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758Y1 -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758Y1
KR200334758Y1 KR20-2003-0027089U KR20030027089U KR200334758Y1 KR 200334758 Y1 KR200334758 Y1 KR 200334758Y1 KR 20030027089 U KR20030027089 U KR 20030027089U KR 200334758 Y1 KR200334758 Y1 KR 200334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oor
housing
fix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용
Original Assignee
윤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용 filed Critical 윤창용
Priority to KR20-2003-0027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9Combined door holder and buf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본인의 선출원 고안들중 제 2003-24824 호의 구조를 다소 개선한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2003-24824 초의 구조를 다소 개선함으로써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어닫히는 충격을 대폭 완화시켜 내구성을 높힌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를 제공함은 선출원 고안 제 2003-24824 호와 동일하되, 그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어 그 설치의 간편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되게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The fixing a tool us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고안은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본인의 선출원 고안들중 제 2003-24824 호의 구조를 다소 개선한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의 실내도어인 여닫이 도어는 그 사용자의 편리성 및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대부분이 실내의 내측으로 여닫히게 설치되어진다. 또한 근래에 신축되는 주택 및 아파트 등에서는 난방시설이 잘 갖추어진관계로 출입수단인 여닫이 도어를 개방시켜 놓고 생활하는 경우가 습관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도어를 내측 벽면으로 항시 개방시켜 놓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어를 벽면의 내측으로 개방시켜 생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창문등을 통하여 들어오는 순간적인 바람의 힘에 의해 개방되어 있던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게 되어 소음을 유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의외의 사소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의 저면과 문틀 사이에 종이뭉치나 별도의 공구등을 괴어놓고 있으나 이의경우는 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될 뿐 아니라 괴어 놓은 상태에서 자주 이탈하여 고정구로서의 제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2003-21915 호에서는 완충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을 내설한 구조이나 이경우 장기간이 경과하면 스프링이 이완되거나 내구성 저하로 왼충력이 떨어지게 되어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2003-24824 호에서는 완충고무를 설치하고 있다.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 2003-24824 호의 구조를 다소 개선함으로써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어닫히는 충격을 대폭 완화시켜 내구성을 높힌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를 제공함은 선출원 고안 제 2003-24824 호와 동일하되, 그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어 그 설치의 간편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되게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편 2 : 힌지편 3 : 하우징 4 : 연결편
6 : 완충고무 7 : 자석편 9 : 고정편 10,10a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에서 횡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닫이 도어(19)의 상부 일측면에 피스등으로 고정되는 부착편(1)상에 힌지편(2)을 돌출형성하고, 상기의 힌지편(2)에는 하우징(3) 후단의 연결편(4)을 계합시켜 볼트(5)로 유설하며, 하우징(3)의 선단에는 하우징(3)의 직경보다 직경이 다소 큰 완충고무(6)를 끼워 맞추되, 완충고무(6) 상에는 자석편(7)을 밀착시켜 자석편(7)의 중앙통공과 완충고무(6)의 중앙통공을 통해 나사(8)를 관통시켜 완충고무(6) 내측에서 너트(8a)를 체결하여 상호간에 고정되게 하며, 자석편(7)의 요홈부(7a)와 일치하는 돌부(9a)가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9) 상하에는 장공(10)(10a)을 형성하여 피스등으로 내측벽면에 고정되게 하여 한조의 고정금구(F)를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문틀
(17)은 벽면
(18)은 도어록을 지칭하고 있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서와 같이 여닫이 도어(19)의 상부 일측면 즉, 내측면에 하우징(3)의 후단 연결편(4)과 계합되는 힌지편(2)이 돌출형성된 부착편(1)을 피스등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와 대응되는 한조의 고정편(9) 역시 피스등을 이용 내측벽면(17)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이때 고정핀(9) 상,하에는 피스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해 장공(10)(10a)을 형성함으로써 그 설치가 간편하게 완료되는 것인 바,
상기에서 부착편(1) 상에 돌출 형성된 힌지편(2)과 계합되는 연결편(4)을 후단에 일체화한 하우징(3) 선단에는 이미 완충고무(6)와 자석편(7)이 기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여닫이도어(19)를 개방시킬 경우 여닫이 도어(19)를 실내측으로 밀게되면 여닫이도어(19)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된 부착편(1)과 연결되는 하우징(3) 선단에 끼워진 완충고무(6) 상에 조립되어 있는 자석편(7)의 요홈부(7a)가 내측벽면(17)에 고정된 고정편(9)상의 돌부(9a)에 자력으로 부착됨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들과 그 방식이 동일하며 또한 여닫이 도어(19)를 열고 닫으면서 고정금구(F)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완충고무(6)로 흡수함과 아울러 완충고무(6)에 의해 여닫히는 충격을 완화시켜 그 사용성이 가일층 향상됨도 동일하나 본 고안의 경우는 구조의 간소화로 제작 단가를 낮출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금구의 구조를 보다 간소와 함으로써 제작 코스트의 절감과 특히 설치의 간편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여닫이 도어(19)의 상부 일측면에 피스등으로 고정되는 부착편(1)상에 힌지편(2)을 돌출형성하고, 상기의 힌지편(2)에는 하우징(3) 후단의 연결편(4)을 계합시켜 볼트(5)로 유설하며, 하우징(3)의 선단에는 하우징(3)의 직경보다 직경이 다소 큰 완충고무(6)를 끼워 맞추되, 완충고무(6) 상에는 자석편(7)을 밀착시켜 자석편(7)의 중앙통공과 완충고무(6)의 중앙통공을 통해 나사(8)를 관통시켜 완충고무(6) 내측에서 니트(8a)를 체결하여 상호간에 고정되게 하며, 자석편(7)의 요홈부(7a)와 일치하는 돌부(9a)가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9)상하에 장공(10)(10a)을 형성하여 피스등으로 내측벽면에 고정되게 하여 한조의 고정금구(F)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2003-0027089U 2003-08-22 2003-08-22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34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89U KR200334758Y1 (ko) 2003-08-22 2003-08-22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89U KR200334758Y1 (ko) 2003-08-22 2003-08-22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758Y1 true KR200334758Y1 (ko) 2003-12-03

Family

ID=4942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89U KR200334758Y1 (ko) 2003-08-22 2003-08-22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7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644B1 (en) Device for installing damping member to hinge unit
US7003851B2 (en) Hinge
US20140075718A1 (en) Piston device for the controlled rotatable movement of doors, shutters or like members
CA2421890A1 (en) Integrated refrigerator cabinet leveling and door closing assembly
KR20120128802A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334758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36390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CN113167087B (zh) 安全磁铁铰链
KR102056013B1 (ko) 안전문
KR100532267B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120041388A (ko)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KR200336384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100832120B1 (ko) 강화유리 도어록
KR100535505B1 (ko)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WO2020242394A1 (en) Door hinge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200325655Y1 (ko) 방충망의 안전 지지장치
KR200223963Y1 (ko) 도어 고정장치
KR200377568Y1 (ko) 충격흡수구조를 가진 레버식 도어록
KR200298042Y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
CN201068691Y (zh) 门挡
KR200325991Y1 (ko) 가구용 힌지장치
CN220353651U (zh) 天地液压缓冲铰链结构
KR101920053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스토퍼
KR200296661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