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47Y1 - 필기구꽂이흡착판 - Google Patents

필기구꽂이흡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47Y1
KR200333747Y1 KR20-2003-0019608U KR20030019608U KR200333747Y1 KR 200333747 Y1 KR200333747 Y1 KR 200333747Y1 KR 20030019608 U KR20030019608 U KR 20030019608U KR 200333747 Y1 KR200333747 Y1 KR 200333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writing instrument
adsorption plate
writ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박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filed Critical 박광수
Priority to KR20-2003-0019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을 보면서 자주 사용하는 '형광펜'과 같은 필기구(20)의 뚜껑(22)을 자주 여닫아야 하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필기구를 다룰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흡착판(40)을 이용해서 책상이나 탁자 등의 원하는 위치에 본 고안을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본 고안의 상단부(10)에 형성되어 있는 필심부꽂이공(30)에 뚜껑(22)이 제거된 필기구(20)의 필심부(21)가 꽂아져 있는 동안에 기존의 뚜껑(22)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본 고안의 제작에 있어서는, 흡착판(40)과 동일한 재질로 1회의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는 본 고안을 기능상 상단부(10)와 하단부(11)로 구분하되, 상단부(10)에는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꽂을 수 있는 필기구꽂이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단부(11)에는 본 고안을 책상이나 모니터 전화기 등에 부착 가능하도록 해주는 흡착판(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따라서, 상기 필기구꽂이흡착판을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 만으로 쉽게 원하는 필기구(20)를 사용하고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학습의 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필기구꽂이흡착판{omitted}
통상적으로 각종의 필기구(20)는 미사용시 필심부(21)를 뚜껑(22)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휘발성을 가진 잉크나 공기 중에 노출되었을 경우 응고되는 잉크류를 사용하는 필기구(20)의 경우, 더더욱 견고하게 뚜껑(22)으로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밀폐시켜 잉크의 휘발이나 응고를 막아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필기구(2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한 손으로 필기구(20)를 잡고 다른 손으로 뚜껑(22)을 분리해야 하므로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번거로움은 학습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되어진 기존의 제품은 보여지지 않으며, 이와 비슷한 출원건이 있습니다만, 모두 하나의 필기구(20)에, 흡착판(40)을 이용한 다수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조립품 한가지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생산은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며,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도 제품화되어지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각종 필기구(20)가 갖는 뚜껑(22) 개폐상의 번거로움을 일소함과 동시에, 본 고안의 필심부꽂이공(30)에 필심부(21)를 꽂아놓은 자주 사용하는 필기구(20)를 본 고안의 흡착판(40)을 이용하여 책상이나 탁자 등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어느 곳이든 고정시켜놓고 한 손으로 쉽게 뽑거나 꽂아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잉크가 휘발성이거나 응고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22)의 기능을 본 고안을 이용하는 동안 필심부꽂이공(30)이 대신 수행해줌으로써 필기구(20)의 수명 또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 입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엇보다 기존의 제품화하기 어려웠던 흡착판(40)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을 선택하지 않고, 흡착판(40)과 동일한 재질로 1회의 사출성형만으로 쉽게 생산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또한, 기존의 고안들이 하나의 필기구에 한정되어진 사용을 위한 것인데 반해, 본 고안은 흡착판(40)과 동일한 유연한 재질로 상단부(10)를 만들어 줌으로써 신축성을 가진 필심부꽂이공(30)이 볼펜이나 형광펜과 같은 다양한 직경의 필기구(20)에 두루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꽂이흡착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꽂이흡착판의 수직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단부 11 - 하단부
20- 필기구 21- 필심부
22- 뚜껑
30- 필심부꽂이공
40- 흡착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합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꽂이흡착판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수직 단면도 입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단부(10)와 하단부(11)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재질이 본 고안에 다양한 모양과 칼라를 적용시키기에 용이한 유연한 고무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본 고안의 상단부(10)에는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꽂을 수 있는 필심부꽂이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로 형성되어 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체가 흡착판(40)과 동일한 매우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필심부꽂이공(30)도 역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필심부꽂이공(30)은 필기구(20)의 직경에 따라 늘어나고 줄어드는 방법으로 다양한 직경의 필기구(20)에 사용되어 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조여줌으로써 기존의 필기구(20)의 꾸껑(22) 역할도 대신해 줄 수 있습니다.
본 고안의 하단부(11)에는 본 고안을 책상이나 탁자 등에 사용자가 원하는곳에 부착하기 위한 흡착판(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로 형성되어질 수 있습니다. 흡착판(40)을 이용한 본 고안의 고정됨은 사용자로 하여금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본 고안의 필심부꽂이공(30)으로부터 한 손으로 뽑거나 꽂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기존의 두 손으로 뚜껑(22)을 개폐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합니다.
본 고안인 '필기구꽂이흡착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책상이나 탁자 등에 하단부(11)의 흡착판(40)을 이용하여 부착을 시킵니다. 그런 후에, 잦은 사용이 예상되는 '형광펜'과 같은 필기구(20)의 뚜껑(22)을 '형광펜'으로부터 제거하고 뚜겅(22)은 필통과 같은 곳에 따로 보관합니다. '형광펜'의 필심부(21)를 본 고안의 상단부(10)에 형성되어진 필심부꽂이공(30)에 꽂아 넣습니다. 이 때 필심부꽂이공(30)은 흡착판(40)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늘어나면서 '형광펜'의 필심부(21) 부분을 조여주기 때문에, 기존의 뚜껑(22)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준비를 하고 난 후에 책을 보면서 '형광펜'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형광펜'을 본 고안으로부터 쉽게 뽑아 쓸 수 있으며 또한 쉽게 꽂아둘 수 있는 것 입니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소비자내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학습시 두 손을 이용해서 필기구(20)의 뚜껑(22)을 자주 열고 닫아주는 번거로운 일로 인해서 학습의 능를이 저하될 수 있는 상황이었으나, 본 고안을 이용면서 한 손만으로 필기구(20)를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고 쉽게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 이상 그러한 일은 있을 수 없을 것이며,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1회의 사출성형 과정을 통해서 본 고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의 용이성과 효율성을 가질 수 있을 것 입니다.

Claims (4)

  1. 흡착판(40)과 동일한 유연재질로 1회의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는 본 고안을 기능상 상단부(10)와 하단부(11)로 구분하되, 상단부(10)에는 필기구(20)의 필심부(21)를 꽂을 수 있는 필심부꽂이공(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단부(11)에는 본 고안을 책상이나 탁자, 모니터, 전화기 등에 부착 가능하도록 해주는 유연재질의 흡착판(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꽂이흡착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단부(10)에 2개 이상의 필심부꽂이공(30)이 형성되어진 필기구꽂이흡착판.
  4. 제 1항에 있어서 하단부(11)에 2개 이상의 흡착판(40)이 형성되어진 필기구꽂이흡착판.
KR20-2003-0019608U 2003-06-20 2003-06-20 필기구꽂이흡착판 KR200333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08U KR200333747Y1 (ko) 2003-06-20 2003-06-20 필기구꽂이흡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08U KR200333747Y1 (ko) 2003-06-20 2003-06-20 필기구꽂이흡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47Y1 true KR200333747Y1 (ko) 2003-11-19

Family

ID=4934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608U KR200333747Y1 (ko) 2003-06-20 2003-06-20 필기구꽂이흡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095A (en) Holder device for writing implements
MXPA05011520A (es) Montaje de escritura con montaje borrador.
KR200333747Y1 (ko) 필기구꽂이흡착판
US6006693A (en) Bookmark with highlighter pen
JP3130232U (ja) 外した消しゴム用キャップを、ホルダーに差し込んで、脱落を防止する、シャープペンシルの構造。
US7494294B1 (en) Pen with dual extension/retraction cartridges
KR200383222Y1 (ko) 책상 상판 일체형 연필꽂이
CN209898550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KR200353030Y1 (ko) 책상용 필기구통
JP3153094U (ja) 付箋収納ケース付きペン
KR200380939Y1 (ko) 연필꽂이 겸용 지우개
CN206510629U (zh) 一种多功能笔
KR200190298Y1 (ko) 필기구용 받침대
EP2130685A2 (en) An improved marker pen
KR20120000764U (ko)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KR200433742Y1 (ko) 휴대용 필기구의 캡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KR200250307Y1 (ko) 수첩꽂이용볼펜
KR200232309Y1 (ko) 필기구
KR940002433Y1 (ko) 필구꽂이
KR200249391Y1 (ko) 칠판 셋트
JPH0444388Y2 (ko)
KR200368891Y1 (ko) 이색펜
KR200276882Y1 (ko) 연필꽂이 겸용 지우개
KR200294779Y1 (ko) 캡 분리가 용이한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