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750Y1 - Jumping walker - Google Patents

Jumping wal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750Y1
KR200298750Y1 KR2020020028336U KR20020028336U KR200298750Y1 KR 200298750 Y1 KR200298750 Y1 KR 200298750Y1 KR 2020020028336 U KR2020020028336 U KR 2020020028336U KR 20020028336 U KR20020028336 U KR 20020028336U KR 200298750 Y1 KR200298750 Y1 KR 200298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ing
walker
horizontal
fix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3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환 filed Critical 김일환
Priority to KR2020020028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7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750Y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핑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에 이동속도를 향상시켜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점핑보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mping wal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jumping walker that can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 the travel time by improving the moving speed at the time of walking, but also further improv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human body.

이러한 점핑보행기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바닥부분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고 일정한 탄성을 보유하여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핑보행기를 제공한다.The jumping walker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to support the sole of the human body, and a calf part of the human bod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To provide a jumping walk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portion and an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nd having a repulsive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Description

점핑보행기{JUMPING WALKER}Jumping Walkers {JUMPING WALKER}

본 고안은 점핑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발에 착용하여 보행(步行)시에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체를 단련시켜 인체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점핑보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mping walker, and more particularly, a jumping walker that can be worn on the foot of a human body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moving time during walking and further improve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by training the lower bod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보행을 통해 이동할 때에는 신체의 다리를 이용하여 제한된 보폭 범위내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한 보행 이동시에 정해진 목적지까지의 이동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보폭을 최대한 넓게 확보하면서 속보(速步)형태로 달려서 이동하게 된다.In general, when moving through the pedestrian to move within a limited stride range using the body's legs, in order to shorten the travel time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during the above-mentioned pedestrian movement, run in the form of breaking while keeping the stride as wide as possible Will move.

근래에 들어서는 죠깅이나 산악마라톤, 등산과 같이 직접 보행을 통해 레져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보행스포츠는 전신운동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이거니와 근육과 심폐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정신적, 육체적 건강증진에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that enjoys leisure sports through direct walking, such as jogging, mountain marathon, and mountain climbing, has become widespread, and these walking sports have a whole body exercise effect, so as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muscle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t can be improved to achieve a desirable effect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mo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행을 통해 정해진 목적지까지 이동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제한된 보폭범위내에서 속보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체력이 과다하게 소모될 뿐만 아니라 만족할 만한 이동속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However, in order to shorten the travel time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hrough walking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breaking speed within a limited range of stride, so that not only excessive stamina is consumed but also satisfactory improvement in moving speed is not expected.

그리고, 상기한 보행형태의 레져스포츠는 단순하게 발로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시에 이동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다한 체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부가적인 오락성 그리고, 더욱 향상된 건강증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In addition, the leisure sports of the above-mentioned walking type are simply moved by the foot, so that not only excessive physical energy is consumed in order to improve the moving speed at the time of movement, but also the additional entertainment for inducing interest and the improved health promotion effect. it's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행시에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점핑보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ravel time when walking, but also to jump walker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human body To provi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바닥부분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고 일정한 탄성을 보유하여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점핑보행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coupl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to support the sole of the human body, and the vertical frame Installed in the second fixing part for supporting the calf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provides a jumping walk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having a repulsive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의 전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a, 도 4b, 도 4c는 도 2의 키이부재 단면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4A, 4B, and 4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member in Fig. 2;

도 5는 도 1의 요부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7a,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조임부의 조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ure 7a,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ightening action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1의 요부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도 9a,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조임부의 조임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ure 9a,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ightening action of the vertical tighte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 및 링크플레이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elastic body and the lin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탄성체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body of FIG. 10.

도 12a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Figure 12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Figure 12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는 도 11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3A, 13B, 13C, and 13D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1.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2) 및 수직프레임(4)과, 상기한 수평프레임(2)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6)와,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 설치되어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8)와,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 일측이 연결되고 일정한 탄성을 보유하여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10)를 포함한다.1, 2, and 3,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coupl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frame (2) is installed on the human body A first fixing part 6 supporting the sole of the foot, a second fixing part 8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4 to support the calf of the human body,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4 It includes an elastic body 10 that is connected and has a constant elasticity and has a repulsive force against external forces.

상기한 수평프레임(2)은 양측면에 키이홀(2a)과 관통홀(2b)이 측방향에서 각각 연통되는 형태로 뚫려지고 상측면에는 일측단이 일정한 길이로 파여져서 개구부(2c)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c)와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지지홀(2d)이 뚫려진다.The horizontal frame 2 is drilled in the form in which the key hole (2a) and the through hole (2b) are communic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one side end is dug into a constant length on the upper side to form an opening (2c) One or more support holes 2d are drilled adjacent to the opening 2c.

상기한 수평프레임(2)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horizontal frame 2, aluminum may be used. In addition,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and light weight may be used.

상기한 수직프레임(4)은 내부가 중공인 사각형상의 금속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는 상기한 수평프레임(2)의 키이홀(2a)에 대응하는 키이홀(4a)과 관통홀(4b)들이 각각 뚫려진다.The vertical frame 4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tal pipe member having a hollow inside, and on both sides there are key holes 4a and through holes 4b corresponding to the key holes 2a of the horizontal frame 2. Each is drilled.

상기한 수직프레임(4)의 재질은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동일한 재질 즉,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vertical frame 4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horizontal frame 2, that is, aluminum.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은 일측단이 고정브라켓트(12)에 각각 고정되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데,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2)는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14)와 수직부(16)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수평부(14) 및 수직부(16)에는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에 대응하는 키이홀(12a)과 관통홀(12b)들이 각각 뚫려진다.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is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12, respectively,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xing bracket 12 has a cross section of the "??" shape And a horizontal portion 14 and a vertical portion 16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portion 14 and the vertical portion 16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The key holes 12a and through holes 12b are drilled, respectively.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2) 즉, 수평부(14)와 수직부(16)가 교차하는 내접부(R)가 소정의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접부(R)의 형상은 상기한 수평부(14)와 수직부(16)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ixing bracket 12, that is, the internal portion (R) intersecting the horizontal portion 14 and the vertical portion 16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curved shape, such an internal portion ( The shape of R) can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orizontal portion 14 and the vertical portion 16 described above.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2)의 수평부(14)에는 이 수평부(14)의 양측면 외측으로 상기한 수평프레임(2)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수직부(16)에는 이 수직부(14)의 내측으로 상기한 수직프레임(4)이 끼워져서 볼트(B1)와 너트(B2)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In the horizontal portion 14 of the fixing bracket 12, the horizontal frame 2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14, and in the vertical portion 16, the vertical portion 14 The vertical frame 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 and is fixed by a fastening member consisting of a bolt B1 and a nut B2.

이때,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의 키이홀(2a,4a)과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2)의 키이홀(12a)이 측방향에서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셋팅되고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2)와 수평프레임(2) 그리고 수직프레임(4)의 키이홀(12a,2a,4a)에 키이부재(K)가 끼워진다.At this time, the key holes (2a, 4a) of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and the key holes (12a) of the fixing bracket 12 is set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The key member K is fitted into the key brackets 12a, 2a, and 4a of the fixing bracket 12,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상기한 키이부재(K)는 상기한 키이홀(2a,4a,12a) 들에 대응하여 끼움결합이 가능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사각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통홀(18)이 뚫려져서 볼트(B1) 및 너트(B2)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한 키이홀(12a,2a,4a)들에 키이부재(K)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The key member (K) has a certain length that can be fitted in correspondence to the key holes (2a, 4a, 12a) and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the through hole 18 is drilled inside the bolt ( A separate fastening member consisting of B1) and a nut B2 is coupl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key member K is fitted into the key holes 12a, 2a, and 4a.

상기한 키이부재(K)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key member K,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may be used.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 그리고, 고정브라켓트(12)에 형성된 키이홀(2a,4a,12a)과 이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키이부재(K)가 사각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and the key holes (2a, 4a, 12a)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12 and the key member (K) is fitted in this hole fixed Is shown in the drawings made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not limited to this show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들면, 도 4a, 도 4b, 도 4c에서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변들로 구성되는 다각형상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세레이션이나 스플라인형태로 이루어지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비틀림 하중에 의해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이 일정한 셋팅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키이홀(2a,4a,12a)과 키이부재(K)의 타공 및 단면형상은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4b, 4c can be made of a polygonal cross-section consisting of three or more sides, but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in the form of serrations or splines, but also torsion The perforations and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keyholes 2a, 4a, 12a and the key member K, in which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can maintain a constant setting angle by the load, are variously applied. can do.

상기한 수평부(14)에는 일종의 발판역활을 하는 제1고정부(6)가 설치되어 인체의 발부분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1고정부(6)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horizontal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6 serving as a kind of scaffolding to support the foot of the human bod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first fixing part 6 It demonstrates in detail.

도 1 및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제1고정부(6)는 상기한 수평프레임(2)에 고정되어 인체의 발부분을 지지하는 발판플레이트(20)와, 이 발판플레이트(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부분을 고정하는 수평조임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5, and 6, the first fixing part 6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 to support the foot plate of the human body 20 and the foot plate ( Is installed on one side of 20) comprises a horizontal tightening portion 22 for fixing the foot of the human body.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는 인체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한 지지면적이 제공되고 하측면에는 상기한 수평프레임(2)의 지지홀(2d)에 끼워지는 고정돌기(20a)가 형성된다.The scaffold plate 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human body is provided with a constant support area,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20a) fitted in the support hole (2d) of the horizontal frame (2). .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지지테(24)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와 지지테(24)에는 상기한 수직프레임(4)이 관통하기 위한 가이드홀(20b)이 각각 형성된다.The support frame 24 is formed to be inclined to extend in an inclined form on one side of the foot plat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frame 4 is formed on the foot plate 20 and the support frame 24. Guide holes 20b for penetrating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제공되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수평프레임(2)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caffold plate 20 may be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provides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and may be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판플레이트(20)는 하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0a)가 상기한 수평프레임(2)에 형성된 지지홀(2d)에 끼워지고 상기한 가이드홀(20b)들이 상기한 수직프레임(4)과 이 프레임을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12)의 수직부(16)가 관통되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수직프레임(4)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scaffold plate 20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ixing protrusion 20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s fitted into the support hole 2d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guide holes 20b are vertical frames. (4) and the vertical portion 16 of the fixing plate 12 surrounding and fixing the frame can be penetrated and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vertical frame 4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의 상측면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와 홈들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plate 20 may have an uneve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grooves formed therein to prevent slipping.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인체의 발바닥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조임부(22)가 설치되며, 이 수평조임부(22)는, 상기한 지지테(24)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위치가 변화되는 고정고리(H1)가 설치된 조임끈(26)과, 상기한 지지테(2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조임끈(26)의 고정고리(H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H2)와, 상기한 조임끈(26)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26)에 설치된 고정고리(H1)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28)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foo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tightening portion 22 for fixing the sole of the human body, the horizontal tightening portion 22, one side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24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side Fastening straps (26) provided with a fixing ring (H1) is changed to a fixed position, and a fastener for detachably fixing the fixing ring (H1) of the fastening strap (2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4) ( H2) and a fixing member 28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nsion strap 26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xing ring H1 installed on the tension strap 26 in a changed state.

상기한 조임끈(26)은 직물실 등으로 직조되어 일정한 폭을 가지는 리본형태로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테(24)의 일측에 고정된다.The tension strap 26 is woven into a fabric thread or the like is formed in a ribb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4.

상기한 조임끈(26)의 자유단은 상기한 고정고리(H1)의 내측을 관통한 후 별도의 스페이서(30)에 삽입되어 접혀진 상태로 셋팅된다.The free end of the tension strap 26 is set in the folded state is inserted into a separate spacer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ring (H1).

상기한 조임끈(26)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완충면적이 제공되는 완충패드(3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완충패드(32)는 상기한 조임끈(26)이 인체의 발등을 압박하면서 조일 때에 발생되는 통증을 최소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tension strap 26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pad 32 provided with a constant buffer area, the buffer pad 32 occurs when the tension strap 26 is tightened while pressing the instep of the human body It may be made of soft synthetic rubber having a certain elasticity to minimize the pain and improve the fit.

상기한 지지테(24)에는 상기한 조임끈(26)의 자유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구(H2)가 고정되어 상기한 고정고리(H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게되며, 이 고정구(H2)는 금속편이 절곡되어 후크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한 고정고리(H1)의 내측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한 고정고리(H1)를 고정한다.The support frame 24 is fixed to the fastener (H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side of the tightening string (26) to fix the fixing ring (H1) detachably, the fastener (H2) is The metal piece is bent to form a hook to be detachably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ring (H1) while fixing the fixing ring (H1).

상기한 고정부재(28)는 암수 한쌍의 벨크로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조임끈(26)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26)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 원터치동작에 의해 변화된 조임끈(26)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한 고정고리(H1)와 고정구(H2)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인체의 발등(F1)부분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한 조임끈(26)에 부착된 고정고리(H1)를 고정구(H2)에 걸어서 고정한 후 상기한 조임끈(26)을 당기면 이 조임끈(26)의 고정단으로부터 고정고리(H1)의 셋팅위치가 짧아지게 되고 이렇게 조임끈(26)의 조임동작이 완료되면 변화된 조임끈(26)의 길이를 상기한 고정부재(28)에 의해 고정하여 발등(F1)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는 것이다.The fixing member 28 may be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fasteners,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tightening strap 26 so as to change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strap 26 by one-touch operation. Fixing the position of the tension strap 26 to secure the instep (F1) of the human body as shown in Figure 7a, 7b while detachably coupling the fixing ring (H1) and the fixture (H2). That is, the fixing ring (H1) attached to the fastening straps (26) is fixed to the fastener (H2) and then fixed by pulling the tightening straps (26) from the fixed end of the fastening straps (26) setting position of the fixing ring (H1) When the shortening and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tightening straps 26 is completed, the changed length of the tightening straps 26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28 to fix the shape of the instep F1.

상기에서는 고정부재(28)가 암수 한쌍의 벨크로파스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xing member 28 is made of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fastener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조임끈(26)의 일측면에 암수 한쌍의 스냅버튼(일명"똑딱이 버튼)이 적어도 1개 이상 이격설치하여 상기한 조임끈(26)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고정부재는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e or more pairs of male and female snap buttons (aka, "tick buttons")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ing (26)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tring (26).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that satisf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applications.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에 1개의 수평조임부(22)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 또는 지지테(24)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도 있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e horizontal fastener 22 is installed on the scaffolding plate 20, which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affolding plate 20 or the support frame 24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one may be installed in the.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수평조임부(22)의 조임끈(26)이 상기한 지지테(24)에 일측단을 고정시키고 자유단측에 설치된 고정고리(H1)를 고정구(H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조임끈(26)의 자유단측을 고정단측과 같이 일체로 고정하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조임끈(26)을 당기거나 밀어서 고정부재(28)를 통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수평조임부(22)의 조임구조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fastening straps 26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part 22 fixes one end to the support frame 24 and separates the fixing ring H1 installed on the free end side to the fastener H2. Although not show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to be fixed while being coupled as possible,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free end side of the tightening string 26 is formed to be integrally fixed as the fixed end side, but not to the drawing, so as to be slidable. As in the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pull string 26 by pulling or pushing the fixing member 28, in addition to the tightening structure of the horizontal tightening portion 22 that satisf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Naturally, such a structure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는 제2고정부(8)가 설치되어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고정부(8)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rame (8)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4) to fix the calf portion of the human bod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fixing (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do.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제2고정부(8)는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34)와, 이 커버플레이트(34)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직조임부(36)를 포함한다.1 and 8, the second fixing part 8 includes a cover plate 34 fixed to the vertical frame 4 and a vertical fastening par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ver plate 34. (36).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는 인체의 종아리부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반원모양으로 구부러져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cover plate 34 is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so as to surround and support the calf of the human body and bent in a semicircle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extend to a constant length.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의 재질는 상기한 발판플레이트(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34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at of the scaffold plate 20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의 내측면에는 완충부재(3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부재(38)는 인체의 종아리부분에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발포스폰지나 연질의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hock absorbing member 38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34,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38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contact the calf of the human body to absorb shock and improve a feeling of wearing. It may be made of a foamed sponge or a soft rubber material.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는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 대응하여 이 수직프레임(4)이 관통삽입되는 가이드홀(34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34a)에 삽입되는 수직프레임(4)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ver plate 34 is formed with a guide hole 34a through which the vertical frame 4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frame 4, and a vertical frame 4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4a. Silver may be fixed to the cover plate 34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bolts and nuts.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는 상기한 가이드홀(34a)을 따라 상기한 수직프레임(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셋팅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plate 34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various setting positions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4 along the guide hole 34a.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의 개구부측에는 수직조임부(36)가 설치되고 이 수직조임부(36)는 상기한 제1고정부(6)의 수평조임부(2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 vertical fastener 36 is installed at the opening side of the cover plate 34, and the vertical fastener 36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horizontal fastener 22 of the first fixing part 6. .

상기한 수직조임부(36)는,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위치가 변화되는 고정고리(H1)가 설치된 조임끈(40)과,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서 상기한 조임끈(40)의 고정고리(H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한 조임끈(40)의 고정고리(H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H2)와, 상기한 조임끈(4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40)에 설치된 고정고리(H1)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한다.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36,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cover plate 34, the other side has a fastening strap (40) provided with a fixing ring (H1) is fixed in the fixed position, and the cover plate 34 The fastener H2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ring H1 of the tightening string 40 to detachably fix the fixing ring H1 of the tightening string 40, and the tightening string 40 of the It is attached to one side includes a fixing member 42 for fixing in a stat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ring (H1) installed in the tension strap (40).

상기한 조임끈(40)은 직물실 등이 직조되어 일정한 폭을 가지는 리본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의 전면 개구부측에 일측이 고정된다.The tension cord 40 is formed in a ribb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y weaving a weaving thread or the like so that one side is fixed to the front opening side of the cover plate 34.

상기한 조임끈(40)의 자유단은 상기한 고정고리(H1)의 내측을 관통한 후 별도의 스페이서(4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혀진 상태로 셋팅된다.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strap 40 is set in a state slidably folded after being inserted into a separate spacer 44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ring (H1).

상기한 조임끈(40)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완충면적이 제공되는 완충패드(4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완충패드(46)는 상기한 조임끈(40)이 인체의 종아리 앞부분을 압박하면서 조일 때에 발생되는 통증을 최소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tension strap 40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pad 46 provided with a constant buffer area, the buffer pad 46 is when the tension strap 40 is tightened while pressing the front of the calf of the human body It may be made of soft synthetic rubber and the like having a certain elasticity to minimize the pain generated and improve the fit.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는 상기한 조임끈(40)의 자유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구(H2)가 고정되어 상기한 고정고리(H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게되며, 상기한 고정구(H2)는 금속편이 절곡되어 후크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한고정고리(H1)의 내측으로 끼워져서 상기한 고정고리(H1)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한다.The cover plate 34 is fixed to the fastener (H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side of the tension strap 40 is fixed to the fixing ring (H1) detachably, the fastener (H2) The metal piece is bent in the form of a hook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ing ring (H1) to fix the fixing ring (H1) detachably.

상기한 고정부재(42)는 암수 한쌍의 벨크로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조임끈(40)의 일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40)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 원터치동작에 의해 변화된 조임끈(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fixing member 42 may be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fasteners, which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tightening string 40 and are changed by one-touch operation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string 40. Fix the position of the tension strap (40).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직조임부(36)는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한 수평조임부(22)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조임끈(40)을 스페이서(44)를 기준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기한 조임끈(40)에 설치된 고정고리(H1)를 상기한 고정구(H2)에서 고정부재(42)의 원터치동작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함으로서 상기한 커버플레이트(34)에 지지되는 인체의 종아리(F2)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tightening part 36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hanges the length by pulling or pushing the tightening strap 40 with respect to the spacer 44 as in the horizontal tightening part 22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calf of the human body supported by the cover plate 34 by fixing the fixing ring (H1) installed in the tension strap (40) by detaching by the one-touch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42) from the fastener (H2). (F2) part can be firmly supported.

한편, 상기한 수직프레임(4)의 일측에는 수직하중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10)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4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10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to have a repulsive force against the vertical load.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탄성체(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호(弧)형태로 구부러져 일측이 상기한 수직프레임(4)의 상부 일측에서 연결브라켓트(48)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1 and 8, the elastic body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bent in an arc shape so that one side is fixed to the connecting bracket 48 at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4 and is rotatable. Is connected.

상기한 탄성체(10)의 자유단측에는 완충브라켓트(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완충브라켓트(50)는 상기한 탄성체(10)의 자유단측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서 연결브라켓트(52)에 의해 고정되고 하측면에는 접지패드(54)가 설치된다.A shock absorbing bracket 50 may be installed at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10, and the shock absorbing bracket 50 is inserted into a shape surrounding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52. It is fixed by the ground pad 5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상기한 접지패드(54)는 상기한 탄성체(10)의 자유단측이 지면에 접촉할 때에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하게 흡수하고 내마모성이 구비된 합성고무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ground pad 54 may be a synthetic rubber material that sufficiently absorbs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has abrasion resistance.

상기한 탄성체(10)의 일측에는 이 탄성체(10)가 수직하중에 의해 굽혀질 때에 상기한 수평프레임(2)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하측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링크플레이트(56)가 설치되며, 이 링크플레이트(56)의 일측면에는 상기한 탄성체(10)와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재질의 완충구(58)가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lastic body 10 is a link plate 56 for guiding the horizontal frame 2 to move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when the elastic body 10 is bent by the vertical load ) Is installed, and a rubber buffer (58)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nk plate 56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10).

상기한 링크플레이트(56)는 상기한 수평프레임(2)과 완충브라켓트(50)의 일측에서 링크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한 탄성체(10)가 수직하중에 의해 굽혀질 때에 상기한 수평플레이트(2)와 탄성체(10) 사이에서 링크동작되면서 이들을 지지 및 가이드하게 된다.The link plate 56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nk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2 and the buffer bracket 50 so that the elastic body 10 is vertically loaded as shown in FIG. 10. When bent by the link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2 and the elastic body 10 to support and guide them.

상기한 완충구(58)는 상기한 링크플레이트(56)에 볼팅이나 리벳팅과 같은 결합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링크플레이트(56)는 상기한 완충구(58)를 고정하기 위해 볼팅이나 리벳팅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보조도구들이 원활하게 삽입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ffer port 58 may be fixed to the link plate 56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bolting or rivet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nk plate 56 may include the buffer port 58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tools used when bolting or riveting to be fixe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smoothly inserted and disposed.

상기한 탄성체(10)의 재질은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SPRING STEEL)계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오벌(OVAL)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도 11참조)The material of the elastic body 10 may be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 modulus, more preferably made of any one of the spring steel series (spring ring) and has a cross section in the form of an oval (OVA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have a constant length (see FIG. 11).

상기한 탄성체(10)의 길이는 상기한 수직프레임(4)의 전체 길이에 120길이%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길이범위보다 짧으면 수직하중에 대한 반발력이 저하되어 만족할 만한 점핑력을 얻을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수평프레임(2)이 수직하중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지면에 쉽게 접촉하게 되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more than 120 length% to the total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4), if the shorter than the above length range the repulsive force for the vertical load is lowered to obtain a satisfactory jumping force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2 can be easi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horizontal frame 2 is moved downward by the vertical load, and can be damaged or cause a safety accident.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수직프레임(4)에 1개의 탄성체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shown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that one elastic body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들면, 도 12a에서와 같이 상기한 탄성체를 2개 이상을 병렬로 배열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한 탄성체를 2개 이상을 서로 겹쳐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한 탄성체가 최적의 반발력을 발휘할 수 있는 설치구조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A,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elastic bodi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as shown in FIG. 12B,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elastic bodies may be combined to overlap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pply and apply all installation structures that can exhibit the optimum repulsive force.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탄성체(10)가 오벌(OVAL)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 또한 이에 한정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에서와 같이 다각형상 및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탄성체의 단면형태는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조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astic body 10 has an oval-shaped cross section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but it is shown in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also not limited thereto. FIGS. 13A and 13B. 13C and 13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astic body that satisf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implemented, and it is natural that such a structure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2개가 1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인체의 오른발과 왼발에 각각 부착한 후 보행을 하게되면 인체의 중량에 의해 상기한 탄성체(10)가 지면에 접촉하면서 수직반발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탄력적으로 보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보행속도를 대폭 단축시킬수 있으며, 죠깅이나 산악마라톤, 등산과 같은 레져 스포츠시에 발에 착용하면 흥미를 더욱 유발함은 물론 기록단축이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structure can be used in a pair of two, and when the walking and then attached to the right foot and the left foot of the human body respectively, while the elastic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weight of the human body Since the vertical repulsion force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range of strides elastically,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walking speed, and when worn on the feet during leisure sports such as jogging, mountain marathon, and mountain climbing, it also causes more interest. It can shorten or even improve your health.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보행시에 보폭을 넓게 확보함은 물론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해 보행속도를 향상시켜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wide stride at the time of walking, and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moving time by improving the walking spe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body.

또,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유희용 오락기구나 신체단련기구 등으로 활용함으로서 인체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enhanc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human body by using it as a recreational equipment or fitness equipment in a narrow space without being limited to a plac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연결부가 고정브라켓트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한 프레임들의 셋팅각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향상된 내구성을 발휘한다.In addition,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with a fixing bracket to prevent the setting angle of the frame is deformed or damaged by the external force to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또, 본 고안에 따른 점핑보행기는 상기한 발판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 수평조임부 및 수직조임부가 설치되고 이들 조임부들은 원터치동작에 의해 인체의 발부분과 종아리부분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므로서 탈부착이 용이하여 더욱 향상된 사용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oot plate and the cover plate horizontal fasteners and vertical fasteners are installed, these fasteners are easily removable by fixing the foot and calf parts of the human body by one-touch operation. Thus providing improved usability.

Claims (11)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바닥부분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와,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고 일정한 탄성을 보유하여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며,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first fixing par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to support the sole of the human body, and a second height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supporting the calf of the human body And an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and having a repulsive force against external force, 상기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연결부에는 고정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이 고정브라켓트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형성되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져 상기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고,A fixing bracke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xing bracket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while cross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to fix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상기한 제1고정부는, 인체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한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발판플레이트와, 이 발판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체의 발부분을 고정하는 수평조임부를 포함하고,The first fixing part comprises a scaffolding plat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human body and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horizontal fastening par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caffolding plate to fix the foot of the human body, 상기한 제2고정부는, 인체의 종아리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이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직조임부를 포함하며,The second fixing part comprises a cover plate which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alf of the human body and fixed to the vertical frame, and a vertical fastening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상기한 수평조임부는, 상기한 발판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위치가 변화되는 고정고리가 설치된 조임끈과, 상기한 발판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조임끈의 고정고리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한 조임끈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에 설치된 고정고리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The horizontal fastening portion,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scaffolding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straps are provided with a fixing ring is fixed to the fixed position is changed, the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affolding plate to securely fix the fixing ring of the fastening straps A fasten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ightening string and fixed in a state of changing a position of the fixing ring installed on the tightening string, 상기한 수직조임부는, 상기한 커버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고정위치가 변화되는 고정고리가 설치된 조임끈과, 상기한 커버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조임끈의 고정고리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한 조임끈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한 조임끈에 설치된 고정고리의 위치를 변화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핑보행기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cover plate and the other side is a fastening strap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is fixed to the fixed position is changed,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ver plate to securely fix the fixing ring of the fastening strap A jumping walker comprising a fastener and a fixing memb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strap and fixed in a state of changing a position of the fastening ring installed on the fastening str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브라켓트에는 키이부재가 삽입고정되어 상기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한 키이부재는 다각형상 또는 세레이션형상, 스플라인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1, wherein a key memb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bracket to fix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key member is formed of any one of a polygonal shape, a serration shape, and a splin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브라켓트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교차하는 내접부의 모서리는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1, wherein an edge of the inner contact portion in which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intersec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평조임부와 수직조임부의 고정부재는 한쌍의 벨크로파스너, 스냅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부재는 원터치 동작으로 분이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한 조임끈의 자유단에 설치된 고정고리의 변화된 셋팅위치를 고정하는 점핑보행기.The fastening member of the horizontal fastening portion and the vertical fastening portion is made of any one of a pair of velcro fasteners and snap buttons, and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strap while being detachably coupled in one-touch operation. Jumping walker for fixing the changed setting position of the installed fixing 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호(弧)형태로 구부러져 일측이 상기한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ody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bent in an arc shape so that one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의 자유단측에는 지면에 접촉하는 완충브라켓트가 설치되고, 이 완충브라켓트는 상기한 탄성체의 자유단측 선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고 하측면에는 접지패드가 설치된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cushioning bracket contacting the ground is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cushioning bracket is fit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and a ground pa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와 수평프레임 일측에는 링크플레이트가 힌지결합되어 연결되고 이 링크플레이트의 상기한 탄성체가 수직하중에 의해 굽혀질 때에 상기한 수평플레이트와 탄성체 사이에서 링크동작되면서 이들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점핑보행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age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when the elastic body of the link plate is bent by the vertical load, the link plate is op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elastic body to support and support them. Jumping walker to guid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의 재질은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강(SPRING STEEL)계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5, wherein the material of the elastic body is any one of a spring steel series having a constant elastic modulu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판형태로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이 탄성체의 단면형상은 오벌(OVAL)형상, 다각형상, 원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5, wherein the elastic body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extends in a plate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astic body is one of an oval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circular shap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의 길이는 상기한 수직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120길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5, wherein the elastic body has a length of 120% or more based on the total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체는 1개 또는 그 이상이 세로방향이나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한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점핑보행기.The jumping walker of claim 5, wherein one or more elastic bodie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vertical frame.
KR2020020028336U 2002-09-19 2002-09-19 Jumping walker KR2002987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36U KR200298750Y1 (en) 2002-09-19 2002-09-19 Jumping wal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336U KR200298750Y1 (en) 2002-09-19 2002-09-19 Jumping wal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750Y1 true KR200298750Y1 (en) 2002-12-27

Family

ID=7312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36U KR200298750Y1 (en) 2002-09-19 2002-09-19 Jumping wal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75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502925A (en) Sports and exercise equipment having a foot receiving portion and a collapse preventing spring portion
US20040110604A1 (en) Rocking exercise device
US4570926A (en) Toe-articulated stilt
US5514054A (en) Stilts
KR200444077Y1 (en) Support equipment for shoe
KR200298750Y1 (en) Jumping walker
KR101788280B1 (en) Ski machine
US9380829B2 (en) Shock-absorbing walk-aiding shoe
US20140173931A1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0r walking and running
KR101086273B1 (en) Walking auxiliary device for mountain climbing
KR101288017B1 (en) Climbing boots,s bottom-pad use for absorbed shock of sloping road
KR100348658B1 (en) A Training Cloth for Hardening of The Nether Limbs
WO2014084497A1 (en) Shoe auxiliary device for buffering shock during walking
JP3122597U (en) Leg exercise equipment
US9339689B2 (en) Foot exercise device
KR200429740Y1 (en) Absorbing device of shoes for exercise
KR102656858B1 (en) keds for health
KR20030059780A (en) Running Shoes Adhered To Panel Type Spring
KR200279025Y1 (en) Absorbing device of shoes for exercise
KR200397212Y1 (en) Elasticity footwear for jumping
KR200265561Y1 (en) Shoes for jogging
KR101187605B1 (en) Jumping shoes
KR100475832B1 (en) A Shoes Being Able To Jump Long Distance
KR100999898B1 (en) A spring separable shoes
KR200194710Y1 (en) A Training Cloth for Hardening of The Nether Li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