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955Y1 - 조립식 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955Y1
KR200333955Y1 KR20-2003-0027519U KR20030027519U KR200333955Y1 KR 200333955 Y1 KR200333955 Y1 KR 200333955Y1 KR 20030027519 U KR20030027519 U KR 20030027519U KR 200333955 Y1 KR200333955 Y1 KR 200333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oard
veneer
insertion groove
wood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태 filed Critical 조성태
Priority to KR20-2003-0027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용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목판부재 2개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목판재 하부에 베니어판 부재를 부착한 구조로서, 베니어판 부재의 삽입홈 쪽 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목판재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따르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외부의 열과 습기 등의 작용에 의한 베니어판 부재의 휘어짐 및 목판재의 변형을 대비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직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마루 바닥재{Assembling flooring member}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건축용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목판부재 2개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목판재 하부에 베니어판 부재를 부착한 구조로서, 베니어판 부재의 삽입홈 쪽 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목판재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휘어짐 및 내부 습기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조립식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목재로 된 마루 바닥은 전통적인 자연 친화적 재료로서 건축용 바닥재로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이며, 현재는 주택이나 각종 건물의 인테리어용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격렬한 운동을 하게 되는 체육관이나, 늘 많은 수의 인원을 수용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학교 및 강당 등의 종합 건물에 있어서, 상기 건물들의 바닥은 계속되는 상부의 충격 및 직하중을 견딜만한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지할 만한 충분한 요소가 없어 바닥재의 수명이 길지 못하고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마루 바닥재는 통상 콘크리트 바닥 위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으로부터의 열과 습기에 목판재가 직접 접촉됨으로써 목재가 변형 및 부식하게 되어 내구성이 약해지게 되고, 심한 경우엔 마루 바닥재가 썩거나 하여 수명이 단축됨으로써 보수 공사를 하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기존의 마루 바닥재는 다수 개의 바닥재를 하나하나 끼워 맞춘 후 못으로 박는 형태로서, 이러한 형태의 마루 바닥재는 결합 작업이 까다롭고 보수 공사시에도 파손된 일부만을 교체하기가 대단히 어려워 이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의 증가에 따라 경제적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설치가 편리하도록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고, 베니어판 부재의 삽입홈 쪽 부분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목판재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뛰어나고 습기에 의한 목판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베니어판 부재의 상부에 목판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목판재는 직사각형 형태의 목판부재 2개를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목판부재는 일측 두 면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두 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부합하도록 소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공기통로의 역할 및 습기로 인한 팽창 및 수축시에 목판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니어판 부재는 삽입홈 쪽 부분이 목판재보다 소정 작도록 하여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돌출부 쪽 부분은 삽입홈과 돌출부의 결합부위를 지지하도록 목판재보다 소정 크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니어판 부재 하부에는 상기 베니어판 부재와 목판재를 고정 결합하도록 고정못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 9개를 종횡으로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목판재 10a ; 목판부재
11 ; 삽입홈 12 ; 돌출부
13 ; 홈 14 ; 공간부
15 ; 고정못 20 ; 베니어판 부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마루 바닥재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 9개를 종횡으로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루 바닥재는 크게 바닥에 접착되는 베니어판 부재(20)와, 그 상부에 부착되는 목판재(10)로 구성된다.
상기 목판재(10)는 목판부재(10a) 두 개를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여 대체로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목판부재(10a)는 일측 두 면에 소정 길이의 돌출부(12)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측 두면에는 상기 돌출부(12)에 부합하도록 소정 깊이의 삽입홈(11)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니어판은 목재를 1-4mm 정도로 썰어 만든 널로, 본 고안의 베니어판 부재(20)는 이러한 베니어판을 여러 장 포개어 붙인 합판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베니어판 부재(20)는 목판재(10) 하부에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하부로부터 다수 개의 고정못(15)을 관통시켜 상기 베니어판 부재(20)와 목판재(10)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니어판 부재(20)는 주위(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열과 습기에 의하여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어 이를 대비하고, 목판재(10) 상부에서의 직하중 및 충격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목판재(10)의 삽입홈(11) 쪽 부분을 목판재(10)보다 일정 크기 작도록 하여 소정 공간의 공간부(14)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니어판 부재(20)는 목판재(10)의 삽입홈(12) 쪽 부분은 상부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돌출부(12)와 삽입홈(11)의 결합부위를 보호하도록 목판재(10)보다 일정 크기 크도록 하여 하부에서 상기 돌출부(12)와 삽입홈(11)의 결합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목판재(10) 하부에는 공기통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습기에 의한 목판재(10)의 팽창을 대비하도록 소정 깊이를 갖는 다수 개(도면상에서는 8개)의 홈(13)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목판재(10)와 베니어판 부재(20)로 구성된 바닥재는 설치를 원하는 콘크리트 바닥 등의 장소에 필요한 개수만큼 조립한 후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상호 접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 바닥재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베니어판 부재의 일측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목판재 하부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외부의 열과 습기 등의 작용에 의한 베니어판 부재의 휘어짐 및 목판재의 변형을 대비하고, 상부에서 가해지는 직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베니어판 부재(20)의 상부에 목판재(10)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목판재(10)는 직사각형 형태의 목판부재(10a) 2개를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목판부재(10a)는 일측 두 면에는 소정 길이의 돌출부(12)가 형성되고, 타측 두 면에는 상기 돌출부(12)에 부합하도록 소정 깊이의 삽입홈(11)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공기통로의 역할 및 습기로 인한 팽창 및 수축시에 목판재(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다수 개의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베니어판 부재(20)는 삽입홈(11) 쪽 부분이 목판재(10)보다 소정 작도록 하여 소정 크기의 공간부(14)를 형성하고, 돌출부(12) 쪽 부분은 삽입홈(11)과 돌출부(12)의 결합부위를 지지하도록 목판재(10)보다 소정 크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니어판 부재(20) 하부에는 상기 베니어판 부재(20)와 목판재(10)를 고정 결합하도록 고정못(1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2003-0027519U 2003-08-27 2003-08-27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0333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19U KR200333955Y1 (ko) 2003-08-27 2003-08-27 조립식 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19U KR200333955Y1 (ko) 2003-08-27 2003-08-27 조립식 마루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955Y1 true KR200333955Y1 (ko) 2003-11-19

Family

ID=4934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519U KR200333955Y1 (ko) 2003-08-27 2003-08-27 조립식 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336B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US5438809A (en) Modular tile flooring system
KR20060136292A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US20120174503A1 (en) Building system with multi-function insulation barrier
KR20100078650A (ko) 체육관 마루판 지지구조물
KR200333955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US20040226255A1 (en) Composite beam
KR200359803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0399608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5837921B2 (ja) 床を支持するための部分構造及び該部分構造を備える床システム
KR101037657B1 (ko)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KR200335078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마루 바닥재
KR200408056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KR200315775Y1 (ko) 마루 바닥재
KR200294617Y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 판넬
JP202014807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兼断熱化粧板、建築物及びコンクリート製構造躯体形成方法
KR100585506B1 (ko) 조립식 건축 내장용 판재
JPH11256726A (ja) 壁パネル
JPH0336670Y2 (ko)
JP2003097033A (ja) 無垢材からなるフロア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63680Y1 (ko) 조립식 마루 조립체
KR100959183B1 (ko) 탄성마루바닥재
KR200464100Y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200267039Y1 (ko) 흡음 및 방습재가 부가된 조립식 마루 판넬
KR200331853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