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47Y1 - inline skate - Google Patents

in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47Y1
KR200332547Y1 KR20-2003-0024844U KR20030024844U KR200332547Y1 KR 200332547 Y1 KR200332547 Y1 KR 200332547Y1 KR 20030024844 U KR20030024844 U KR 20030024844U KR 200332547 Y1 KR200332547 Y1 KR 200332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frame
buffer
fixed plate
skate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8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덕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김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김명덕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2003-0024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4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피로 이루어지는 부츠와, 이 부츠의 저부에 갖추어진 로울러로 구성된 인라인 스케이트로써, 상기 부츠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방측 각각에 축수부가 갖추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직하부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전,후방측에 설치되는 상기 로울러의 회전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축간 거리의 변위를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된 완충 프레임과; 상기 완충 프레임와 고정판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이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을 탄력지지토록 하는 간격유지봉으로 구성된 완충부와; 상기 축수부에 상단이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단에 연결된 로울러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스케이트에 체중이 실리면, 고정판과, 축수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링크부를 회전하며 전,후방측 로울러를 각각의 외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인라인 스케이트로써, 노면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전,후방측 로울러의 축간 거리가 변위됨으로써 직진성을 향상시켜 주행속도를 증가시키고, 주행 중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ine skate consisting of a boot made of inner and outer shells, and a roll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ot, the fixing plate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ot and having a bearing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buff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fixed plate, the buffer frame having a long hole for guiding displacement of the distance between shafts while enabling rotation of the rollers installed at leas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 buffer portion comprising a spring retaining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by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buffer frame and the fixed plate, and a gap retaining ro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The lin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portion and rotates around the link portion for moving the rolle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weight is loaded on the skate, the fixed plate and the bearing part is moved downward, the movement An inline skate that ha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to move the front and rear rollers outwards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and buffers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and improves straightness by displa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llers. By increasing the running speed, you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while driving.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Inline skat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시 또는 점핑 후의 착지 과정에서 착용자의 몸무게가 실리면 순간적으로 로울러의 축간 거리가 변위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키고, 직진 속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line skating, and more particularly, inline skating such that when the weight of the wearer is carried out during driving or after landing, the interaxial distance of the roller is displaced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and increase the straight speed. It is about.

또한 본 고안은 요철,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주행자의 발목 및 인체를 보호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that protects the ankle and the human body of the rider by buffering the impact applied on the road surface during irregularities and irregular roads.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최소 2개 이상의 로울러가 일렬로 배열된 구조로, 다른 운동에 비해 연습 기간이 짧고, 전신 운동으로 건강 유지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스피드감을 즐길 수 있어 최근, 남녀 노소가 즐기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In general, inline skating i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rollers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training period is shorter than other sports, and it is not only suitable for maintaining health with a full body exercise, but also enjoys a sense of speed. It is a popular sport.

롤러 스케이트로부터 시작된 인라인 스케이트는 근래 안전성과 디자인 측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시각적인 효과와, 야간에 주변 사람들과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행 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개발된 것을 비롯하여, 노면의 충격을 완화시켜 발목이나 인체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또한 개발되어 있다.Inline skating started from roller skating has developed a lot in recent years in terms of safety and design. Especially, inline skating has been developed to allow light to be emitted when driving to prevent visual effects and safety accidents to be encountered by people around at night. In addition, in-line skates have been developed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so as not to affect the ankle or the human body.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308234호를 살펴보면,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노면에 의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looking at th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8234, by using a spring member to cushion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look at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즉, 신발과; 상기 신발의 폭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신발의 밑창으로부터 상기 지지축이 임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신발의 밑창에 고정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신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되며, 구름 운동을 수행하는 바퀴와; 양단이 상기 각 바퀴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각 바퀴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된 관통축; 그리고, 상기 각 지지부재의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의 중앙 권취부가 삽지되고, 단부는 상기 각 바퀴를 관통하는 관통축의 양 단에 각각 권취되는 한 쌍의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with shoes; It is formed integrally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support shaft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and has a length such that the support shaf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ole of the shoe by an arbitrary distance to the sole of the shoe A support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A wheel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and performing a rolling motion; A through shaft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each wheel such that both ends protrude to both sides of each wheel; And each center winding part is inserted in the both sides of the support shaft of each said support member, and the edge part is comprised by the pair of spring member respectively wound by the both ends of the through shaft which penetrates the said each wheel.

그런데,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 또는 요철에 의한 충격을 스프링이 완충시켜 사용자의 발목을 어느 정도 보호 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권취된 스프링이 일방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잦은 코너링으로 인하여 어느 일측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주행시 인라인 스케이트가 한쪽으로 쏠려 주행이 어렵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발목, 허리 등을 다치게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is in-line skate may be able to protect the user's ankle to the extent that the spring cushions the shock caused by irregular road surface or unevenness during driving, but the elastic force of either side due to the wound spring is moved to one side or frequent cornering When it is deteriorated, the inline skates are pul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making driving difficult, and if such a phenomenon is repeated, the ankle and the waist are hurt.

또한, 스프링 부재가 바퀴의 관통축이 직접 권취되어 스프링 부재와 관통축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속도가 저하되고, 각각의 바퀴 모두에 스프링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스케이트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member has a problem in that the through shaft of the wheel is directly wound to generate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spring member and the through shaft, so that the speed is lowered and the weight of the skate becomes heavy due to the spring member being installed on each wheel. have.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완충 프레임에 로울러의 회전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로울러 축간 거리의 변위를 안내하는 장공을 구비하여, 주행 즉, 한발을 축으로 다른 발을 전진하는 킥 동작 시 또는, 점핑 후의 착지 과정에서 전,후방측 로울러의 축간 거리가 순간적으로 벌어져 안정된 착지를 가능하며, 직진 속도가 증가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long hole for guiding displacement of the roller shaft distance, as well as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in the buffer frame, so that the driving, that is, one foot as the axis It is possible to provide inline skates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llers is momentarily increased during the kicking operation to advance the other foot or during the landing process after the jump, thereby stably land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로울러의 축간 거리가 변위됨으로써, 직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긴 프레임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스케이트의 무게가 가벼워 일반인도 안정적인 상태에서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xis of the roller is displaced,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long frame to improve the straight speed, so the weight of the skate is light,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enjoy the sense of speed in a stable state It i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판과, 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최소 2개 이상의 충격 완충부를 두어 노면 또는 착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가 충격을 완충하여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fixed plate and a cushioning frame rotatably provided with a roller, and at least two or more shock absorbing parts therebetween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by the road surface or the weight of the wearer, The buffer unit is to provide an in-line skate to cushion the shock so that the human body does not overdo i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외피로 이루어지는 부츠와, 이 부츠의 저부에 갖추어진 로울러로 구성된 인라인 스케이트로써, 상기 부츠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방측 각각에 축수부가 갖추어진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직하부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전,후방측에 설치되는 상기 로울러의 회전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축간 거리의 변위를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된 완충 프레임과; 상기 완충 프레임와 고정판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이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을 탄력지지토록 하는 간격유지봉으로 구성된 완충부와; 상기 축수부에 상단이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단에 연결된 로울러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스케이트에 체중이 실리면, 고정판과, 축수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링크부를 회전하며 전,후방측 로울러를 각각의 외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ine skate consisting of a boot made of inner and outer shells and a roll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ot, the fixing plate being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ot and having a bearing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buff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fixed plat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rollers installed at leas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o guide the displace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s; A buffer portion comprising a spring retaining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by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buffer frame and the fixed plate, and a gap retaining ro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The link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portion and rotates around the link portion for moving the rolle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weight is loaded on the skate, the fixed plate and the bearing part is moved downward, the movement It has the technical feature to rotate the link part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and move the front and rear rollers outward.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측면도,1 is a side view of the inline sk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부분 단면도,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의 길이가 늘어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ame of the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요부 확대 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인라인 스케이트 11 : 부츠10: Inline Skating 11: Boots

12 : 버클 13 : 장식부12: buckle 13: ornament

20 : 로울러 21 : 회전축20: roller 21: axis of rotation

30 : 고정판 31 : 축수부30: fixed plate 31: bearing part

40 : 완충 프레임 41 : 장공40: buffer frame 41: long hole

50 : 완충부 51 : 스프링50: buffer 51: spring

60 : 링크부60: link sec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부를 절개한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ide view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part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10)는 부츠(11)와, 상기 부츠(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판(30)과, 이 고정판(30)의 직하부측에 위치하며, 노면의 충격 및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 프레임(40)과, 상기 완충 프레임(40)에 설치되는 로울러(20)와, 상기 완충프레임(40)과, 고정판(3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탄력지지함과 아울러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완충부(60) 및 전,후방측 로울러(21)(22)를 회전시키는 링크부(50)로 구성된다.In-line sk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is a boot 11, a fixed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ot 11, and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fixed plate 30,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and The buffer frame 40 for buffering the load, the roller 20 installed in the buffer frame 40, the buffer frame 40 and the fixed plate 30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support and the road surface The shock absorbing part 60 which absorbs a shock, and the link part 50 which rotates the front and rear rollers 21 and 22 are comprised.

바람직하기로, 상기 부츠(11)는 착용자의 발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전면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11a)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11a)를 가로 질러 설치된 조절끈(11b)을 당겨 개방부(11a)를 조이는 버클(12)이 구비되는 한편, 부츠(1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장식부(13)가 갖추어진 구성이다.Preferably, the boot 11 has an opening portion 11a formed in the front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foot of the wearer can easily enter, and the opening portion is pulled by pulling the adjusting strap 11b installed across the opening portion 11a. While the buckle 12 which tightens 11a is provided, the decoration part 13 which makes the appearance of the boot 11 beautiful is provided.

상기 고정판(30)은 부츠(11)의 저면 중앙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상판(34)이 밀착 고정되고, 이 상판(34)의 양측단 하방으로 측벽(33)이 갖추어지며, 양 측벽(33) 사이에 격벽(32)이 갖추어진, 대략 역 "ㅂ" 형상이다.The fixing plate 30 is fixed to the upper plate 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 11, the side wall 33 is provided below both side ends of the upper plate 34, both side walls 33 The partition 32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inverse "격" shape.

또한, 상기 고정판(30)의 측벽(33) 전,후방측 각각에는 축수부(31)가 갖추어져, 후술하는 링크부(60)가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로울러(20)를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bearing portion 31 is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ide wall 33 of the fixing plate 30, so that the link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and moves the roller 20.

상기 완충 프레임(40)은 대략 "H" 형상으로 양측면 프레임(43)의 상단은 상기 고정판(30)의 측벽(33)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고정판(30)이 완층 프레임(40)의 측면 프레임(43)에 삽입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완충 프레임(40)의 양측면 프레임(43) 사이에는 격판(42)이 설치되는데, 이 격판(42)의 중앙을 관통하여 완충부(50)의 간격유지봉(52)이 설치된다.The buffer frame 40 has an approximately "H" shape, and the upper ends of both side frames 43 are assembl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ide wall 33 of the fixing plate 3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e fixing plat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43 of the complete frame 40. A diaphragm 42 is installed between both side frames 43 of the shock absorbing frame 40, and a gap retaining rod 52 of the shock absorbing part 50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phragm 42.

또한, 상기 완충 프레임(40)의 양측면 프레임(43) 사이에는 로울러(20)가 회전축(20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완충 프레임(40)의 전,후방측에는 장공(41)이 형성되어 이 장공(41)에 설치되는 전후방측 로울러(21)(22)의 이동을 안내한다.In addition, the roller 20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rotation shaft 20a between both side frames 43 of the buffer frame 40, wherein the long hole 4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uffer frame 4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side rollers 21 and 22 provided in the long hole 41.

예컨데, 상기 로울러(20)는 그 중앙 부위를 관통하는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 회전축(20a)의 양단이 상기 완충 프레임(40)의 양측면(43)에 걸려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완충 프레임(40)의 양측면 프레임(43)의 전후방측 각각에는 장공(41)이 형성되고, 이 장공(41)에 회전축(20a)이 끼워져 이 장공(41)을 따라 이동한다.For example, the roller 20 rotates about a rotating shaft 20a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0a are caught on both sides 43 of the buffer frame 40 to rotate. A long hole 41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side frames 43 of the buffer frame 40, and a rotation shaft 20a is fitted in the long hole 41 to move along the long hole 41.

한편, 상기 완충부(50)는 스프링(51)과, 간격유지봉(5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봉(52)은 상단에 머리부(53)를 구비하고, 하부에 스토퍼(54)가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단 머리부(53)는 고정판(30)의 격벽(32) 상면에 위치하고, 스토퍼(54)는 완충 프레임(40)의 격판(42) 저부에 위치하여 완충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스프링(51)이 완충 프레임과 상기 고정판을 탄력지지하도록 거리를 제한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ffer unit 50 is composed of a spring 51, the gap retaining rod 52, the gap retaining rod 52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53 at the upper end, the stopper 54 at the bottom In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head 53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32 of the fixing plate 30, the stopper 5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aphragm 42 of the buffer frame 40 to move the buffer frame. In addition to limiting, the spring 51 limits the distance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and the fixing plate.

다시 말해, 상기 스프링(51)은 고정판(30)과, 완충 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탄력 지지하는데, 이때 상기 간격유지봉(52)의 머리부(53)와 스토퍼(54)가 완충 프레임(40)과 고정판(30) 사이의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스프링(51)의 탄발력이 발생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spring 51 is inter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30 and the buffer frame 40 to elastically support them, wherein the head 53 and the stopper 54 of the gap retaining rod 52 are cushioned. By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40 and the fixed plate 30,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1 is generated.

또한, 상기 링크부(60)는 상단이 고정판(30)의 축수부(31)에 힌지핀(61)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단부는 상기 로울러(20)의 회전축(20a)과 연결되어, 회동시 로울러(20)를 이동시켜 축간 거리가 벌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면과 같은 형상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 예에 불고하고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소정의 폭으로 길게 구성된 평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60 is connected to the shaft pin 31 of the fixing plate 30 by the hinge pin 61 and rotates about the center,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0a of the roller 20. In this configuration, the roller 20 is moved during rotation so that the interaxial distance is widened. Th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and another form, for example, a flat plat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used. have.

여기서 상기 링크부(60)는 반드시, 상단부가 하단의 내측방향에 위치하여야한다. 예컨데, 전방측 로울러(21)를 이동시키는 링크부(60)의 하단은 로울러(20)의 회전축(20a)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판(30)의 축수부(31)에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다.Here, the link portion 60, the upper end must be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ower end.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link portion 60 for moving the front roller 2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0a of the roller 20,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earing portion 31 of the fixing plate 30 in a state inclined inward.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전,후방측 로울러(21)(22)의 축간 거리를 순간적으로 벌려 직진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먼저 부츠(11)의 저면에 고정판(30)이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mproves the straightness by temporarily increasing the interaxi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rollers 21 and 22, and aims for stability. First, the fixing plate 3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ot 11. Is installed.

상기 고정판(30)은 상판(34)의 상면에 부츠(11)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보울트 또는 리벳팅에 의해 고정되며, 이 하부측에 완충 프레임(40)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완충프레임(40)과, 고정판(30)은 간격유지봉(52)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스프링(5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또한, 완충 프레임(40)의 양측면 프레임(43) 사이에는 로울러(20)가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설치된다.The fixing plate 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4 by bolts or riveting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 11, and the buffer frame 4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buffer frame 40 and the fixing plate 30 is connected by the gap retaining rod 52,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51, and between the side frame 43 of the buffer frame 40 The roller 20 is installed around the rotation shaft 20a.

여기서, 전후방측 로울러(21)(22)의 회전축(20a)은 완충 프레임(40) 전후방측 단부에 형성된 장공(41)이 끼워져 회전함과 아울러, 이를 따라 이동하고, 이 장공(41)의 외측 다시 말해 완충 프레임(40)의 외측으로 링크부(60)의 하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20a)은 이를 관통하여 설치된다.Here, the rotating shaft 20a of the front and rear side rollers 21 and 22 is inserted and rotated along the long hole 41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f the buffer frame 40, and moves along the outside thereof. In other words, the lower end of the link unit 60 is located outside the buffer frame 40, and the rotation shaft 20a is installed therethrough.

또한, 상기 링크부(60)의 상단은 힌지핀(61)에 의해 고정판(30)의 축수부(31)와 연결 조립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link portion 60 is connected and assembled with the bearing portion 31 of the fixing plate 30 by a hinge pin (61).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10)는 요철, 불규칙한 노면에서의 주행시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이 충격이로울러(20)에 가해지면, 이 스프링(51)에 탄력지지된 완충 프레임(40)이 충격을 완충시켜 발목이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The inline skat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cushions an impact applied on the road surface when traveling on irregularities and irregular road surfaces.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roller 20, the spring 51 is elastically supported. The shock absorbing frame 40 cushions the shock so that the ankle and the body do not overdo it.

이러한 본 고안은 로울러(20)의 축간 거리가 순간적으로 증가시켜,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점핑 후의 착지, 또는 주행 예컨데, 한쪽발에 체중이 실리면 부츠가 눌리면서, 고정판(30)이 하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nteraxial distance of the roller 20 instantaneously, to improve the straightness,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landing after jumping, or running, for example, when the weight is put on one foot, the boots are pressed, the fixed plate 30 This will descend.

이때, 고정판(30)의 전후방측에 갖추어진 축수부(31)는 고정판(30)을 따라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이 축수부(31)에 연결된 링크부(60)가 회전하면서 전,후방측 로울러(21)(22)를 각각의 외향으로 이동시켜 이들 전,후방측 로울러(21)(22)의 축간 거리를 변위시키는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bearing part 31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xing plate 30 moves along the fixing plate 30,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 part 60 connected to the bearing part 31 rotates, so that the front and rear rollers rotate. (21) and (22) are moved outward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21 and 22 is displac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들을 탄력지토록함으로써, 노면에서 가해지는 충격 물론, 착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완충시키고, 이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lasticity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cushioning frame through a spring, thereby dispersing and cushioning the shock applied to the road surface, as well as the load applied by the wearer. It has the effect of not going.

또한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전,후방측 로울러의 축간 거리가 순간적으로 늘어남으로써,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주행 속도를 증가시키며, 안정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 in-line sk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mprove the straightness, increase the running speed, and enable stable running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xes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instantaneously.

Claims (7)

내,외피로 이루어지는 부츠와, 이 부츠의 저부에 갖추어진 로울러로 구성된 인라인 스케이트로써,In-line skates made of inner and outer boots and rollers on the bottom of these boots, 상기 부츠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방측 각각에 축수부가 갖추어진 고정판과;A fixing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ot and having a water bearing part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상기 고정판의 직하부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전,후방측에 설치되는 상기 로울러의 회전을 가능하게함과 아울러 축간 거리의 변위를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된 완충 프레임과;A buffer frame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fixed plate, the buffer frame having a long hole for guiding displacement of the distance between shafts while enabling rotation of the rollers installed at leas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상기 완충 프레임와 고정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이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을 탄력지지토록 하는 간격유지봉이 갖추어진 완충부와;A buffer having a spring interposed therebetween by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buffer frame and the fixed plate, and a gap retaining rod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ffer frame; 상기 축수부에 상단이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단에 연결된 로울러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It comprises a; consisting of a link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portion and rotates around the mo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여기서, 스케이트에 체중이 실리면, 고정판과, 축수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링크부를 회전하며 전,후방측 로울러를 각각의 외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In this case, when the weight is loaded on the skate, the fixed plate and the bearing part move downward, and rotate the link part in proportion to the moving distance to move the front and rear rollers outw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부츠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상판과, 이 상판의 양측 하방으로 설치되는 측벽 및 이들 측벽의 내측에 설치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late comprises a top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ot, side wal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p plate, and partition wall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프레임은 양측 프레임 사이에 격판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1, wherein the buffer frame includes a diaphragm between two fram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여 머리부는 고정판의 상면에, 하부측의 스토퍼는 완충프레임의 저부에 위치하여 이들 고정판과 완충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이내로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봉이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buffer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buffer frame, and the head portion penetrates through the spr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lower stopp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uffer frame. Inline skates comprising a gap retaining rod for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spring within the elastic modul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상단은 고정판의 축수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로울러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하되, 이 링크부는 전,후방측 각각에 갖추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link part is connected to a bearing part of the fixing plate, and a lower end part is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and the link part is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각각의 상단은 기울어진 상태로 하단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link parts is positioned inward of the lower end in an inclined st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최소 전,후방측에 2개 이상이 갖추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3, wherein two or more shock absorbing parts are provided at least front and rear sides.
KR20-2003-0024844U 2003-08-01 2003-08-01 inline skate KR2003325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44U KR200332547Y1 (en) 2003-08-01 2003-08-01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44U KR200332547Y1 (en) 2003-08-01 2003-08-01 inline ska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299A Division KR20050017408A (en) 2003-08-01 2003-08-01 inlin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47Y1 true KR200332547Y1 (en) 2003-11-10

Family

ID=4934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44U KR200332547Y1 (en) 2003-08-01 2003-08-01 in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4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261B2 (en) Skate
EP0500991B1 (en) Rollerboard for road-skiing
JPH11508471A (en) Flexible skate frame
US5413380A (en) Gyroscopic in-line belt roller skate
JP5862966B2 (en) Roller skates
KR200332547Y1 (en) inline skate
KR20050017408A (en) inline skate
KR20060089693A (en) Inline skate having a shock absorber means
KR100546005B1 (en) Inline skate shoes having a shock absorber means
WO2006070989A1 (en) Inline skates having shock absorber
JP5441222B2 (en) Skating equipment
US20050285363A1 (en) Roller sled and roller ski using the same
KR200265010Y1 (en) In-line skate with impact buffering member
KR200325131Y1 (en) The Cushion of In-line Skate
KR100806643B1 (en) Inline Skate Board
KR200348240Y1 (en) An impact mitigation inlineskate
CN216777879U (en) Roller skate and roller skate seat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nveniently separated and combined
KR200339195Y1 (en) Inline skate shoes having a shock absorber means
KR200308234Y1 (en) A inline skate
KR200325200Y1 (en) Heeling shoes
KR950004330Y1 (en) Roller board
KR200392888Y1 (en) A roller skate with flexible frame
KR200342354Y1 (en) An impact mitigation inlineskate
KR200298750Y1 (en) Jumping walker
KR20040082203A (en) Roll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