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764U -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764U
KR20120000764U KR2020100007664U KR20100007664U KR20120000764U KR 20120000764 U KR20120000764 U KR 20120000764U KR 2020100007664 U KR2020100007664 U KR 2020100007664U KR 20100007664 U KR20100007664 U KR 20100007664U KR 20120000764 U KR20120000764 U KR 20120000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white board
marker
writing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이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우 filed Critical 이종우
Priority to KR2020100007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764U/ko
Publication of KR20120000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8Movable closure or g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을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판재의 표면으로 백색 도료가 코팅된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선단에 필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부에서 열고 닫히는 뚜껑을 구비한 마커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과 일정한 각도로 부착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본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면의 일측에는 화이트 보드에 뚜껑이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가압한 후 마커의 본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White board marker lid separating unit}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을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회사 등의 강의실 등에서 필기를 위하여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분필은 필기시나 필기 후 지울 때 발생하는 가루로 인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은 물론 특히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대처 수단이 시급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 들어서는 가루가 날리지 않고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인체에도 무해한 화이트 보드에 마커를 사용하여 필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마커는 통상적으로 휘발성 잉크가 사용되는 것으로, 마커의 본체 선단에 형성되는 필기부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휘발성 잉크가 증발되지 않도록 뚜껑을 열고 닫게 구성된다.
그러나, 본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필기부에 열고 닫도록 구성되는 뚜껑은, 필기를 하지 않고 닫혀 진 상태에서는 휘발성 잉크가 증발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닫혀 지는 것으로, 즉 비교적 꽉 닫히게 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마커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두 손으로 뚜껑을 열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한 손으로 뚜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본체를 잡은 상태에서 뚜껑을 열어야 하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위하여 마커의 본체에서 뚜껑을 열은 상태에서는 뚜껑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관계로, 즉 아무 곳에다 뚜껑을 올려놓게 됨에 따라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뚜껑이 없는 마커는 단시간 내에 휘발성 잉크가 증발하게 됨에 따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근래 제작되는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는 학습시 학습자료 등을 쉽게 부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즉 학습자료에 고무자석이나 판 자석 등을 구비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자석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료 등을 부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판재에 흑색 도료를 코팅시에는 칠판으로, 백색 도료를 코팅시에는 화이트 보드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을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을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금속판재의 표면으로 백색 도료가 코팅된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선단에 필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부에서 열고 닫히는 뚜껑을 구비한 마커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과 일정한 각도로 부착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본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면의 일측에는 화이트 보드에 뚜껑이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가압한 후 마커의 본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자력에 의해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으로 뚜껑이 부착되도록 뚜껑의 막혀 진 면에 형성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뚜껑의 막혀 진 면에 형성되는 흡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에 사용되는 마커의 뚜껑을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뚜껑이 화이트 보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마커에 대한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임은 물론 뚜껑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어,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흡착방식에 의해 뚜껑을 부착시킴으로써,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뚜껑을 부착시켜 놓을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뚜껑에 마커 본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요부도.
도 3b는 뚜껑으로부터 마커 본체가 분리되는 상태의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학교나 학원 또는 회사 등의 강의실에 구비되는 금속판재(102)의 표면으로 백색 도료(104)가 코팅된 통상적인 화이트 보드(100)에 필기를 할 수 있도록 본체(112)의 선단에 필기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부에서 열고 닫히는 뚜껑(115)을 구비한 마커(110)에 있어서,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100)에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마커(110)의 뚜껑(115)을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도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115)에는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과 일정한 각도로 부착되는 부착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115)의 본체(112)가 삽입되는 개방된 면의 일측에는 화이트 보드(110)에 뚜껑(115)이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115)을 가압한 후 마커(110)의 본체(112)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2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착수단(10)은, 금속판재(102)로 제작되는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으로 통상적인 방식인 자력에 의해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으로 뚜껑(115)이 부착되도록 뚜껑(115)의 막혀 진 면에 형성되는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체는 뚜껑의 막혀 진 면에 통상적인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이트 보드는 학습시 학습자료에 구비된 자력수단에 의해 직접 부착시키거나 또는 자석 등으로 학습자료를 부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제작시 금속판재의 표면으로 백색 도료가 코팅되어 제작된 것으로, 뚜껑에 구비된 부착수단인 자성체에 의해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으로 원활하게 부착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은,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마커(110)의 뚜껑(115)에 형성된 부착수단(10)인 자성체를 사용하여 금속판재(102)로 제작된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으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마커(110)를 일정한 각도로 부착시켜 놓는다. 이때, 상기 화이트 보드(100)는 전체가 금속판재(102)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마커를 원하는 위치 어디에나 부착시켜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으로 뚜껑(115)에 구비된 부착수단(10)에 의해 마커(110)가 부착된 상태에서 마커(1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뚜껑(1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가압돌기(20)를 눌러 가압한 후 나머지 손가락으로 마커(110)의 본체(112)를 감싸면서 뚜껑(115)으로부터 도 3b에서와 같이 본체(112)를 이격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뚜껑(115)은 부착수단(10)인 자성체에 의하여 화이트 보드(110)의 필기 면으로 높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본체(112)를 분리시 딸려오지 않고 필기 면으로 부착되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두 손으로 마커(110)의 본체(112)를 뚜껑(115)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이 끝난 마커의 본체를 뚜껑으로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뚜껑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간단하게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마커를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 없이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손쉽게 부착시켜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커의 본체 또한 뚜껑으로부터 한 손으로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뚜껑으로부터 본체를 분리시킨 후에도 뚜껑은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으로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뚜껑의 분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뚜껑에 구비되는 부착수단을 더욱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금속판재로 제작되지 않은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 등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수단(10)은, 뚜껑(115)의 막혀 진 면에 뚜껑을 제작시 일체로 사출성형하거나 또는 아니면 통상적인 접착제나 스크류 또는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흡착부재(10a)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흡착부재는 흡착력에 의해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으로 흡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가압에 의해 흡착부재의 흡착면과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 사이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흡착되면 족할 것이다.
그에 따라 마커의 뚜껑에 구비되는 흡착부재를 사용하여 화이트 보드의 필기 면으로 흡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뚜껑에 형성된 가압돌기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함과 동시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마커의 본체를 감싸 뚜껑으로부터 마커의 본체를 이격시켜 분리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마커의 본체를 뚜껑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부착수단을 전술한 부착수단에 비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 : 부착수단 10a : 흡착부재
20 : 가압돌기 100 : 화이트 보드
110 : 마커 112 : 본체
113 : 필기부 115 : 뚜껑

Claims (3)

  1. 금속판재의 표면으로 백색 도료가 코팅된 화이트 보드에 필기를 할 수 있도록 본체의 선단에 필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부에서 열고 닫히는 뚜껑을 구비한 마커에 있어서,
    상기 뚜껑(115)에는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과 일정한 각도로 부착되는 부착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본체가 삽입되는 개방된 면의 일측에는 화이트 보드에 뚜껑이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을 가압한 후 마커의 본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10)은 자력에 의해 화이트 보드(100)의 필기 면으로 뚜껑(115)이 부착되도록 뚜껑(115)의 막혀 진 면에 형성되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10)은, 뚜껑의 막혀 진 면에 형성되는 흡착부재(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KR2020100007664U 2010-07-21 2010-07-21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KR201200007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64U KR20120000764U (ko) 2010-07-21 2010-07-21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64U KR20120000764U (ko) 2010-07-21 2010-07-21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64U true KR20120000764U (ko) 2012-02-02

Family

ID=4584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64U KR20120000764U (ko) 2010-07-21 2010-07-21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76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10B1 (ko) * 2012-07-27 2014-08-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드 마카 고정캡
KR101595081B1 (ko) * 2015-04-15 2016-02-18 신상군 유리칠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810B1 (ko) * 2012-07-27 2014-08-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드 마카 고정캡
KR101595081B1 (ko) * 2015-04-15 2016-02-18 신상군 유리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742B2 (en) Marker holder and eraser
US5855442A (en) Combined whiteboard marking pen and eraser
US7717636B2 (en) Hand-held dry-erase board system
KR20120000764U (ko) 화이트 보드 마커용 뚜껑 분리장치
WO2020246278A1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1430810B1 (ko) 보드 마카 고정캡
KR102089873B1 (ko) 화이트보드용 지우개
KR200249391Y1 (ko) 칠판 셋트
KR200397352Y1 (ko) 마커펜용 지우개
KR200413924Y1 (ko) 화이트보드용펜의 구조
KR200172761Y1 (ko) 화이트보드 칠판
KR200386047Y1 (ko) 화이트 보드
KR20160144731A (ko) 수정액이 내장 된 멀티 화이트보드 지우개
KR101952839B1 (ko) 보드용 펜
US20140078071A1 (en) Stylus Attachment for Writing Utensils
KR20110034741A (ko) 부착식 화이트보드용 지우개 및 마킹펜
KR200244363Y1 (ko) 휴대용 메모판
KR20230079659A (ko) 컴퓨터용 도장
KR200468592Y1 (ko) 공기필통
CA2623441C (en) Hand-held dry-erase board system
CN203110723U (zh) 吸尘板擦
EP2130685A2 (en) An improved marker pen
KR20030060260A (ko) 보드 마커 지지구
KR20090118784A (ko) 수정 테이프를 구비한 컴퓨터용 사인펜
JP2021041613A (ja) 複線引きペン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