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63Y1 - 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63Y1
KR200223963Y1 KR2020000033125U KR20000033125U KR200223963Y1 KR 200223963 Y1 KR200223963 Y1 KR 200223963Y1 KR 2020000033125 U KR2020000033125 U KR 2020000033125U KR 20000033125 U KR20000033125 U KR 20000033125U KR 200223963 Y1 KR200223963 Y1 KR 200223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oor
fixture
fixed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숙
Original Assignee
박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숙 filed Critical 박재숙
Priority to KR2020000033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63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최초 오픈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도어를 벽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 일면에 금속판이 부착되고 테두리에는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되어 고정되는 부착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면 상기 부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면 중앙으로 결합관부와 테두리로 다수의 체결고정공이 형성된 부착고정구와 상기 결합관부로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봉의 선단으로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하며 일면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완충캡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으로 고정핀을 삽입고정하며 상기 완충캡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내장하여 끝단으로 자성체를 고정시켜 완충공간부가 형성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an opened door}
본 고안은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최초 오픈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사무실의 실내에 설치되는 도어는 그 사용자의 편리성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벽체를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여닫히게 설치되며 그 도어를 여닫은 과정에서 특히, 도어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상기 벽체로 도어가 부딪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렇게 도어가 벽체로 부딪침에 따라 그 부딪치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소음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또한 충격으로 인해 도어가 손상되어 오랜기간을 사용하지 못하고 도어 자체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 사용되는 방법은 주로 도어와 벽체 사이로 고무등으로 제작된 완충구등을 설치하여 도어의 오픈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한 완충구는 최초 오픈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오히려 상기 완충구로 부딪쳐다가 다시 튕겨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사용상에 더욱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각 건축물의 난방시설이 잘 갖추어진 관계로, 상기한 도어를 벽체로 오픈한 상태로 출입하는 경우가 많아 짐에 따라 상기 도어를 벽체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 또한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벽체로 일반적인 고정구를 고정한 후 그 고정구에 와어어등을 결속하여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등에 걸거나 결속하여 고정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그 사용자가 와이어를 사용하여 일일이 걸거나 결속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다른 방법으로는 바닥면과 도어의 밑면으로 고정목 등을 고여 고정하는 것으로, 이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목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손쉽게 이탈되는 관계로 사용상에 더욱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최초 오픈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도어의 오픈에 따른 도어와 벽체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길이조절이 가능을 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도어를 벽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 일면에 금속판이 부착되고 테두리에는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되어 고정되는 부착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면 상기 부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면 중앙으로 결합관부와 테두리로 다수의 체결고정공이 형성된 부착고정구와 상기 결합관부로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봉의 선단으로 관통된 결합공을 형성하며 일면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완충캡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으로 고정핀을 삽입고정하며 상기 완충캡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내장하여 끝단으로 자성체를 고정시켜 완충공간부가 형성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의 부착고정구와 지지봉에는 각각의 나선공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에는 나선축을 체결하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도어
10 : 부착부재
12 : 금속판 14 : 고정공
15 : 고정구
20 : 지지구
22 : 지지봉 23 : 결합관부
24 : 체결고정공 25 : 부착고정구
200 : 길이조절부
202,202a : 나선공 204 : 나선축
30 : 완충부
32 : 결합공 34 : 끼움공
35 : 완충캡 36 : 고정핀
38 : 스프링 39 : 자성체
40 : 고정부재
50 : 완충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도어를 벽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벽체로 일면에 일반적인 금속판(12)이 공지의 부착방법에 의해 부착되고 테두리에는 스크류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로 구성되어 고정되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도어의 일면 상기 부착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면 중앙으로 결합관부(23)와 테두리로 일반적인 스크류고정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체결고정공(24)이 형성된 부착고정구(25)와 상기 결합관부(23)로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봉(22)으로 구성되는 지지구(20)와,
상기 지지봉(22)의 선단으로 관통된 결합공(32)을 형성하며 일면에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완충캡(3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2)으로 상기 완충캡(3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스프링이 지지되는 고정핀(36)을 삽입고정하며 상기 완충캡(35)의 내부에는 스프링(38)을 내장하여 끝단으로 자성체(39)가 고정되는 완충부(3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지지구(20)의 지지봉(22) 선단과 상기 완충부(30)의 자성체(39) 내면 사이에는 내장되는 스프링(38)으로 인해 일정길이만큼 완충공간부(50)가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와 지지봉(22)에는 각각의 나선공(202)(202a)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202)(202a)에는 나선축(204)을 체결하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200)를 구성함으로서, 상기 나선축(204)으로부터 지지봉(22)을 회전시켜 상기 부착고정구(25)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을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착부재(10)의 고정구(15)와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 고정에 의해서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양면테이프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 결합관부(23)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봉(22)은 상기 부착고정구(25)와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아니면 상기 부착고정구(25)와 지지봉(22)을 별개로 제작하여 공지의 결합고정방식인 융착이나 용접으로 결합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1)에 상기한 부착부재(10)인 고정구(15)를 고정공(14)을 통하여 스크류 고정하던가 아니면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2)에는 상기한 고정부재(40)인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에 형성된 체결고정공(24)을 통하여 스크류 고정시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인 지지구(20)에 형성된 완충부(30)의 완충캡(35) 일면으로 삽입고정되어 있는 자성체(39)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벽체(1)로 고정되어 있는 부착부재(10)의 금속판(12)으로 부착되어 짐과 아울러 상기 도어(2) 오픈에 따른 가해진 충격압력은 상기 완충캡(35)으로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38)에 의해 형성된 완충공간부(50)로 상기 완충캡(35)이 화살표와 같이 상기 지지구(20)의 지지봉(22) 선단에서 왕복되어 그 충격압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도어(2)를 오픈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압력을 완충부(30)를 통하여 최소한으로 줄임과 동시에 그 완충부(30)의 완충캡(35)으로 고정되어 있는 자성체(39)로 인해 벽체(1)로 고정된 부착부재(10)의 금속판(12)으로 부착되어 고정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1)와 도어(2) 사이는 건축물이나 도어(2)로 고정되는 도어록에 따라 그 거리가 제각기 다른 데, 이는 상기한 고정부재(40)인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과 지지봉(22)을 나선축(204)으로 고정되는 길이조절부(200)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부착고정구(25)와 나선축(204)으로 체결되어 있는 지지봉(22)을 화살표와 같이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봉(22)을 부착고정구(25)로부터 일정길이 만큼을 이격되도록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도어(2)와 벽체(1)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봉(22)은 상기 부착고정구(25)에 형성된 결합관부(23)로 일단이 인입되어져 있으므로 그 지지력을 보다 크게 가지면서 상기 나선축(204)이 결합관부(23)에 의해 보이지 않도록 내장되어져 외관이 미려한 장점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로 도어를 고정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도어의 최초 오픈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충격력과 그에 따른 충격소음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도어의 손상을 최소화함에 따라 오랜기간 도어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의 오픈에 따른 도어와 벽체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에도 길이조절이 가능을 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도어를 벽체로 고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벽체로 일면에 금속판(12)이 부착되고 테두리에는 다수의 고정공(14)이 형성된 고정구(15)로 구성되어 고정되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도어의 일면 상기 부착부재(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면 중앙으로 결합관부(23)와 테두리로 다수의 체결고정공(24)이 형성된 부착고정구(25)와 상기 결합관부(23)로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봉(22)으로 구성되는 지지구(20)와, 상기 지지봉(22)의 선단으로 관통된 결합공(32)을 형성하며 일면에 끼움공(34)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완충캡(3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2)으로 고정핀(36)을 삽입고정하며 상기 완충캡(35)의 내부에는 스프링(38)을 내장하여 끝단으로 자성체(39)를 고정시켜 완충공간부(50)가 형성되는 완충부(30)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0)의 부착고정구(25)와 지지봉(22)에는 각각의 나선공(202)(202a)을 형성하고 그 나선공(202)(202a)에는 나선축(204)을 체결하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200)가 구성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장치.
KR2020000033125U 2000-11-27 2000-11-27 도어 고정장치 KR200223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125U KR200223963Y1 (ko) 2000-11-27 2000-11-27 도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125U KR200223963Y1 (ko) 2000-11-27 2000-11-27 도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63Y1 true KR200223963Y1 (ko) 2001-05-15

Family

ID=7306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125U KR200223963Y1 (ko) 2000-11-27 2000-11-27 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831B2 (en) Tension rod with suction cups
CA2421890A1 (en) Integrated refrigerator cabinet leveling and door closing assembly
KR200223963Y1 (ko) 도어 고정장치
CN113167087B (zh) 安全磁铁铰链
KR100844217B1 (ko) 문 개폐 고정장치
JP2015124601A (ja) 引込み装置ユニット
RU2407962C2 (ru) Корпус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KR102469188B1 (ko) 안전경첩
KR101358369B1 (ko) 가구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035517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KR200416345Y1 (ko) 강화유리문의 상부 힌지조립체 고정구조
WO2020242394A1 (en) Door hinge
KR200334758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US7213850B1 (en) Door knob holder
KR101446574B1 (ko) 댐핑기능을 갖는 도어스톱퍼
CN220451633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轴式铰链
KR200149147Y1 (ko) 문 연결장치
KR20030091860A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CN111980516B (zh) 开关门组件及烹饪装置
KR20023370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
CN211625376U (zh) 一种安装支架以及应用有该安装支架的吸油烟机
KR101920053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스토퍼
CN219241641U (zh) 一种重型铰链
CN201068691Y (zh) 门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