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77Y1 -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 Google Patents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77Y1
KR200334877Y1 KR20-2003-0022958U KR20030022958U KR200334877Y1 KR 200334877 Y1 KR200334877 Y1 KR 200334877Y1 KR 20030022958 U KR20030022958 U KR 20030022958U KR 200334877 Y1 KR200334877 Y1 KR 200334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frame
picture frame
couple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찬 filed Critical 김성찬
Priority to KR20-2003-0022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을 넣는 액자부와 상기 액자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탁상용 액자에 양측으로 자석이 구비된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가 연결바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액자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액자 양측으로 결합된 메모꽂이부에 메모용지를 부착할 수 있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 전면에 투명커버(11)와 상기 투명커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케이스(12)에 의해 사진 삽입이 가능한 포켓이 구비되고 그 하부의 배면에는 연결바 고정홈(15)이 형성된 액자부(10)와, 상기 액자부의 양 외측에 각각 위치하며 평탄면을 이루는 전면의 중앙에 자석(14)이 각각 결합된 지지판(22)과 상기 자석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지지판(24)과 메모지(M)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금속구(25)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20)와, 상기 연결바 고정홈(15)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며 그 양 외측 연장단부에는 상기 메모꽂이부가 고정되는 연결바(21)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자석이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가 연결바의 양단에 고정결합 된 체 액자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액자와 메모꽂이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유용한 공간활용과 함께 액자의 기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Frame with memo sticking}
본 고안은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진을 넣는 액자부와 상기 액자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탁상용 액자에 양측으로 자석이 구비된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가 연결바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액자부 또는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액자 양측으로 결합된 메모꽂이부에 메모용지를 부착할 수 있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테이블 위에 놓는 탁상형 또는 벽에 걸어두는 걸이형으로 전면에는 내부가 비치는 유리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이나 연질 플래스틱 재질의 투명커버와 투명커버를 감싸는 케이스에 의해 사진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상기 포켓에 삽입된 사진을 고정 및 보호해주는 덮개판으로 구성되어 사진이나 그림등을 넣어 관상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액자는 그림이나 액자의 외각 프레임에 의한 장식적인 효과와 함께 가족이나 연인, 친구 등의 사진을 넣어 항상 볼 수 있게 함으로써 보고 싶은 사람을 보고자 하는 욕구를 채워주나 탁상용 액자의 경우에는 테이블이나 책상위에 놓게 되어 책이나 서류 및 많은 사무용품과 같이 놓이게 되어 테이블이나 책상위를 더 복잡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자가 놓이는 책상이나 테이블에서 업무를 보는 사람들은 업무상 중요한 일이나, 체크해야 할 일을 잊지않기 위해 많은 메모를 하게 되는데, 메모꽂이판이 따로 구비되지 않아 메모한 종이들이 서류틈에 끼여 찾을 수 없거나 바닥에 떨어져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뒷면에 분리가능한 접착제가 붙은 메모용지를 많이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또 컴퓨터 주변이나 책상의 주변부에 부착시켜 놓음으로써 주위가 정돈되지 않아 어수선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어 업무 능력을 저하시키게 되거나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분실의 우려가 여전히 남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이 협소하고 범위가 한정적인 테이블이나 책상위에 액자와 메모판을 모두 두게 되면 복잡하게 되어 작업자의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액자는 관상용으로써의 기능밖에 없어 다른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함은 그대로 유지한체 다용도적인 기능으로 그 실용성을 높이고, 좁은 공간의 활용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책상이나 테이블에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액자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구조의 탁상용 액자에 자석이 결합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가 연결바의 양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연결바가 액자의 액자부 또는 몸체부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액자로서의 본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메모지를 탈부착 할 수 있어 액자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메모꽂이 기능을 부가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제한적인 테이블위에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부분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자부 15. 연결바 고정홈
16. 몸체부 16a. 수납부
20. 메모꽂이부 21. 연결바
22. 지지판 24. 자석
25. 금속구 26. 필기구꽂이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사진을 넣는 액자부와 이를 지지해주는 몸체부와 전면이 평탄하며 중앙에 자석이 결합된 지지파과 상기 자석에 결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와, 상기 메모꽂이부를 이어주며 액자부 또는 몸체부와 결합시키는 연결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액자부의 전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액자의 전면에서 비춰질 수 있는 유리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 또는 연질 플래스틱 재질의 투명커버와 상기 투명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케이스에 의해 사진 삽입이 가능한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에 사진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사진의 보호와 고정을 위해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는 일측이 상기 액자의 일측부와 결합되고, 타측이 바닥에 접촉되어 액자를 지지해주는 형태로 액자가 테이블이나 책상에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하향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바닥부를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꽂이부는 평탄한 전면에 자석이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져 연결바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에 메모지를 접한 후 금속구를 가까이 가져가면 자석과 금속구 사이의 인력에 의해 금속구가 지지판에 부착됨으로써 메모지를 고정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자석은 자력이 발생하는 모든 자석이 가능하나 강한 자기력을 이용하여 메모지가 단단히 고정되고 공기에 의한 부식 위험이 없는 Nd자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는 봉형상으로 양단부에 메모꽂이부가 고정결합되며, 중앙의 삽입부 외주면은 액자부 일측에 구비된 연결바 고정홈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바 고정홈에 삽입되어 메모꽂이부를 액자에 단단히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는 액자와 메모꽂이부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자부나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바 고정홈에 연결바의 일측이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액자부나 몸체부의 일측부가 연장형성된 형태여도 무관하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한 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바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메모지에 메모할 때 필요한 필기구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메모꽂이부의 사용을 더 편리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몸체부의 바닥에 수납부를 구비하여 상기 메모꽂이부에 부착시킬 메모지를 수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지, 필기구와 메모를 부착하고 볼 수 있는 메모꽂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액자에 겸비된 메모꽂이의 기능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중 메모꽂이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는 전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넣을 수 있도록 투명커버(11)와 케이스(12)에 의해 포켓이 형성되고 배면 일측에는 연결바(21)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바 고정홈(15)이 형성된 액자부(10)와;
상기 액자부(10)를 지지해 주는 몸체부(16)와;
평탄한 전면에 자석(24)이 결합된 지지판(22)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25)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20)와;
상기 메모꽂이부가 양단부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메모꽂이부를 이어주는 봉 형상의 연결바(21)로 구성된다.
상기 액자부(10) 전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액자의 전면에서 비춰질 수 있는 투명커버(11)와 상기 투명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액자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포켓에 사진이 삽입되고, 배면에는 사진을 덮는 덮개(13)와 상기 덮개를 고정시키는 고정편(14)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액자와 같으나 몸체부(16)와 결합되는 액자케이스(12)의 일측 배면에 연결바 고정홈(15)이 구비되어 메모꽂이부가 결합된 연결바(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6)는 일측이 액자부의 케이스와 결합되고 타측으로는 테이블이나 책상의 표면에 접촉되어 액자부(10)를 지지해주는데, 상기 바닥부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액자 자체의 무게 중심을 낮춰주어 액자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바 고정홈(15)은 액자부 또는 몸체부의 일측 어느곳에나 형성가능하나 액자부와 몸체부가 연결되는 중앙부근에 형성되어 메모꽂이부(20)가 바닥에 너무 근접하거나 액자의 상부로 너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21)의 중앙에는 액자케이스(12) 배면 일측에 형성된 연결바 고정홈(15)에 끼워지는 삽입부(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23)의 외주면과 연결바 고정홈(15)의 내주면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메모꽂이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메모꽂이부(20)의 분리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삽입부(23)의 일측에 삽입돌기(23a)가 형성됨으로써 메모꽂이부가 액자부(10)의 일측에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살펴보듯이, 상기 연결바(21)의 일측에 통공부인 홀(h)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메모시 사용되는 볼펜등의 필기구를 꽂아 보관할 수 있는 필기구꽂이부(26)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 하면에 전면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의 수납부(16a)를 형성하거나 서랍형식의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납부(16a)에 메모지(M)를 넣어 보관하여, 메모시 필요한 메모지와 필기구가 메모꽂이부(20)에 함께 보관이 되어 메모꽂이부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시켜주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탁상용 액자의 액자부 배면에는 연결바 고정홈이 형성되고, 편탄한 전면에 자석이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구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모꽂이부가 연결바의 양단에 고정결합 된 체 상기 연결바 고정홈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액자와 메모꽂이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유용한 공간활용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꽂이부의 연결바 일측에 홀을 형성하여 필기구를 꽂아 보관하거나, 액자의 몸체부 하부에 메모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메모지, 필기구, 메모꽂이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액자의 기능을 유지한체 메모꽂이부의 사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사진을 넣는 액자부와 상기 액자부를 지지해주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탁상용 액자에 있어서, 일측 전면에 투명커버(11)와 상기 투명커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케이스(12)에 의해 사진 삽입이 가능한 포켓이 구비되고 그 하부의 배면에는 연결바 고정홈(15)이 형성된 액자부(10)와, 상기 액자부의 양 외측에 각각 위치하며 평탄면을 이루는 전면의 중앙에 자석(14)이 각각 결합된 지지판(22)과 상기 자석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지지판(24)과 메모지(M)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금속구(25)로 이루어진 메모꽂이부(20)와, 상기 연결바 고정홈(15)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며 그 양 외측 연장단부에는 상기 메모꽂이부가 고정되는 연결바(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1)에 일측에 삽입돌기(23a)가 형성된 삽입부(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1)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로 이루어진 필기구꽂이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6)의 하부에는 메모지(M)를 수납할 수 있는 전방이 개방된 수납부(16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KR20-2003-0022958U 2003-07-15 2003-07-15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KR200334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58U KR200334877Y1 (ko) 2003-07-15 2003-07-15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58U KR200334877Y1 (ko) 2003-07-15 2003-07-15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77Y1 true KR200334877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58U KR200334877Y1 (ko) 2003-07-15 2003-07-15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7825A (en) Modular message center
US5531481A (en) Memo pad assembly
US20020133992A1 (en) Magnetic display device
US20050017149A1 (en) Paper holder structure
US5884755A (en) Revolving coin display stand
KR200334877Y1 (ko) 메모꽂이부가 구비된 액자
KR200284182Y1 (ko) 탈·부착기능 및 사무용품 보관함을 갖는 독서대
KR101314757B1 (ko) 다용도 수납장치
USD430446S (en) Business card display and holder
KR200436966Y1 (ko) 지지구가 설치된 물품 거치대
CN218419011U (zh) 一种多功能一体式书桌书架
KR200387290Y1 (ko) 스케치북
KR200282812Y1 (ko) 탁상용 홀더
CN209846668U (zh) 多功能学习桌
CN212046694U (zh) 画板及配置有绘画笔的画板
KR200258068Y1 (ko) 사진의 결합이 용이한 액자
KR200393956Y1 (ko) 슬라이드 가능한 씨디꽂이함이 구성된 책장
KR200284788Y1 (ko) 확대경 및 스탠드 기능을 갖는 독서대
JP6339297B2 (ja) ページホルダー
US20050056762A1 (en) Chairback bible/book holder
KR200165156Y1 (ko) 자석을이용한메모꽂이겸용탁상시계
KR20200001650U (ko) 다용도 보드
KR900006410Y1 (ko) 사무용품을 수납하게 한 전화기
KR930004565Y1 (ko) 휴대용 독서대겸 바인더(binder)
KR200456093Y1 (ko) 다용도 휴대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