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650Y1 - 계량용 스푼 - Google Patents

계량용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650Y1
KR200334650Y1 KR20-2003-0027003U KR20030027003U KR200334650Y1 KR 200334650 Y1 KR200334650 Y1 KR 200334650Y1 KR 20030027003 U KR20030027003 U KR 20030027003U KR 200334650 Y1 KR200334650 Y1 KR 200334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spoon body
protrusion
slip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욱
Original Assignee
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성욱 filed Critical 천성욱
Priority to KR20-2003-0027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푼본체의 연결대 중앙에 반구형의 보강돌출부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돌설하여 조리작업시 파지한 손바닥에 견고히 파지되므로 작업도중 스푼본체의 연결대부분이 미끄러져 놓칠우려가 전혀없이 손이열기에 데거나 칼등에 다칠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조리작업에 임할 수 있는 계량용스푼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계량용 스푼{a measuring spoon.}
본고안은 스푼본체를 구성하는 연결대의 일단에 다단식의 요홈부와,그타단에 단일요홈부를 장설하였으며,상기 연결대의 보강돌출부 외연에 측정용눈금을 설치한 스푼을구성함에 있어서, 연결대의 보강돌출부 상면에 미끄럼방지 돌기를 다수 돌설한것을 특징으로한 계랑용스푼을 제공코자 안출된것이다.
종래의 계량용스푼을 살펴보면 스푼본체(1)를 매끄러운 스텐레스로하고 연결대(3)의 양단에 다단식요홈부(2),(2a)와 단일요홈부(2b)를 장설하였으며 연결대(3)의 중앙부에는 반구형의 보강돌출부(5)를 돌설함과동시에 상기 보강돌출부(5)외연에 측정용 눈금(4)을 설치한것으로 요홈부(2),(2a),(2b)를 이용하여 양념(예컨데 식용유, 소금, 설탕, 간장등)의 양을 조절할수가 있고, 특히 연결대(3)연부의 눈금(4)에 맞추어 야채등을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주로 스푼본체(1)의 연결대(3)부위를 손으로 쥐고 작업을하게되는데 이때 스푼본체(1)의 연결대(3)부위가 매우미끄러워 작업도중 스푼본체(1)를 놓칠우려가 많아 불에 데거나 칼등에 다칠우려 또한 배재할수가 없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키위한 방안으로 스푼본체의 연결대에 형성한 반구형의 보강돌출부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다수돌설하여 파지시 미끄럼방지돌기가 손바닥에 요지부동하게 꼭끼워지게하므로 작업시 스푼본체를 놓칠우려가 전혀없이 안전하게 작업에 임할수있도록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스푼본체 2. 2a,2b 요홈부 3. 연결대
4. 눈금 5. 보강돌출부 6. 미끄럼방지 돌기
첨부도면 중 도 1, 도 2 는 본고안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것으로
스푼본체(1)의 연결대(3)양단중 일단에 다단식 요홈부(2),(2a)를, 타단에는단일 요홈부(2b)를 장설하였으며,연결대(3)의 중앙부에 반구형의 보강돌출부(5)를 돌설함과 동시에 보강돌출부(5)의 외연에 측정용 눈금(4)을 설치한 스푼본체(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보강동출부(5)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6)를 다수돌설함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즉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연결대(3)의 양단중 일단에 장설된 다단식 요홈부(2)(2a)와 타단의 단일요홈부(2b)가 각각 용량이 상이하므로
이용량에 맞추어 양념(예컨데 식용유, 소금, 설탕, 간장 등)을 조절할 수 가있고 연결대(3)의 눈금(4)에 맞추어 대파, 양파, 무 등의 야채를 균일하게 절단하여 그양과 모양을 보다 세련되고 우아하게 요리의 멋을 낼수가 있는것인데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통상과 같다.
본고안은 이러한 스푼본체(1)의 연결대(3)를 파지하여 요리를 할때 파지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연결대(3)의 반구형 보강돌출부(5)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6)를 돌설하여 손으로쥐고 파지할때 손바닥에 견고히 밀착되어 전혀 미끌림이 없이 안전하게 요리작업에 임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고안은 상술한바와같이 스푼본체의 연결대 중앙에 반구형의 보강돌출부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를 돌설하여 조리작업시 파지한 손바닥에 견고히 파지되므로 작업도중 스푼본체의 연결대부분이 미끄러져 놓칠우려가 젼혀없이 손이 열기에 데거나 칼등에 다칠우려가 없어 안전하게 조리작업에 임할 수 있는 계량용 스푼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스푼본체(1)의 연결대(3)중앙부에 반구형의 보강돌출부(5)를 돌설하고,그 보강 돌출부(5)외연에 측정용 눈금(4)를 설치한것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출부(5)의 상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6)를 돌설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한 계랑용 스푼.
KR20-2003-0027003U 2003-08-22 2003-08-22 계량용 스푼 KR200334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03U KR200334650Y1 (ko) 2003-08-22 2003-08-22 계량용 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003U KR200334650Y1 (ko) 2003-08-22 2003-08-22 계량용 스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650Y1 true KR200334650Y1 (ko) 2003-11-28

Family

ID=4942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003U KR200334650Y1 (ko) 2003-08-22 2003-08-22 계량용 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6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14479A2 (en) Eating utensil
US20120110787A1 (en) Implement handle with ergonomic grip providing rotational leverage
US2012637A (en) Spoon
US20020092181A1 (en) 4-in-1 meal tools
US8752482B2 (en) Hand tool for squeezing, chopping; and pureeing food
EP2708171A1 (en) Handgrip for cooking vessels
KR200334650Y1 (ko) 계량용 스푼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101207555B1 (ko) 손잡이 착탈식 조리용 칼
KR101876760B1 (ko) 국자 어셈블리
GB2350778A (en) Dual purpose disposable cutlery
US3059252A (en) Kitchen utensil
EP3400857A1 (en) Cutting board
KR200357495Y1 (ko) 음식용구
KR200327499Y1 (ko) 조리용기 손잡이
JP3187183U (ja) 骨付き鳥料理に使用する食事用器具
ES1288209U (es) Utensilio de agarre para cuchillo de cocina
KR20100010937U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US20070261526A1 (en) Bagel Slicer
JP7231769B1 (ja) 調理器具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JP3131714U (ja) スパゲティも快適・安全にゆでることができる小型片手鍋
JP3140107U (ja) 調理用具
KR200257757Y1 (ko) 계량용 주방기구
JP3141583U (ja) フォ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