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957Y1 -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 Google Patents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957Y1
KR200332957Y1 KR20-2003-0025285U KR20030025285U KR200332957Y1 KR 200332957 Y1 KR200332957 Y1 KR 200332957Y1 KR 20030025285 U KR20030025285 U KR 20030025285U KR 200332957 Y1 KR200332957 Y1 KR 200332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generator
commercial
commerci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갑곤
Original Assignee
서한컨설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컨설탄트(주) filed Critical 서한컨설탄트(주)
Priority to KR20-2003-0025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9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전을 대비하여 비상용 발전기가 설치된 수용가의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로서, 돌발적인 사고와 낙뢰 등으로 인한 상용전원 정전시 부하전원을 발전기전원측으로 자동절체하여 부하에 전원을 계속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는, 상용전원(1)을 수전하기위한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 발전기전원(2)을 수전하기 위한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 상기 상용전원(1)과 상기 발전기전원(2)의 자동절체를 위한 절체릴레이(40);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Automatic power transfer device for Load}
본 고안은 정전을 대비하여 비상용 발전기가 설치된 수용가의 부하전원 공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전원이 정전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부하전원공급을 비상용발전기 전원 측으로 자동절체하기 위한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라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 계통도이다.
일반적인 수용가에서는 상용전원(1)이 정전으로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전원확보 차원에서 별도의 발전기전원(2)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인 부하전원공급은 상용전원(1)이 주변압기(4)에 의해 부하의 정격전압으로 강압되고 전등 및 전열용 저압기중차단기(5-1)를 통해 부하(70)에 공급된다.
상용전원(1) 정전시 수용가의 전기실에 기설치 되어 운영중인 수배전반의 부족전압계전기의 동작으로 비상용발전기는 기동되고 정격전압이 확립되면 수배전반의 자동절체스위치(6)는 발전기전원(2)측으로 절체 된다.
자동절체스위치(6) 2차 측은 공용부전원(7)으로 소화전, 엘리베이터 및 비상등과 같이 꼭 필요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이므로, 상용전원(1) 인가 시는 상용전원 (1)이, 상용전원(1) 정전 시는 발전기전원(2)이 공급된다.
그리고, 부하는 각 사용자의 운전시간에 따라 그 사용전기요금이 부과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하전원을 공용부전원(7)측에 연결하면 발전기전원(2) 공급 시에는 관계없지만 상용전원(1) 공급 시에는 각 사용자의 부하 운전시간에 관계없이 전기요금이 수용가 전체에 공동 분배되는 불합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부하전원은 상용전원(1)이 정전되면 부하(7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이런 상태는 상용전원(1)이 다시 송전 될 때까지 지속되며 장시간 정전 시 수용가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용전원이 정전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부하전원을 비상용 발전기 전원 측으로 자동절체하여 부하에 전원을 계속공급하기 위한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상세회로도
도2는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전원공급 계통도
도3은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가 설치된 경우의 전원공급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상용전원 2 : 발전기전원
10 : 상용전원 입력단자부 20 :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
11 : 상용전원용 퓨즈 21 : 발전기전원용 퓨즈
40 : 절체릴레이 50 : 전원출력부
60 :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70 : 부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는,
상용전원(1)을 수전하기 위한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
발전기전원(2)을 수전하기 위한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
상기 상용전원(1)과 상기 발전기전원(2)의 자동절체를 위한 절체릴레이 (40);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체릴레이(40)는 상기 발전기전원(2)의 공급으로 구동되는 동작코일(41)과 동작코일에 연동되는 절체접점(42-1, 42-2)이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용전원(1) 및 발전기전원(2)을 부하의 단락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 및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 직후 단에는 상용전원용퓨즈 Fuse(11) 및 발전기전원용퓨즈 Fuse(21)가 각각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의 상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1)이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에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을 때는 절체릴레이(40)의 동작코일(41)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절체접점(42-1, 42-2) b접점을 거쳐 전원출력부(50)로 상용전원(1)이 그대로 출력되어 부하(70)에는 상용전원(1)이 인가되어 운전된다.
이때 부하의 단락사고나 과부하 사고 등은 상용전원용퓨즈 Fuse2(11)로 보호된다.
한편, 상용전원(1)이 정전되면 정전을 대비하기 위해 설치된 발전기전원(2)이 확립되어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에 인가되고 절체릴레이(40)의 동작코일(41)에 인가되면 절체접점(42-1, 42-2)은 a접점으로 전환되어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에 인가된 발전기전원(2)이 전원출력부(50)로 출력되어 부하(70)는 발전기전원(2)으로 운전된다.
이때 부하의 단락사고나 과부하 등은 발전기전원용 퓨즈 Fuse1(21)로 보호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3의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가 설치된 부하전원 계통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용전원(1)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주변압기(4)에 의해 부하의 정격전압으로 강압되고 전등 및 전열용 저압기중차단기(5-1)를 거쳐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의 상용전원입력단자부(10)에 인가되면 절체릴레이부(40)의 절체접점 b접점(42-1, 42-2)을 거쳐 부하(70)에는 상용전원(1)이 인가되어 운전된다.
이때, 상용전원(1)은 공용부 저압기중차단기(5-3)를 거쳐 자동절체스위치(6)에 인가되며 공용부전원(7)에는 상용전원(1)이 인가되므로 소화전, 엘리베이터 및 비상등과 같은 비상부하에 사용되는 것은 관계없지만, 각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사용되는 부하(70)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없도록 수배전반의 전자접촉기(8)를 거쳐서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의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에 접속된다.
한편, 상용전원(1) 정전 시 수용가 전기실에 기 설치되어 운영중인 수배전반의 부족전압계전기의 동작으로 비상용발전기는 기동되고 정격전압이 확립되면 수배전반의 자동절체스위치(6)는 발전기전원(2)측으로 절체 된다.
즉 공용부전원(7)에는 발전기전원(2)이 공급되고 수배전반의 전자접촉기(8)는 상용전원(1)이 정전된 것을 확인한 후 자동 투입되어,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60)의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에 발전기전원(2)이 인가되면, 발전기전원용 퓨즈 Fuse1(21)을 거쳐 절체릴레이(40)의 동작코일(41)에 전압이 인가되면 절체접점(42-1, 42-2)은 a접점으로 자동 전환되어 발전기전원(2)이 전원출력부(50)로 출력되어 부하(70)는 발전기전원(2)으로 운전된다.
이때, 부하의 단락사고나 과부하사고 등은 발전기전원 입력보호회로부의 발전기전원용 퓨즈 Fuse1(21)로 보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는 비상용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는 수용가의 부하전원을 상용전원의 정전에 관계없이 발전기전원으로 자동절체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상용전원(1)을 수전하기 위한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
    발전기전원(2)을 수전하기 위한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
    상기 상용전원(1)과 상기 발전기전원(2)의 자동절체를 위한 절체릴레이 (40);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릴레이(40)는 상기 발전기전원(2)의 공급으로 구동되는 동작코일 (41)과 상기 동작코일에 연동되는 절체접점(42-1, 42-2)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1) 및 발전기전원(2)을 부하의 단락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상용전원 입력단자부(10) 및 발전기전원 입력단자부(20) 직 후단에는 상용전원용퓨즈 Fuse2(11) 및 발전기전원용퓨즈 Fuse1(21)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KR20-2003-0025285U 2003-08-06 2003-08-06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KR200332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5U KR200332957Y1 (ko) 2003-08-06 2003-08-06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85U KR200332957Y1 (ko) 2003-08-06 2003-08-06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957Y1 true KR200332957Y1 (ko) 2003-11-14

Family

ID=4934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85U KR200332957Y1 (ko) 2003-08-06 2003-08-06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9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62B1 (ko) * 2007-06-26 2009-04-06 유기현 양전원 기중차단기가 구비된 배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62B1 (ko) * 2007-06-26 2009-04-06 유기현 양전원 기중차단기가 구비된 배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1646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JP2003514361A (ja) 電気負荷の接続および安全接続解除のための安全切換装置、特に、電気駆動装置
US7148585B2 (en) Power grid backfeed protection apparatus
RU27429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цепи и узел защиты цепи,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цепи
KR200332957Y1 (ko) 부하전원 자동절체장치
CN101091298B (zh) 用于后备保护的总开关装置
JP2018518006A (ja) 交流電圧網に接続するための配電システム
KR840001584B1 (ko) 휴대용 비상 안전장치
KR101541208B1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KR20030021544A (ko)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312407Y1 (ko) 보일러전원 자동절체장치
CN218335333U (zh) 一种供电系统
JP2783313B2 (ja) 異常電圧保護付き低圧開閉装置
KR200275698Y1 (ko) 회로변경 배선용차단기
CN210350859U (zh) 一种用于监控断路器的警报装置
RU2806447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для сетей с маломощными источникам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JPH08182220A (ja) 過電流保護継電装置
KR200227142Y1 (ko) 전력공급설비안정화장치
CN2231830Y (zh) 双磁启动器
SU13041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тключени выключател
JP3587392B2 (ja) 住居用配電監視装置
JP2024011299A (ja) 直流回路
JPH10285719A (ja) 分電盤
JPH0517782Y2 (ko)
JPH10309008A (ja) 感震ブレーカ付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