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61Y1 - 무독성 항균연필 - Google Patents

무독성 항균연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61Y1
KR200333461Y1 KR20-2003-0026707U KR20030026707U KR200333461Y1 KR 200333461 Y1 KR200333461 Y1 KR 200333461Y1 KR 20030026707 U KR20030026707 U KR 20030026707U KR 200333461 Y1 KR200333461 Y1 KR 200333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antibacterial
toxic
temperatur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오
Original Assignee
한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오 filed Critical 한상오
Priority to KR20-2003-0026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무독성 항균연필은, 연필의 주재료가 되는 백축을 멸균하고 향기나 나도록 방향성 물질로 딥핑하며 감온성 캐릭터 필름으로 연필외부를 처리한 연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무독항균제에 일정시간 침적하여 항균 및 멸균시킨 일정길이를 갖는 필기구 형태의 항균백축(210) 내부에 연필심재(220)가 삽입되고 양끝단부를 마감처리함으로써 연필사용자에게 세균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특징이 있으며, 감온잉크로 형성되고 소정 형상의 무늬가 디자인된 감온캐릭터필름(240)을 상기 연필심재(220)가 삽입된 항균백축(210)의 외부를 일정폭으로 감아 표면처리 함으로써, 디자인된 소정 형상의 무늬가 외부 및 연필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발현 및 비발현되는 성질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필은 주사용자층인 유치원생들이나 어린이들에 전혀 해가 없으며, 지능을 발달시키는 캐릭터디자인이 감온상태로 반응하고 연필로부터 배어나오는 자연향이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Description

무독성 항균연필{Nonpoisonous sterilized pencil}
본 고안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필의 주재료인 백축을 항균 및 멸균처리하고 완성된 연필에서 향기가 나도록 유향물질로 처리한 다음 감온성 캐릭터필름으로 연필외부를 감싸 줌으로써, 유해성을 제거하고 향기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시 외부온도에 감온되어 다양한 무늬를 발현시킬 수 있는, 무독성 항균연필을 제시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연필 구조도이다.
일반적으로 연필(10)이라 함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연필백축(110), 연필심재(120), 백축미두(130)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연필(10)은 연필백축(110)이 될 평평한 판(plate) 형태로 된 2개의 나무축판 사이에 연필심재(120)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며, 이를 위해 먼저 제1나무축판 상부에 연필심재(120)가 위치하도록 기다란 요철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연필심재(120)를 삽입하여 이후 다시 이 상부에 제2나무축판을 덮은 다음, 이 후 단순개체의 연필이 되도록 각각 잘라 외부를 마무리하여 최종적으로 연필(10)을 완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연필(10)은, 그 제조공정 중에 연필의 주재료인 나무축판이, 완성될 연필의 미감과 목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체에 해가 되는 화학약품을 투여하여 염색을 하게 되고 다시 이를 건조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완성된 연필을 깎아 필기를 하게 되면 화학약품 냄새가 풍겨 머리가 아플 뿐만 아니라, 실제로 두통을 호소하는 사태까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좋지않은 냄새를 희석시키기 위해, 향기나 나는 물질에 담가 처리하므로써, 완성된 연필에서 향기나 배어나오도록 한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작업 공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무축판 및 염색의 유해성을 근본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해성은 나무축판 등에 포함되는 각종 유해한 세균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 것이며, 때문에 연필의 주사용층이라 할 수 있는 유치원생들 및 어린이들이 이러한 연필을 입에 물거나 연필을 만졌던 손으로 눈을 비비는 등 사소한 행동이 해로운 화학약품 성분을 인체로 흡수하게 되며 결국에는 질병으로 까지 발생하고 있는 등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필의 각 재료들을 향균 또는 멸균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해로움을 주는 각종 세균 등의 문제를 해결한 연필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어린이들의 감성 및 지성발달을 돕고 호감을 일으킬 수 있도록 감온성필름으로 표면을 처리하고, 완성된 연필에서 은은한 향이 배어나오도록 향균 및 멸균처리 한 후에 향기성 물질로 침전 건조처리한 연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 일반적인 종래의 연필 구조도.
도 2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의 구조도.
도 3 ;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의 구조도.
도 4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 제조방법의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종래의 연필
110 : 연필백축 120 : 연필심재
130 : 백축미두
20 : 무독성 항균연필
210 : 항균백축 220 : 연필심재
230 : 백축미두 240 : 감온캐릭터필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의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독성 항균연필(20)은 크게 항균백축(210), 연필심재(220), 백축미두(230)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도 3과 같이 외층필름(240)을 항균백축(210)에 코팅하거나 감아 처리하는 구조도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독성 항균연필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백축(210)으로 이용하게 될 나무축판(210a)을, 아래와 같이
증류수 ····················· 25 ~ 35 중량%,
수성색소 ···················· 17 ~ 23 중량%,
무기향균제 ··················· 25 ~ 35 중량%,
바인더 ····················· 17 ~ 23 중량%
을 각각 배합한 항균용액에 넣고 약 48시간 동안 약 10 ~ 20 ℃정도의 미지근한 저온상태의 물에 침적한다. 이후 항균용액에서 건져 내어 약 60 ~ 70 ℃에서 120시간 정도 삶는다. 이 후 자연건조하여 도 4의 (A)와 같은 항균백축(210) 용 나무축판(210a)을 얻는다.
이 공정에서는 완성된 무독성 항균연필(20)에서 향기로운 자연향이 배어나올 수 있도록 유향공정을 선택적,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향공정은 항균공정을 실시한 나무축판(210a)을, 아래에 제시한 바와 같이
증류수 ······················ 55 ~ 65 중량%,
바인더 ······················ 12 ~ 18 중량%,
자연 수성향제 ···················22 ~ 28 중량%,
유성향제 ······················3 ~ 8 중량%,
소포제 ·······················3 ~ 8 중량%
을 각각 배합한 향수용액을 약 3 ~ 6 시간정도 딥핑(dipping)하고 이 후 건조함으로써, 완성된 항균연필(20)에서 은은한 향이 배어 나오도록 하게 된다. 건조과정에서 열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나무축판(210a)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실시하여야 레벨팅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다 양질의 자연향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여기서 사용하는 향기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아로마향 및 로즈메리향에서부터 필요하다면 인공향도 쓸 수는 있으나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연 수성향제 및 유성향제도 마이크로캡슐화된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 후 다음 공정에서는 도 4의 (B)와 같이, 건조준비된 나무축판(210a)을 완성될 항균연필(20)의 직경정도 만큼 이격되도록 일정한 폭으로 연필심재(220) 삽입용 기다란 홈을 파고 여기에 연필심재(220)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다시 하부의 나무축판(210a)과 대응되도록 역시 연필심재(220)가 삽입될 부분에 일정한 간격의 기다란 홈이 파여진 또 하나의 나무축판(210a)을 덮어 압연합체하며, 이렇게 연필심재(220)가 삽입된 상태로 압연합체된 상태를 연필심재(220) 사이사이에서 절단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외형을 다듬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서로 다른 형태의 항균연필(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인 도 2의 항균연필(20)은 도 4의 (B) 공정 이 후, 잘라 다듬어진 단일형체를 그 표면을 처리하고, 이 연필외형의 일측단부에백축미두(230)를 형성하여 마무리함으로써 완성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인 도 3의 항균연필(20)은 도 4의 (B) 공정 이 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그림이 디자인된 감온 특성이 있는 감온캐릭터필름(240)을 연필외형에 감는 공정을 추가하여 진행하게 된다.
이 감온캐릭터필름(240)은 아래에 제시한 바와 같이,
감온잉크 ··················· 82 ~ 90 중량%,
리듀셔(reducer) ················18 ~ 10 중량%
으로 혼합하되 약 65 ~ 75%의 점도와 약 27 ~ 33%의 농도가 되도록 배합하여 생산한 것이다.
이 후 마지막으로 도 4의 (D)와 같이, 그 표면을 처리하고, 이 연필외형의 일측단부에 백축미두(230)를 형성하여 마무리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무독성 항균연필(20)을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감온캐릭터필름(240)을 이용하여 완성될 무독성 항균연필(20)의 표면을 감아 처리하면 디자인된 각종 무늬가 주위의 온도 및 손 온도에 따라 발현되거나 또는 감추어지게(비발현) 된다. 따라서 연필사용자, 특히 주사용자인 유치원생들이나 어린이들의 지성과 감성을 자극하고 발달시켜 학습에 많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아울러 나무축판(210a)을 항균 또는 멸균처리한 다음, 주재료인 항균백축(210)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들의 항균연필(20)은 서로 상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독성 항균연필(20)은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무독성 항균연필(20)의 고안자는, 일반적으로 연필을 사용하는 주사용자층이 어린이들이며 어린이들은 종래 일반적인 연필의 유해함이 큰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인체에 해가 없는 연필을 개발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많은 실험끝에 항균처리가 되고 감온캐릭터필름(240)으로 표면을 처리한 상태에서도 나무축판(210a)의 성질이 변하지 않는 본 무독성 항균연필(20)을 고안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의 무독성 항균연필(20) 제조에 있어서 연필의 외부 모형(단면)은 일반적인 육각 이외에도 사각, 원형, 스크류(screw)형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독성 항균기능의 적용으로, 연필사용의 주고객층인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들로서 입에 무는 습관과 연약한 손의 피부는 세균들의 위험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뿐만아니라 아로마향, 로즈메리향, 박하향 등의 향기기능의 부여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수험생의 기억력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제라늄향과 유향은 흥분된 기분을 가라앉히고 우울한 기분을 상승시켜준다. 아울러, 아카시아향, 오이향은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감온기능의 부여로서 손의 온도에 따라 숨은 그림들이 다시 재현됨으로써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손의 온도와 날씨에 따라서 감온안료 부분의 변화하는 모습은 모든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아내게 함은물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구매력을 촉진시킬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연필에 있어서,
    무독항균제에 일정시간 침적하여 항균 및 멸균시킨 일정길이를 갖는 필기구 형태의 항균백축(210) 내부에 연필심재(220)가 삽입되고 양끝단부를 마감처리함으로써 연필사용자에게 균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항균연필(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은,
    감온잉크가 삽입되고 소정 형상의 무늬가 디자인된 감온캐릭터필름(240)을 상기 연필심재(220)가 삽입된 항균백축(210)의 외부를 일정폭으로 감아 표면처리함으로써, 상기 디자인된 소정 형상의 무늬가 외부 및 상기 연필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발현 및 비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항균연필(2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백축(210)은,
    소정의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성물질이 첨가된 향수용액에 일정시간 딥핑(dipping)하여 건조함으로써, 완성된 항균연필(20)에서 은은한 향이 배어 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독성 항균연필(20).
KR20-2003-0026707U 2003-08-19 2003-08-19 무독성 항균연필 KR200333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07U KR200333461Y1 (ko) 2003-08-19 2003-08-19 무독성 항균연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707U KR200333461Y1 (ko) 2003-08-19 2003-08-19 무독성 항균연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070A Division KR100613200B1 (ko) 2003-08-18 2003-08-18 무독성 항균연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61Y1 true KR200333461Y1 (ko) 2003-11-14

Family

ID=4934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07U KR200333461Y1 (ko) 2003-08-19 2003-08-19 무독성 항균연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38B1 (ko) 2010-08-24 2012-12-27 김중호 연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38B1 (ko) 2010-08-24 2012-12-27 김중호 연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Modernism's history: A study in twentieth-century art and ideas
ES2084307T3 (es) Composicion para el maquillaje y el cuidado de las pestañas y/o las cejas y su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lia Drawing Christ’s Blood: Michelangelo, Vittoria Colonna, and the Aesthetics of Reform
KR200333461Y1 (ko) 무독성 항균연필
KR100613200B1 (ko) 무독성 항균연필
KR100549924B1 (ko) 무독성 항균연필의 제조방법
KR101155518B1 (ko) 헤어브러시
KR20120036508A (ko) 무독성 항균연필의 제조방법
JP2012062455A (ja) 組合せ固形石鹸とそのセット
US3208910A (en) Zirconium acetate hair tre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of using same
Nadeau Using the visual arts to expand personal creativity
KR20110064825A (ko) 항균기능을 갖는 방향 종이 및 그 제조방법
WO2005016662A1 (en) Nonpoisonous antibiosis penc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208076A (ja) 二重瞼形成剤
KR100388311B1 (ko) 향을 발산하는 실크인쇄용 잉크 를 이용한 섬유인쇄방법
Kynes Llewellyn's Complete Book of Essential Oils: How to Blend, Diffuse, Create Remedies, and Use in Everyday Life
Lutes Making Up Race: Jessie Fauset, Nella Larsen, and the African American Cosmetics Industry
Le Norcy Selling perfume: a technique or an art?
JP7055440B2 (ja) マーカーペン型香り付き塗布具及びそれを用いた使用方法
JP2007161695A (ja) 消えるボディアート及びその刷り込み方法
KR200364333Y1 (ko) 혼합유가 코팅된 목재 퍼머넌트롯드
JP2023170424A (ja) 薬剤揮散体および薬剤揮散器
Kakonge PROMOTING HAIR GROWTH FOR ALL HAIR TYPES: USING NATURAL METHODS
BG3131U1 (bg) Ароматични бои за картини и картини с ароматични бои
Lee et al. Science for hairdressing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