 그 높이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두뇌에 대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이며, 목이나 척추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져서 숙면을 취하기 어렵고, 심지어 두통을 유발하거나 피로를 누적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된 침구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베개를 들 수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목베개에는 머리지지부(2)와, 상기 머리지지부(2)에 인접하되, 목 부분의 굴곡에 상응하여 돌출된 목지지부(1)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베개는 사용시 머리와 목을 동시에 지탱하게 되므로 통상의 베개에 비해 목에 가해지는 압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베개는 보통 스폰지와 같은 화학소재를 성형하여 머리지지부(2)와 목지지부(1)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이며, 그 형태가 고정적이고, 강성에 의해 용이하게 접을 수 없으므로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베개는 쿠션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시 머리와 목이 베개의 쿠션속으로 묻히게 되어, 특히 여름철에는 머리와 목에 통풍이 원활하지 못해 땀이 차게 되고 심한 경우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을 동시에 지지하되, 충전물의 양을 간편히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에 걸맞게 그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베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머리를 차게 유지하는 등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주는 베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옆으로 누울 경우에도 이에 걸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목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측면도.
도 4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측면도.
도 4d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목지지부 15...봉제선
20...머리지지부 16,31...개폐부재
30...충전물 포켓 35...충전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베개구조는,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도록 천소재를 박음질하여 형성된 튜브형태의 목지지부; 상기 목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접되되, 상기 목지지부에 비해 내경이 작은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머리지지부; 및 상기 목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충전물을 종입하도록 상기 목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목지지부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가 봉제선에 의해 구획되어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는, 내부공간에 충전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목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에 종입되는 충전물 포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물로는 메밀이 바람직하게 채용되고, 대안으로 메밀, 숯, 콩, 박하, 쑥 및/또는 옥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목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복수개가 상호 연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목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다가 다시 내경이 커지도록 복수개가 상호 연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목지지부에 비해 내경이 작은, 서로 동일한 내경의 제1머리지지부 및 제2머리지지부와, 상기 목지지부에 비해 내경이 작고, 상기 제1머리지지부 및 제2머리지지부에 비해 내경이 큰 제3머리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는, 상기 머리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목지지부와 대칭되는 또다른 목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목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의 단부를 따라 연장된 지퍼와, 상기 지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통상적인 두 겹의 천소재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인체의 목부분에 상응하는 튜브형태의 목지지부(10)와, 상기 목지지부(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접되어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머리지지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는 박음질에 따른 봉제선(15)을 통해 상호 구획되는데, 이에 따라 인접하는 지지부(10,20) 사이에는 골(도 3의 17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목지지부(10)는 충전물을 수용하도록 중공을 갖는 튜브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튜브형태'라 함은 속이 비고 긴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횡단면이 반드시 정원형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머리지지부(20)는 상기 목지지부(10)와 나란하도록 연접되되, 목 부분의 굴곡을 고려하여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갖는 튜브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호 인접하며 배열될 수 있다.
도 4a는 상기 도 3의 변형예로서, 상기 목지지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복수개의 머리지지부(20)를 구비하여, 상기 봉제선(15)에 의해 형성된 골(17)을 통한 통풍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에는, 상기 목지지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다가 다시 커지도록 복수개의 머리지지부(20)를 배열하여 머리 부분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목과 머리 부분을 보다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는 베개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는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은 제1머리지지부(20a)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고, 상기 제1머리지지부(20a)에 비해 내경이 큰 제2머리지지부(20b)로 이루어진 머리지지부(20)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은, 서로 동일한 내경의 제1머리지지부(20-1) 및 제2머리지지부(20-2)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으나, 상기 제1머리지지부(20-1) 및 제2머리지지부(20-2) 보다는 내경이 큰 제3머리지지부(20-3)로 이루어지도록 머리지지부(20)가 구성됨으로써 인체의 목과 머리 윤곽선에 상응하여 보다 안정적이고도 자연스럽게 목과 머리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지지부(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목지지부(10)와 대칭되는 또 다른 목지지부(10')를 구비하여 방향에 무관하게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의 수용공간에는 충전물(35)이 수용되어 베개형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인체의 목과 머리를 지탱한다. 이러한 충전물(35)은 직접적으로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의 수용공간에 충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의 단부를 통해 종입되는 충전물 포켓(30) 내에 수납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 내에 구비된다. 이러한 충전물 포켓(30)은, 특히 하기와 같이 그 입경이 작은 충전물(35)의 수납을 위해 매우 실용적인데, 선택적으로 상기 충전물(35)을 수납하도록 상기 충전물 포켓(30)의 단부에는 통상의 지퍼(31a)와, 이에 상응하여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파스너(31b)로 이루어진 개폐부재(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물(35)로는 머리를 차게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메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밖에 숯, 콩, 박하, 쑥 또는 옥이나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물(35)은 상기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에 대해서 서로 다른 종류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물(35), 또는 충전물(35)이 수용된 충전물 포켓(30)을 선택적으로 상기 목지지부(10) 및 머리지지부(20)의 수용공간에 종입하도록 상기 목지지부(10) 및 머리지지부(20)의 단부에는 개폐부재(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6)는 각각의 충전물 수용공간에 상응하여 독립적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의 단부를 일체로 개폐하는단일의 개폐부재(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6)로는, 상기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의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구비된 통상의 지퍼(16a)와, 이에 상응하여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파스너(16b)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폐구조가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구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체의 목 부분에 상응하는 목지지부(10)와, 이에 연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머리지지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에는 각각 충전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메밀 등 건강에 이로운 충전물(35)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충전물(35)의 양을 가감하면 상기 목지지부(10) 및 머리지지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충전물 수용공간은 박음질에 따른 봉제선(15)에 의해 구획되므로 자연스럽게 인접하는 목지지부(10) 및 복수의 머리지지부(20) 사이에 골(17)이 형성되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나아가서는 베개 자체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충전물 수용공간은 단일의 파스너(16b)를 통해 일괄적으로 개폐되는데, 파스너(16b)를 개방한 후 희망하는 충전물(35)이 수용된 충전물 포켓(30)을 상기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 단부를 통해 종입하면 간편히 충전물(35)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분의 굴곡에 상응하도록 목지지부(10)를 위치시킨 상태로 머리지지부(20)에 머리를 올려 놓으면 내부 충전물(35)에 의해 머리가 차게 유지됨과 동시에 목과 머리의 각 부분들이 자연스럽고도 균형있게 지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에 걸맞게, 각각의 봉제선(15)에 의해 형성된 골(17) 부분을 접어서 베개를 높이면 지면에 어깨부분이 압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목과 머리 부분에 상응하는 각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충전물을 종입함으로써 지지부가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목으로부터 머리까지 연장되는 신체 각 부분에 상응하여 서로 다른 종류나 양의 충전물을 구비할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걸맞는 최적의 베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는 충전물 포켓이 구비되므로 메밀 등과 같이, 입경은 작으나 머리와 목 부분에 이로운 효과를 제공하는 친환경적인 충전물을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충전물 수용공간이 봉제선을 통해 구획되므로 자연스럽게 골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접어서 베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인체의 목과 머리 부분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에 있어서,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도록 천소재를 박음질하여 형성된 튜브형태의 목지지부(10);
    상기 목지지부(1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접되되,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은 충전물 수용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머리지지부(20); 및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의 수용공간에 선택적으로 충전물을 종입하도록 상기 목지지부(10)와 머리지지부(20)의 단부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목지지부(10) 및 각각의 머리지지부(20)가 봉제선(15)에 의해 구획되어 골(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충전물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목지지부(10) 및 머리지지부(20)에 종입되는 충전물 포켓(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로서 메밀이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로서 메밀, 숯, 콩, 박하, 쑥 및/또는 옥이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가, 상기 목지지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면서 복수개가 상호 연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가, 상기 목지지부(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작아지다가 다시 내경이 커지면서 복수개가 상호 연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은 제1머리지지부(20a)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고, 상기 제1머리지지부(20a)에 비해 내경이 큰 제2머리지지부(2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은, 서로 동일한 내경의 제1머리지지부(20-1) 및 제2머리지지부(20-2)와,
    상기 목지지부(10)에 비해 내경이 작고, 상기 제1머리지지부(20-1) 및 제2머리지지부(20-2)에 비해 내경이 큰 제3머리지지부(2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목지지부(10)와 대칭되는 또 다른 목지지부(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6)가,
    상기 목지지부(10) 및 머리지지부(20)의 단부를 따라 연장된 지퍼(16a)와, 상기 지퍼(16a)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파스너(1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구조.
KR20-2003-0024898U 2003-08-01 2003-08-01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KR200334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98U KR200334889Y1 (ko) 2003-08-01 2003-08-01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98U KR200334889Y1 (ko) 2003-08-01 2003-08-01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89Y1 true KR200334889Y1 (ko) 2003-12-06

Family

ID=4934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98U KR200334889Y1 (ko) 2003-08-01 2003-08-01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647B1 (ko) * 2021-03-25 2021-08-17 주식회사 대명하이텍 다단 가변형 베개
KR102629601B1 (ko) * 2022-12-28 2024-01-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경추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647B1 (ko) * 2021-03-25 2021-08-17 주식회사 대명하이텍 다단 가변형 베개
KR102629601B1 (ko) * 2022-12-28 2024-01-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경추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136B2 (en) Restorative head and neck pillow
US7788750B2 (en) Multi-function cervical pillow
US20020050007A1 (en) Cervical pillow for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e
US5163194A (en) Adjustable cervical pillow
US7832034B2 (en) Pillow cover with neck support
US4791687A (en) Mattress with support
KR100718338B1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US11503930B2 (en) Multi-use ergonomic pillow
KR20120086754A (ko)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KR200334889Y1 (ko) 목과 머리를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베개구조
US7614105B1 (en) Mattress for prone and supine sleeping and associated method
KR20160016311A (ko) 바로잠베개
JP3147396U (ja) 快眠枕
US7055197B1 (en) Multi-pillow construction
US20110131729A1 (en) Configurable Support Locations Pillow
JP3171680U (ja)
CN207220615U (zh) 一种有助于呼吸道通畅的安睡枕
CN216494656U (zh) 一种保健枕
KR102162327B1 (ko) 공기주입이 가능한 다기능 에어쿠션
KR200497926Y1 (ko) 베개
CN210158421U (zh) 一种玻璃纤维弹簧辅助治疗枕
CN208941558U (zh) 一种可折叠式透气睡垫
CN214678504U (zh) 一种枕头
KR20210001000U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