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752Y1 - 풍압 지지 유닛 - Google Patents

풍압 지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52Y1
KR200331752Y1 KR20-2003-0021281U KR20030021281U KR200331752Y1 KR 200331752 Y1 KR200331752 Y1 KR 200331752Y1 KR 20030021281 U KR20030021281 U KR 20030021281U KR 200331752 Y1 KR200331752 Y1 KR 20033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indow frame
wind pressure
wind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1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과 창틀로 이루어지는 창문이 창문틀에 형성된 안내레일 및 요입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창문유닛에 설치되어, 창문과 창문틀을 결합시키는 풍압 지지 유닛에 있어서, 하단부의 중앙부위에 안내레일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관통공에 제 1 결합부재가 끼워져 안내레일에 고정되며, 결합홈과 인접하는 일정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관통공에 제 2 결합부재가 끼워져 일 측벽이 창틀에 고정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제 3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지지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풍압 지지 유닛 {Unit for supporting wind pressure}
본 고안은 풍압 지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장착되는 창문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풍압 지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창문은 채광 및 환기 등의 목적으로, 벽체에 창문틀이 고정 설치되고, 창문틀의 내부에는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이 투시되도록 창유리가 삽입 배설된 창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창문틀의 내측면에는 창문이 슬라이딩될 수있도록 다수의 안내레일과 요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창문은 기밀성, 수밀성, 내풍압성, 단열성, 방음성, 결로현상, 난열성, 개폐 유연성, 내후성, 유지 보수성 등이 요구되며, 특히 외부 풍압으로 인한 창호(창과 문) 및 유리가 견디는 정도를 나타내는 내풍압성은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질이다.
내풍압 성능은 창호의 구조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내풍압 240 등급은 창호에 최소 240kgf/㎡의 압력으로 가압하였을 경우 창문에 이상이 없음을 나타낸다.
내풍압이 좋지 않은 창문은 창문과 창문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강풍 발생시 덜컹거리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리 및 창틀이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풍압에 보다 견고한 창문을 제공하기 위해, 걸림부재의 치수를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되나, 걸림부재의 치수 확대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가 발생되며, 또 다른 방안으로는 풍압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는 창틀의 수직선대 부분을 보강심 단면 모멘트를 높인 재료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가정에 주로 사용되는 소형 창문의 경우에는 창틀에 의해 충분히 풍압에 견딜 수 있으나, 소형 창문에 비하여 큰 2-슬라이딩 창문 또는 3-슬라이딩 창문의 경우에는 창 자체가 크기 때문에, 내풍압이 매우 약하게 되어 창틀만으로 강한 풍압을 견디기에는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 제 259313호에 창문 스토퍼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 스토퍼는 청소, 이사, 환기 등으로 인해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창문 스토퍼가 창문과 창틀을 결합시키는 강도가 약하여 내풍압이 다소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창틀과 창문이 접촉되는 일정부위에 창틀과 창문을 동시에 고정하여 내풍압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풍압 지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손쉽게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한 풍압 지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이 창문에 장착된 예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과 창틀로 이루어지는 창문이 창문틀에 형성된 안내레일 및 요입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창문유닛에 설치되어, 창문과 창문틀을 결합시키는 풍압 지지 유닛에 있어서, 하단부의 중앙부위에 안내레일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관통공에 제 1 결합부재가 끼워져 안내레일에 고정되며, 결합홈과 인접하는 일정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관통공에 제 2 결합부재가 끼워져 일 측벽이 창틀에 고정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제 3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지지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중앙부위에서 내부에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제 2 관통공에 끼워진 제 2 결합부재가 끼워지고, 결합돌기의 양측부에 제 2 결합공이 형성되며, 몸체와 창틀에 개재되어 몸체와 창틀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 2 결합부재는 헤드 부분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편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은 하단부가 창문틀에 장착되고, 일 측벽이 창틀에 장착되어 창문과 창틀을 상호 결합시키는 몸체(1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창문틀의 요입부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창문틀에 형성된 안내레일에 장착되기 위하여 하단부의 중앙부위에 안내레일에 끼워지는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결합홈(120)은 창문틀의 안내레일에 끼워지기 위해 안내레일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부로부터 결합홈(12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결합홈(120)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제 1 관통공(14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몸체(100)를 창틀에 장착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결합홈(12)과 인접하는 일정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몸체(100)를 관통하는 제 2 관통공(160)이 형성되며, 제 2 관통공(160)은 몸체(100)를 좌측부와 우측부로 구분하였을 때 그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관통공(140)에 의해 몸체(100)를 창문틀의 안내레일에 고정함으로써, 몸체(100)와 창문틀을 결합시키나, 몸체(100)와 창문틀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180)을 포함한다.
고정편(180)은 창문틀의 요입부에 삽입되어 요입부의 표면과 접촉되고, 중앙부위에 제 3 관통공(182)이 형성되어 몸체(100)를 창문틀의 요입부에 고정시킨다.
제 2 관통공(160)을 통해 몸체(100)가 창틀에 장착됨에 있어, 중앙부위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20)의 내부에 제 1 결합공(222)이 형성되고, 결합돌기(220)의 양 측부에 제 2 결합공(240)이 형성된 결합유닛(200)을 개재한다.
결합유닛(200)은 제 2 결합공(240)을 통해 몸체(100)의 제 2 관통공(160)이 창틀에 대응하는 부위에 장착되고, 몸체(100)의 제 2 관통공(160)과 결합유닛(200)의 제 2 결합공(222)이 상호 연통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이 창문에 장착된 예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다.
창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창(310)과 창틀(320)로 이루어지는 창문과, 안내레일(420)과 요입부(440)가 형성되어 창문이 장착되는 창문틀(400)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창틀(320)의 일정부위에 결합유닛(200)을 설치한다. 이때, 결합유닛(200)의 제 2 결합공(240)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설치한다.
결합유닛(200)이 설치된 부위에 대응하도록 몸체(100)를 위치시키고, 결합홈(120)을 안내레일(420)에 끼우며, 이로 인해 제 2 관통공(160)과 제 1 결합공(222)이 상호 연통된다.
결합홈(12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관통공(140)에 제 1 결합부재(142)가 끼워지며, 제 1 결합부재(142)는 제 1 관통공(140)과 결합홈(120)을 통과하여 결합홈(120)에 삽입되어 있는 안내레일(420)에 장착된다.
제 2 관통공(160)에 제 2 결합부재(162)를 끼우며, 제 2 결합부재(162)는 제 2 관통공(160)과 제 1 결합공(222)을 통과하여 창틀(320)에 장착된다.
결합홈(120)이 안내레일(420)에 끼워짐에 따라, 결합홈(120)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부와 후방부는 요입부(440)에 삽입되며, 고정편(180) 또한 요입부(440)에 삽입되어 요입부(440)의 표면과 접촉된다.
제 3 관통공(182)에 제 3 결합부재(184)가 끼워져 고정편(180)을 요입부(440)에 고정시킴으로써, 몸체(100)와 창문틀(400)을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재(162)는 헤드 부분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편이 구비된 나비형 나사(thumbscrew)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비형 나사를 사용하여 몸체(100)와 창틀(320)을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손쉽게 몸체(100)를 창틀(320)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사, 청소, 환기 등으로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의 착탈이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풍압 지지 유닛은 창틀과 창문틀을 하나의 몸체로 고정시키고, 고정편 및 결합유닛 등을 포함하여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함으로써, 창의 내풍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풍압이 향상됨에 따라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완전하게 시공된 창문에 별도의 작업공정 없이 장착하기 때문에, 창틀과 창문틀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여 청소 또는 이사시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더욱이, 내풍압성이 요구되는 창문에 적용하면, 창틀과 창문틀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줌으로써, 결합력 약화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창과 창틀로 이루어지는 창문이 창문틀에 형성된 안내레일 및 요입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창문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창문과 상기 창문틀을 결합시키는 풍압 지지 유닛에 있어서,
    하단부의 중앙부위에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관통공에 제 1 결합부재가 끼워져 상기 안내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홈과 인접하는 일정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관통공에 제 2 결합부재가 끼워져 일 측벽이 상기 창틀에 고정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제 3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지지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부위에서 내부에 제 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관통공에 끼워진 상기 제 2 결합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부에 제 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와 상기 창틀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창틀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지지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헤드 부분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작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 지지 유닛.
KR20-2003-0021281U 2003-07-03 2003-07-03 풍압 지지 유닛 KR20033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281U KR200331752Y1 (ko) 2003-07-03 2003-07-03 풍압 지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281U KR200331752Y1 (ko) 2003-07-03 2003-07-03 풍압 지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52Y1 true KR200331752Y1 (ko) 2003-11-01

Family

ID=4941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281U KR200331752Y1 (ko) 2003-07-03 2003-07-03 풍압 지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0B1 (ko) 2006-08-22 2007-11-1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이중창용 내풍압 강화재
KR100806744B1 (ko) 2006-09-19 2008-02-2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용 내풍압 강화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826825B1 (ko) * 2007-03-05 2008-05-02 이봉학 내풍압 강화기능을 갖는 미닫이창호 결합장치
KR20180058960A (ko) * 2016-11-25 2018-06-04 (주)은종산업 다기능 창호 어셈블리
KR20230061737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0B1 (ko) 2006-08-22 2007-11-15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이중창용 내풍압 강화재
KR100806744B1 (ko) 2006-09-19 2008-02-2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용 내풍압 강화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826825B1 (ko) * 2007-03-05 2008-05-02 이봉학 내풍압 강화기능을 갖는 미닫이창호 결합장치
KR20180058960A (ko) * 2016-11-25 2018-06-04 (주)은종산업 다기능 창호 어셈블리
KR101868900B1 (ko) * 2016-11-25 2018-06-19 (주)은종산업 다기능 창호 어셈블리
KR20230061737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KR102634832B1 (ko) * 2021-10-29 2024-02-08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356B2 (en) Blast resistant window framework and elements thereof
CA2425191A1 (en) Tilt-latch for a sash window
CA2192735A1 (en) Standardized framing section for closure wings
JPH09209658A (ja) 枠部材の押縁取付構造
KR200331752Y1 (ko) 풍압 지지 유닛
CA2522999A1 (en) Tilt-latch and window sash assembly
ATE245095T1 (de) Türrahmen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KR20100000856U (ko) 유리문용 도어록의 브라켓트 구조
JP2005088883A (ja) 平面ガラス窓の取付け方法
JP3975474B2 (ja) 採光窓付きドア
EP1411182A3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Schienen einer abgehängten Decke
KR102559267B1 (ko) 시스템창호용 보조샤시
CN100371203C (zh) 窗框组装结构
CN109268361A (zh) 一种连接结构和框架
KR200167092Y1 (ko) 창문용 골조
CN212591842U (zh) 一种整边卡扣式连接结构
CN216744860U (zh) 框架组件及具有其的空调箱体
US6213576B1 (en) Window unit
CN221002496U (zh) 一种门以及一种门包边型材
JP3078695U (ja) ガラスドア用安全装置
KR200145849Y1 (ko) 창문틀 레일 구조
CN211776843U (zh) 一种组合门窗边框用内置连接件及组合门窗边框
JP2704831B2 (ja) 内動片引き窓の外障子固定構造
KR101417309B1 (ko) 창짝 고정용 조립체
KR20020031735A (ko) 덮개가 조성된 창호의 하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