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348Y1 -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348Y1
KR200332348Y1 KR20-2003-0024255U KR20030024255U KR200332348Y1 KR 200332348 Y1 KR200332348 Y1 KR 200332348Y1 KR 20030024255 U KR20030024255 U KR 20030024255U KR 200332348 Y1 KR200332348 Y1 KR 200332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housing
circuit board
coaxial connector
insertion hole
pin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20-2003-0024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기판에 설치되어 고주파신호회로를 절환하는 스위치기구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하우징이 회로기판(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회로기판(2)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절연하우징(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기구는, 한쪽 선단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 일단(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23)안에 고정되는 고정단자(27)와, 상기 고정단자(27)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쪽 선단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에서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에 걸쳐 연장되고, 일측 선단에서 연장된 접촉단자(29)를 통하여 상기 고정단자(27)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단자(28)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회로기판을 케이스에 조립하기전이나 조립한 후에도 동축커넥터를 통한 내부 전자회로의 검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COAXIAL CONNECTOR WITH DUAL RF SWITCH}
본 고안은 휴대통신기기의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기판에 설치되어 고주파신호회로를 절환하는 스위치기구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휴대통신기기에는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2)에 설치될 때 접속구(1a)가 키패드(3)쪽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 동축커넥터(1)를 조립한 회로기판(2)을 케이스(4a,4b)에 조립하고나면 상기 동축커넥터(1)의 접속구(1a)가 키패드(3)에 가려서 고주파신호 검사작업을 할 수 없고, 만약 조립된 휴대폰의 고주파신호 검사를 할려면 조립된 회로기판을 다시 케이스로부터 분해하여야 한다. 그런데 휴대폰의 조립공정에서 휴대폰을 조립한 후에 고주파신호 검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 경우 종래의 동축커넥터 구조로서는 조립후 검사가 불가능하였으므로 조립된 휴대폰을 다시 분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 휴대폰의 고주파신호검사용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동축커넥터를 설치한 회로기판의 전후방에서 상기 동축커넥터에 검사장치의 단자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된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회로기판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가 조립된 휴대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가 조립된 휴대폰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 동축커넥터 2: 회로기판
3: 키패드 4a,4b: 휴대폰 케이스
4c: 구멍 5: 마개
20: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 21: 절연하우징
21a: 상부절연하우징 21b: 하부절연하우징
22a,22b: 핀삽입구멍 23: 내부공간
23a,23b: 위치결정용 홈 24a,24b: 위치결정용 돌기
25a, 25b: 외부도체셀 26a,26b: 외부도체셀의 선단
27: 고정단자 28: 스프링단자
28a: 선단 28b: 고정편
28c: 탄성편 29: 접촉단자
P: 상대 커넥터핀 S: 솔더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삽입구멍을 통하여 외부 안테나 접속용 커넥터핀의 삽입에 따라 회로기판의 고주파신호수신용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는 외부도체셀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하우징은 회로기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절연하우징과, 상기 상부절연하우징의 한쪽 선단에서 동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회로기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절연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기구는, 한쪽 선단이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의 전자회로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안에 고정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쪽 선단이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의 전자회로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상부절연하우징의 핀삽입구멍에서 하부절연하우징의 핀삽입구멍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고정단자와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구부림성형된 스프링단자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동축커넥터의 접속구가 회로기판의 전방 및 후방으로 노출되어 회로기판의 전후방 어느 쪽에서나 검사용 접속핀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후에 내부 전자회로를 검사할 경우에도 케이스에서 분해할 필요없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대로 테스트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20)는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이 서로 저면에서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절연하우징(2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은 각각 중심축방향으로 상대 커넥터핀(P)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22a,22b)이 관통되어 내부공간(2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은 하부절연하우징(21b)과 서로 동축으로 결합되게 저면에 위치결정용 돌기(24a)와 홈(23a)이 각각 형성되고,상기 하부절연하우징(21b)에도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위치결정용 돌기(24a)와 홈(23a)에 대응하는 위치결정용 홈(23b)과 돌기(24b)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위치결정용 돌기(24a)를 하부절연하우징(21b)의 위치결정용 홈(23b)에 끼우고, 동시에 상부절연하우징(21a)의 위치결정용 홈(23a)에는 하부절연하우징(21b)의 위치결정용 돌기(24b)를 끼우면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축상으로 배열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상부절연하우징(21a)의 외측벽에는 도전성의 상부 외부도체셀(25a)이 끼워져 조립되고, 하부절연하우징(21b)의 외측벽에도 하부 외부도체셀(25b)이 조립되며, 이들 외부도체셀(25a,25b)의 선단(26a,26b)들이 서로 포개어져 한꺼번에 구부림됨으로써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을 일체로 결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내부에는 스위치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기구는 한쪽 선단(27a)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 일단(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27b)은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23)안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단자(27)와, 상기 고정단자(27)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쪽 선단(28a)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의 일단(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입구에서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의 입구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고정단자(27)와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구부림성형된 스프링단자(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단자(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서 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까지 연장되게 구부림성형된 고정편(28b)과, 상기 고정편(28b)에서 일체로 구부림성형되어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탄성편(28c) 및 상기 탄성편(28c)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단자(27)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단자(29)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단자(28)의 탄성편(28c)은 각 핀삽입구멍(22a,22b)으로부터 상대 커넥터핀(P)이 원활하게 삽입되게 하면서 상대 커넥터핀(P)이 삽입될 때 상기 접촉단자(29)의 이동변위(d)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 위하여 핀삽입구멍(22a,22b)측에서 절연하우징의 중심쪽으로 갈수록 중심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림성형 되어 대략 직립 "W"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절연하우징(21a)부분은 회로기판(2)의 전면쪽으로 돌출되고 하부절연하우징(21b)부분은 회로기판(2)의 뒷면쪽으로 돌출되게 회로기판(2)을 관통하여 설치된 후 회로기판(2)에 솔더링(S)으로 접합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20)가 표면실장된 회로기판(2)이 휴대폰의 케이스(4a,4b)에 조립되기 전에 회로기판(2)의 전면쪽으로 노출된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을 통하여 상대 커넥터핀(P)을 삽입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단자(28)의 상부는 상대 커넥터핀(P)에 의해 눌려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으로 "d"만큼 탄성변형되므로 그 하단에 구비된 접촉단자(29)는 고정단자(27)에서 분리되면서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를 단속시키게 되고 상기 외부에서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핀(P)을 통하여 외부 안테나와 연결되게 된다.
그런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2)이 휴대폰의 케이스(4a,4b)에 조립된 후, 회로기판(2)에 표면실장된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20)의 한쪽이 가려진 경우에도 회로기판을 케이스로부터 분해하지 않고서도 회로기판(2)의 저면 뒤쪽으로 돌출한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을 통하여 테스트용 상대 커넥터핀(P)을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을 통하여 상대 커넥터핀(P)이 삽입되면, 상기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에 인접하게 연장된 탄성편(28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하여 접촉단자(29)를 고정단자(27)로부터 분리시켜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를 단속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핀(P)을 핀삽입구멍(22b)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28c)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면서 접촉단자(29)가 고정단자(27)에 접촉하면서 내부 전자회로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20)가 표면실장된 회로기판(2)을 케이스(4a,4b)안에 조립하게되면 상기 동축커넥터(20)의 하부절연하우징(21b)이 하부케이스(4b)에 형성된 구멍(4c)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 구멍(4c)은고무로 된 마개(5)로써 막아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축커넥터는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회로기판을 케이스에 조립하기전이나 조립한 후에도 동축커넥터를 통한 내부 전자회로의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Claims (5)

  1. 상대 커넥터핀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삽입구멍을 통하여 외부 안테나 접속용 커넥터핀의 삽입에 따라 회로기판의 고주파신호수신용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치기구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조립되는 외부도체셀을 포함한 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21)은 회로기판(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절연하우징(21a)과,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한쪽 선단에서 동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회로기판(2)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하부절연하우징(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기구는, 한쪽 선단(27a)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 일단(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27b)은 상기 절연하우징(21)의 내부공간(23)안에 고정되는 고정단자(27)와, 상기 고정단자(27)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쪽 선단이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로기판(2)의 전자회로의 일단(2a)에 접속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에서 하부절연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에 걸쳐 연장되어 상기 고정단자(27)와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구부림성형된 스프링단자(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단자(28)는 일측 선단에서 연장된 접촉단자(29)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단자(27)와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은 별개의 부품으로 성형되어 저면이 서로 접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단자(28)는 상기 절연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된 선단에서 어느 한쪽 하우징(21a)의 핀삽입구멍(22a)까지 연장되게 구부림성형된 고정편(28b)과, 상기 고정편(28b)에서 구부림성형되어 다른 쪽 하우징(21b)의 핀삽입구멍(22b)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탄성편(28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의 저면에는 각각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위치결정용 돌기(24a,24b)와 홈(23a,23b)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상부절연하우징(21a)과 하부절연하우징(21b)이 동축으로 정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20-2003-0024255U 2003-07-28 2003-07-28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200332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55U KR200332348Y1 (ko) 2003-07-28 2003-07-28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55U KR200332348Y1 (ko) 2003-07-28 2003-07-28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09A Division KR100511493B1 (ko) 2003-07-28 2003-07-28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348Y1 true KR200332348Y1 (ko) 2003-11-07

Family

ID=4941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255U KR200332348Y1 (ko) 2003-07-28 2003-07-28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3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4B1 (ko) * 2005-10-14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알에프 컨넥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4B1 (ko) * 2005-10-14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알에프 컨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US5453019A (en) Internal/external antenna switch connector
US20050245104A1 (en) Coaxial connector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CN112531372B (zh) 连接器
TW201501421A (zh) 卡連接器及電子裝置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7101230B2 (en) Combined connector
CN113131290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89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20040015375A (ko)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202103283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US6171123B1 (en) Electrical connector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US618329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11493B1 (ko)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200332348Y1 (ko) 이중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US20050048847A1 (en) Electrical power jack
WO2007062866A1 (en) Intermediate plug
JP3179408U (ja) 直立型コネクター及びその取付構造
US7090535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bearing high voltage
KR200404096Y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JP200403108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3035780B1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ンタクト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