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780Y1 -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80Y1
KR200331780Y1 KR20-2003-0023021U KR20030023021U KR200331780Y1 KR 200331780 Y1 KR200331780 Y1 KR 200331780Y1 KR 20030023021 U KR20030023021 U KR 20030023021U KR 200331780 Y1 KR200331780 Y1 KR 200331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recess
jaw
pla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루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루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루버
Priority to KR20-2003-0023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버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루버지지구의 회동축 선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간을 갖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하 중간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끼움턱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연결작동간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바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각도조절홈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외측면에 끼움고정된 원형의 각도조절원판과, 일측중심 내측면에는 각도조절원판이 안착되는 안착요부를 갖는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양측면에 걸림턱을 갖고 하단에 체결턱이 형성된 삽입요부가 형성된 작동판과, 후면상단에 단턱을 갖는 탄발요부를 형성하고 하단은 탄발요부에 위치되어 단턱에 의해 걸림고정되고 상단은 작동판의 안착요부로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발 돌출된 걸림자를 형성하며 정면양측단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동판의 삽입요부에 끼워져 걸림턱과 체결턱에 걸림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작동자 및 작동판 체결구멍의 후면에 위치되어 일측 중심에 각도조절원판의 축공에서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간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그 상하부에 각도조절원판의 끼움턱이 걸림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조절손잡이가 돌출된 조절판을 구비하여서 된다.

Description

루버의 각도조절장치{angle regulation apparatus for louver}
본 고안은 루버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창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신체의 접촉시 상해의 위험이 전혀없고 다양한 각도로 루버를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루버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폭이 좁은 판을 비스듬히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 건축에서 미늘살문이나 미늘살창이라고도 하며,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풍이나 환기를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드는 관계로 루버를 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채광, 인공조명, 일조조정에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루버 형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가로, 세로 또는 격자창(格子窓)으로 하든지, 이것들의 변형을 응용해서 여러 가지 종류를 택할 수가 있다.
빛에 관해서 이것을 사용하면 광원면(光源面)은 그다지 밝게 보이지 않게 하고, 작업면만 밝게 할 수 있으며, 광선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실내의 조도분포(照度分布)를 균일화할 수 있고, 직사 일광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는 이상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이런 루버형식은 보통 환기창에서 많이 사용되므로, 환기창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바, 이런 환기창은 아파트의 베란다, 아파트 옥탑의 기계실 등에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최근에는 주상복합의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에어콘의 실외기가 건물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환기창 등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이런 환기창은 각형의 프레임이 상하측 및 좌우측으로 연결되어 사각틀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프레임이 건물 벽체의 구멍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들 프레임중 좌우측의 프레임 대향면에 회동되는 루버가 다수개 구비된다. 이들 루버는 인접한 루버와 상하단이 각각 겹쳐지도록 일직선상으로 놓이면 환기창이 닫힌 상태가 되며 이들이 각각 수평의 상태로 회동되면 환기창이 개방되어 열리게 된다.
종래에는 환기창에서 이들 루버의 수평과 수직상태를 유도하여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환기창의 개폐각도 조절장치는 없었고, 단지 루버홀더에 의해 정렬된 루버 일측단의 루버틀 내에 루버홀더와 연결되어 레버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레버에 의해서 루버의 개방 또는 폐쇄로 이분하여 조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환기창은 자주 사용되는 과정에서 힌지부의 마모가 발생되어 닫히면 열리고 열면 닫히는 작동상태의 부재를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의 지지구조가 없어 요구하는 개폐각도의 설정이 부정확하게 되고 닫았을 때에도 루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완전히 밀폐되지 못하게 되며, 이로인해 외부공기가 루버의 밀착되지 않은 틈새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냉, 난방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바, 이때 실내 밖의 소음도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앙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루버를 형성하고, 일측프레임에는 각 루버를 동시에 회동 조작시키는 조절손잡이를 형성하며, 이 조절손잡이는 각도에 따라 각 루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조절손잡이와 각 루버는 링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환기창의 루버각도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다수개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반원판이 조절손잡이와 같이, 환기창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미감이 떨어지고 부주의로 의해 손이나 손등, 팔 등의 신체부위와 접촉시 상해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기창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신체의 접촉시 상해의 위험이 전혀없고 다양한 각도로 루버를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루버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격자형의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축을 갖는 루버지지구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어 한 쌍의 연결작동간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루버가 구성된 환기창 루버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어 중심에 루버지지구의 회동축 선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간을 갖는 축공이 형성되고 상하 중간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턱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연결작동간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바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각도조절홈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외측면에 끼움고정된 원형의 각도조절원판과;
직사각면체로 일측중심 내측면에는 각도조절원판이 안착되는 안착요부를 갖는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양측면에 걸림턱을 갖고 하단에 체결턱을 갖는 삽입요부가 형성된 작동판과;
사각면체로 후면상단에 단턱을 갖는 탄발요부를 형성하고 하단은 탄발요부에위치되어 단턱에 의해 걸림고정되고 상단은 작동판의 안착요부로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발 돌출된 걸림자를 형성하며 정면양측단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동판의 삽입요부에 끼워져 걸림턱과 체결턱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작동자 및
작동판 체결구멍의 후면에 위치되어 일측 중심에 각도조절원판의 축공에서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간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그 상하부에 각도조절원판의 끼움턱이 걸림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조절판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조절판의 일측에는 조절손잡이가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루버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루버의 중간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루버의 완전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루버 각도조절장치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루버 각도조절장치의 루버 폐쇄시의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 루버 각도조절장치의 루버 각도 조절시의 걸림자가 각도조절원판에 의해 탄발 삽입된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 각도조절원판의 배면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각도조절원판 11 : 각도조절홈
11a : 돌기 12 : 축공
13 : 지지간 14 : 끼움턱
15 : 끼움바 20 : 작동판
21 : 체결구멍 22 : 안착요부
23 : 삽입요부 24 : 걸림턱
25 : 체결턱 30 : 작동자
31 : 걸림자 32 : 탄발스프링
33 : 탄발요부 34 : 단턱
35 : 삽입부 40 : 조절판
41 : 끼움구멍 42 : 체결공
43 : 조절손잡이 50 : 루버지지구
51 : 회동축 60 : 연결작동간
70 : 프레임 80 : 루버
81 : 밀폐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루버의 폐쇄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루버의 중간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루버의 완전 개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루버 각도조절장치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루버 각도 조절장치의 루버 폐쇄시의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루버 각도조절장치의 루버 각도 조절시의 걸림자가 각도조절원판에 의해 탄발 삽입된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각도조절원판의 배면 모습을 보인 배면도이다.
본 고안 루버의 각도조절장치는 루버(80)의 양단에 위치되어 루버(80) 양단이 삽입되는 루버지지구(50)와, 루버지지구(50) 다수개 양내측단에 다단으로 축결합된 격자형의 프레임(70)과, 프레임(70) 외측단에 양측으로 배치된 연결작동간(60)과, 연결작동간(60)에 양측이 결합되어 루버지지구(50)의 회동축(51) 선단에 축결합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각도조절홈(11)을 갖는 각도조절원판(10)과, 각도조절원판(10)이 안착되고 프레임(70)의 외측면에 끼움결합되는 작동판(20)과, 작동판(20)의 삽입요부(22)에 체결되어 작동판(20)의 안착요부(23)에 위치된 각도조절원판(10)의 각도조절홈(11)에 탄발 걸림되는 걸림자(31)를 갖는 작동자(30)와, 작동판(20)의 체결구멍(21) 후방에서 각도조절원판(10)이 체결되어 작동판(20)의 안착요부(22) 내에서 각도조절원판(10)을 다단으로 회동시키는 조절손잡이(43)를 갖는 조절판(40)으로 구성된다.
각도조절원판(10)은 원형의 합성수지재질로 프레임(70)의 외측면에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중심에 루버지지구(50)의 회동축(51) 선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간(13)을 갖는 축공(12)과, 상하 중간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턱(14)과,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연결작동간(60)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바(15)와, 외주연에 내측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각도조절홈(11)으로 구성된다.
작동판(20)은 직사각면체의 합성수지 재질로, 일측중심 내측면에는 각도조절원판(10)이 안착되는 안착요부(22)를 갖는 체결구멍(21)과, 그 하부 양측면에 걸림턱(24)을 갖고 하단에 체결턱(25)을 갖는 삽입요부(23)로 구성된다.
작동자(30)는 사각면체의 합성수지 재질로, 후면상단에 단턱(34)을 갖는 탄발요부(33)와, 하단은 탄발요부(33)에 위치되어 단턱(34)에 의해 걸림고정되고 상단은 작동판(20)의 안착요부(22)로 탄발스프링(32)에 의해 탄발 돌출된 걸림자(31)와, 정면양측단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동판(20)의 삽입요부(23)에 끼워져 걸림턱(24)과 체결턱(25)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삽입부(35)로 구성된다.
조절판(40)은 작동판(20) 체결구멍(21)의 후면에 위치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측 중심에 각도조절원판(10)의 축공(12)에서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간(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멍(41)과, 그 상하부에 각도조절원판(10)의 끼움턱(14)이 걸림고정되는 체결공(42)으로 구성된다.
조절판(40)의 일측에는 조절손잡이(43)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조절판(40)을 회동시켜 루버(8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조절손잡이(43) 없이도 실내측에서 루버(80)만을 손으로 잡고 상하로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은 바, 조절손잡이(43)가 설치된 상태가 사용상의 편리성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조절손잡이(43)가 위치한 좌측면이 실내이고, 루버(80)의 상면이 외부로 향한 우측면이 실외로, 사용자는 하단이 상측으로 향한 조절손잡이(43)를 잡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끝까지 내리면, 루버(80)의 양측단이 결합된 루버지지구(50)는 도 2와 같이 프레임(70) 상에서 사선방향으로, 또한, 도 3과 같은 프레임(7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고정된다.
조절손잡이(43)와 결합된 각도조절원판(10)의 복수개 끼움바(15)는프레임(70) 상에서 양측으로 길게 배치된 연결작동간(60)에 축결합되어 연결작동간(60)에 결합된 다른 루버지지구(50)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조절손잡이(43)가 일측면에서 돌출된 조절판(40)의 끼움구멍(41)은 프레임(80)의 외측면에 끼워져 고정된 작동판(20)의 체결구멍(21)을 통해 안착요부(22) 상에서 각도조절원판(10)의 지지간(13)에 끼워지고, 복수개의 체결공(42)에는 각도조절원판(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끼움턱(14)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로 인해 루버지지구(50)의 회동축(51)이 축고정된 축공(12)을 갖는 각도조절원판(10)은 작동판(20)의 안착요부(22) 상에서 도 5에서 도 6과 같이 회동된다.
도 5에서 도 6과 같이 회동될 때, 작동판(20)의 삽입요부(23)에 끼워져 고정된 작동자(30)의 걸림자(31)는 각도조절원판(10)의 각도조절홈(11) 내에 위치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다수개 각도조절홈(11) 사이의 돌기(11a)와 맞닿으면서 작동자(30)의 탄발스프링(32)을 탄발요부(33) 내에서 수축시키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각도조절홈(11) 사이의 다수개 돌기(11a)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탄발스프링(32)의 탄발력으로 각도조절원판(10)의 각도조절홈(11)을 고정시킨 작동자(30)의 걸림자(31)는, 사용자가 회동시키는 조절손잡이(43)에 의한 조절판(40)의 회동력에 의해 각도조절원판(10)의 각도조절홈(11) 내에서 걸림자(31)를 탄발력으로 하방 이동시켜 각도조절원판(10)을 회동시킴으로써 루버지지구(50)의 루버(8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조절손잡이(43)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루버(80)만을 잡고 상하로 회동시킴으로써 루버(8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루버(80)가 프레임(70) 상에서 고정되는 각도는 각도조절원판(10)의 외주연에 요부로 형성된 각도조절홈(11)의 갯수만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의 폭이 넓게 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루버지지구(50)에 결합된 루버(80)의 양측단에는 고무재질의 탄성력을 갖는 밀폐부재(81)를 체결시킴으로써 도 1과 같이, 루버(80)를 프레임(70) 상에서 밀폐시켜 폐쇄시킬 때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외부소음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절손잡이 외에는 환기창의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물이 없어 신체의 접촉시 상해의 위험이 전혀없고 다양한 각도로 루버를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격자형의 프레임(70)이 형성되고 프레임(70)의 내측에 회동축(51)을 갖는 루버지지구(50)에 의해 다단으로 설치되어 한 쌍의 연결작동간(60)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루버(80)가 구성된 환기창 루버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프레임(70)의 외측에 위치되어 중심에 루버지지구(50)의 회동축(51) 선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간(13)을 갖는 축공(12)이 형성되고 상하 중간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복수개의 끼움턱(14)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연결작동간(60)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바(15)를 형성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각도조절홈(11)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프레임(70)의 외측면에 끼움고정된 원형의 각도조절원판(10)과;
    직사각면체로 일측중심 내측면에는 각도조절원판(10)이 안착되는 안착요부(22)를 갖는 체결구멍(21)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양측면에 걸림턱(24)을 갖고 하단에 체결턱(25)을 갖는 삽입요부(23)가 형성된 작동판(20)과;
    사각면체로 후면상단에 단턱(34)을 갖는 탄발요부(33)를 형성하고 하단은 탄발요부(33)에 위치되어 단턱(34)에 의해 걸림고정되고 상단은 작동판(20)의 안착요부(22)로 탄발스프링(32)에 의해 탄발 돌출된 걸림자(31)를 형성하며 정면양측단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작동판(20)의 삽입요부(23)에 끼워져 걸림턱(24)과 체결턱(25)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삽입부(35)가 형성된 작동자(30) 및
    작동판(20) 체결구멍(21)의 후면에 위치되어 일측 중심에 각도조절원판(10)의 축공(12)에서 후면으로 돌출된 지지간(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구멍(41)이 형성되고 그 상하부에 각도조절원판(10)의 끼움턱(14)이 걸림고정되는 체결공(42)이 형성된 조절판(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40)의 일측에는 조절손잡이(43)가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3-0023021U 2003-07-16 2003-07-16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KR200331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21U KR200331780Y1 (ko) 2003-07-16 2003-07-16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21U KR200331780Y1 (ko) 2003-07-16 2003-07-16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28A Division KR20050009318A (ko) 2003-07-16 2003-07-16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80Y1 true KR200331780Y1 (ko) 2003-11-01

Family

ID=4941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21U KR200331780Y1 (ko) 2003-07-16 2003-07-16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84B1 (ko) 2011-08-26 2013-02-08 (주)에이치아이테크 절곡형 루버 손잡이
KR101326872B1 (ko) 2006-12-21 2013-11-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방범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72B1 (ko) 2006-12-21 2013-11-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방범창 시스템
KR101231684B1 (ko) 2011-08-26 2013-02-08 (주)에이치아이테크 절곡형 루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55B1 (ko)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KR200461973Y1 (ko) 루버
KR101487377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331780Y1 (ko)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KR100508797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CN209742714U (zh) 一种百叶窗
KR20050009318A (ko) 루버의 각도조절장치
CN217080248U (zh) 一种新型百叶窗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258237Y1 (ko) 환기창
KR20190083452A (ko)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KR20220009740A (ko) 루버 개폐 장치
EA005021B1 (ru) Окно с вентиляционным отверстием
KR013326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KR101756175B1 (ko) 창호 일체형 자연환기 장치
KR101975708B1 (ko)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CN215859848U (zh) 换气窗
KR100508795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CN211549493U (zh) 一种智能电动百叶窗的防水结构
KR100802595B1 (ko) 통풍장치용 개폐구조체
JP7211200B2 (ja) 日射調整装置
CN211549532U (zh) 一种方便开关的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