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435Y1 -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435Y1
KR200331435Y1 KR20-2003-0023482U KR20030023482U KR200331435Y1 KR 200331435 Y1 KR200331435 Y1 KR 200331435Y1 KR 20030023482 U KR20030023482 U KR 20030023482U KR 200331435 Y1 KR200331435 Y1 KR 200331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head
pair
drive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3-0023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25B15/004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 또는 시계 등의 소형 제품에 사용되는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작업을 1스텝으로 완료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절개된 상태로 양측이 각각 바깥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타단 내측이 상호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부가 복원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로부터 파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력부재의 중앙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 변형되면서 한쌍의 파지부가 대향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압압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Driver having Variable Holder}
본 고안은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 또는 시계 등의 소형 제품에 사용되는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작업을 1스텝으로 완료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또는 시계와 같이 제품의 제품자체가 소형이거나 무게 또는 부피를 가능한 한 줄여야 하는 제품은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 너트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각 부품을 연결하게 된다. 더욱이 무테안경의 경우에는 브리지 및 안경다리에 렌즈를 상호 연결할 경우 연결부분의 너트나 볼트 헤드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지 않도록 반드시 소형의 너트 또는 소형의 헤드를 갖는 볼트를 사용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소형의 너트 및 볼트를 사용하여 안경 또는 시계 등을 조립할 경우 매우 작은 지름 예를 들어, 0.8㎜∼1.4㎜의 지름을 갖는 너트 또는 볼트는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손가락 끝에 붙도록 손에 침 또는 물을 묻혀 나사를 손가락 끝으로 눌러 조심스럽게 볼트의 나사부 또는 너트의 체결구멍으로 이동하거나, 핀셋 등으로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가체결 상태로 설정한 후, 별도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완전 체결하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예를 들어, 너트의 경우 손가락이나 핀셋으로 불완전하게파지한 상태에서 체결부분까지 옮기는 과정에서 떨어뜨리기 쉽고, 또한 너트를 나사부에 가체결하는 것도 용이하지 못하여 결국 체결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체결 후, 다시 별도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완전 체결을 행해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한번에 완료되지 못하고 2∼3스텝으로 이루어져 매우 번거롭고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 또는 시계 등의 소형 제품에 사용되는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작업을 1스텝으로 완료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트 및 볼트 홀더를 갖는 스크류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보는 확대 개략도,
도 1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드라이버에 안내봉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도 4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정면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c 및 도 8d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절곡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손잡이 2: 너트
3: 볼트 3a: 볼트 헤드
10, 30, 40, 50: 탄력부 11, 41: 결합부
13a, 13b, 23a, 23b, 33a, 33b, 43a, 43b, 53a, 53b: 절곡부
15: 연결편 15a: 힌지핀
17a, 17b, 27a, 27b, 37a, 37b, 47a, 47b, 57a, 57b, 57c: 파지부
18, 28, 38, 48, 58: 요홈 19: 접촉면
20: 안내봉 21: 조절돌기
28a, 28b: 지지핀 31: 고정볼트
42: 제1 힌지핀 44a, 44b: 제2 힌지핀
45: 제3 힌지핀 16a, 56, 46: 코일 스프링
16b: 핀스프링 54a, 54b, 54d: 결합홈
54c: 결합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절개된 상태로 양측이 각각 바깥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타단 내측이 상호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부가 복원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로부터 파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력부재의 중앙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 변형되면서 한쌍의 파지부가 대향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압압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파지부 선단에 각각 결합되어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할 수 있는 지지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파지부의 요홈으로 너트를 안내하기 위해 일단이 파지부 전방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상기 탄력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력부재의 선/후단 및 손잡이의 중앙에 관통 결합된 안내봉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내측으로 상호 힌지 결합되며, 중앙이 스프링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힌지 결합된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쌍의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로부터 파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력부재의 중앙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 변형되면서 한쌍의 파지부가 대향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압압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후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선단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며, 동시에 중앙이 외측으로 절곡되고 동시에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탄력상태를 유지하는 한쌍의 절곡판을 구비한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쌍의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삽입시키기 위해 탄력부재의 중앙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시키면 파지부는 탄력부재의 후단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의 역방향으로 선회되면서 파지부의 폭이 가변되고,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해 탄력부재의 가압을 해제시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대향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파지부는 요홈이 다각으로 이루어진 너트 또는 볼트 헤드의 외주면에 대응 접촉하도록 경사 형성된 접촉면을 구비하여 체결 시 너트 또는 볼트 헤드가 상기 요홈 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탄력부재를 통해 파지부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킴에 따라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를 쉽고 강력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파지한 상태에서 별도의 드라이버로 너트 및 볼트를 옮기는 과정 없이 1스텝으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하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아울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보는 확대 개략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 및 볼트 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는 도 1a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에 동일 축방향으로 결합된 탄력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력부(10)는 손잡이(1) 일단에 삽입된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쌍의 절곡부(13a, 13b)는 중앙이 각각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 형성되며 선단 내측이 상호 연결편(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절곡부(13a, 13b)의 선단에는 상기 절곡부(13a, 13b)가 내/외측으로 탄력적인 변형이 이루어질 경우 너트(2) 또는 볼트 헤드(3)를 삽입된 상태로 파지하기 위한 요홈(18)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17a, 17b)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력부(10)는 소정의 탄력을 갖는 소재,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력부(10)를 이루는 결합부(11), 절곡부(13a, 13b), 연결편(15) 및 파지부(17a, 17b)는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요홈(18)은 도 1b와 같이 요홈(18)에 너트(2)가 삽입되어 한쌍의 파지부(17a, 17b)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 즉, 볼트의 나사부에 체결할 경우 요홈(18) 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에 너트(2)의 다각으로 이루어진 측면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면(1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c와 같이 상기 절곡부(13a, 13b)는 상기 연결편(15) 대신에 도 1c와 같이 힌지핀(15a)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드라이버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피체결 대상에 체결시키기 위한 너트(2)를 한쌍의 파지부(17a, 17b)의 요홈(18)에 삽입시킬 경우, 도 2a와 같이 한쌍의 절곡부(13a, 13b)의 중앙 돌출부분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절곡부(13a, 13b)는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파지부(17a, 17b)는 도 2b와 같이 연결편(15)을 중심으로 각각 외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되면서 요홈(18)의 폭이 너트(2)의 지름보다 크게 변형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7a, 17b)가 너트(2)의 상측에 위치 설정시킨다.
그 후, 상기 절곡부(13a, 13b)에 가하고 있는 힘을 서서히 해제시키면서 너트(2)의 측면이 요홈(18)의 접촉면(19)에 대응 접촉하도록 함에 따라 절곡부(13a, 13b)가 자체 탄력에 의해 도 1a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원되면서 한쌍의 파지부(17a, 17b)가 내측방향 즉,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너트(2)를 요홈(18)에 삽입된 상태로 파지한다.
이어서, 파지부(17a, 17b)를 통해 파지된 상태의 너트(2)를 피체결 대상에 체결시키기 위해 손잡이(1)를 축방향을 따라 결합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킬 경우, 도 2b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절곡부(13a, 13b)는 중앙 돌출부분이 외측방향으로 탄력 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파지부(17a, 17b)가 상호 대향방향으로 연결편(15)을 중심으로 선회됨에 따라 상기 요홈(18)에 삽입된 너트(2)를 더욱 강하게 파지된 상태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 체결 작업 시 상기 너트(2) 체결 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드라이버로 너트를 옮기는 과정 없이 1스텝으로 너트 또는 볼트를 파지하여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3a∼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드라이버에 안내봉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는 너트(2)를 더욱 용이하게 요홈(18)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도 3a와 같이 일단이 연결편(15)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타단이 상기 탄력부(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력부(10)의 선/후단 및 손잡이(1)의 중앙에 삽입 결합된 안내봉(2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안내봉(20)의 중앙에는 안내봉(20)을 전/후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조절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봉(20)을 이용하여 작업대 등에 놓여 있는 너트(2)를 스크류 드라이버의 요홈(18)으로 안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같이 안내봉(20)을 파지부(17a, 17b)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안내봉(20)의 선단을 너트(2)의 체결구멍에 관통 삽입시킨 뒤, 안내봉(20)에 삽입된 너트(2)가 자중에 의해 안내봉(20)을 따라 요홈(18)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도 3c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를 거꾸로 들면서 동시에 안내봉(20)을 따라 안내된 너트(2)가 요홈(18)으로 삽입되도록 절곡부(13a, 13b)를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17a, 17b)를 외측으로 선회시켜 너트를 요홈(18)에 간단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요홈(18)에 너트(2)가 삽입 완료되면, 상기 너트(2)를 피체결 대상에 체결할 수 있도록 조절돌기(21)를 손잡이(1) 측으로 당겨 안내봉(20)을 슬라이딩 이동시킴에 따라 안내봉(20)의 선단 요홈(18) 보다 내측으로 위치 설정시킨 후, 체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봉(20)을 구비함에 따라 너트(2)를 용이하게 요홈(18)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작업을 더욱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4a∼도 4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의 절곡부(13a, 13b)는 한쌍의 절곡부(13a, 13b) 중 어느 하나의 중앙 돌출부분을 일부 절개시킨 뒤, 절곡부(13a, 13b) 내측에 도 4a와 같이 코일 스프링(16a)을 배치하거나 도 4b와 같이 핀스프링(16b)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4c와 같이 절개된 절곡부(13b)를 내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파지부(17b)가 힌지핀(15a)을 중심으로하여 외측으로 선회되면서 파지부(17a, 17b)의 폭이 넓혀져 너트를 파지부(17a, 17b)의 요홈(18)에 간단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절곡부(13b)를 가압 해제시키면 핀스프링(16b)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요홈(18)에 삽입된 너트를 핀스프링(16b)의 탄력에 의해 강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그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다만 도 5와 같이 탄력부(20)의 한쌍의 절곡부(23a, 23b)에 각각 연장 형성된 파지부(27a, 27b)는 선단에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안정적으로 삽입/파지하기 위한 요홈(28)을 갖는 한쌍의 지지핀(28a, 2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도 너트 또는 볼트를 파지하여 피체결 대상에 체결시키는 작업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되며, 도 3a와 같이 안내봉(2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탄력부(30)가 탄력을 갖는 금속재 예를 들면, 스프링 판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절곡부(33a, 33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절곡부(33a, 33b)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절곡부(13a, 13b)와 유사하게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중앙이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선단 내측이힌지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부(33a, 33b)는 선단에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37, 37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후단이 고정볼트(31)에 의해 손잡이(1)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한쌍의 파지부(37, 37b) 내측에도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너트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되는 요홈(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한쌍의 절곡부(33a, 33b)는 자체 탄력에 의해 중앙 절곡부분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내/외측으로 변형 및 복원되고 상기 파지부(37a, 37b)를 힌지핀(35)을 중심으로 대향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선회되면서 너트 및 볼트 헤드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고, 체결 시 너트 및 볼트 헤드를 강하게 파지한 상태로 신속하게 피체결 대상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탄력부가 자체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4 실시예에서는 하기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변형 및 복원된다.
먼저, 손잡이(1)에 결합된 탄력부(40)는 일단이 손잡이(1) 일단에 삽입된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 타단에는 후단이 각각 제1 힌지핀(42)에 의해 한쌍의 절곡부(43a, 43b)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절곡부(43a, 43b)는 중앙이 각각 제2 힌지핀(44a, 44b)에 의해절곡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선단 내측이 제3 힌지핀(45)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절곡부(43a, 43b)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 7과 같이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4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43a, 43b) 선단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요홈(48)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47a, 47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의 작동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나, 다만 상기 절곡부(43a, 43b)의 내/외측으로의 절곡 변형 및 초기상태로의 복원은 상기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곡부(43a, 43b)가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볼트 헤드(3a)를 요홈(48)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절곡부(43a, 43b)의 제2 힌지핀(44a, 44b)에 의해 힌지 결합된 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파지부(47a, 47b)는 제3 힌지핀(45)을 중심으로 대향방향의 역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볼트 헤드(3a)를 요홈(48)으로 삽입시킨 뒤, 절곡부(43a, 43b)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상기 코일 스프링(46)에 의해 파지부(47a, 47b)는 제3 힌지핀(45)을 중심으로 대향방향으로 선회하여 볼트 헤드(3a)를 안전하게 파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3)를 피체결 대상에 체결하기 위해 손잡이(1)를 축방향을 따라 결합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한쌍의 절곡부(43a, 43b)는 중앙 힌지 결합부분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한쌍의 파지부(47a,47b)가 상호 대향방향으로 제3 힌지핀(45)을 중심으로 선회됨에 따라 상기 요홈(48)에 삽입된 볼트 헤드(3a)를 더욱 강하게 파지한 상태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소형 볼트의 체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파지부(27a,27b; 37a,37b; 47a,47b)에 각각 형성된 요홈(28; 38; 48)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요홈(18)과 마찬가지로 다각으로 이루어진 너트 또는 볼트 헤드의 측면에 대응 접촉하는 접촉면(1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절곡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c 및 도 8d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의 절곡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사시도이다.
제5 실시예에서는 탄력부(50)의 한쌍의 절곡부(53a, 53b)가 상기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중앙이 절곡되고 후단이 고정볼트(51)에 의해 손잡이(1)에 결합된 탄력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절곡부(23a, 23b)와 파지부(27a, 27b)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각 동일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나, 제5 실시예에서는 도 8a와 같이 절곡부(53a, 53b)의 선단이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절곡부(53a, 53b)에 형성된 결합홈(54a, 54b)을 통해 상호 엇갈리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한쌍의 파지부(57a, 57b)가 연장 형성되어 있어, 결국 상기 절곡부(53a) 및 파지부(57a)는 다른 절곡부(53b) 및 파지부(57b)와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부(53a, 53b)는 내측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고, 상기 파지부(57a, 57b)는 내측으로 너트 또는 볼트 헤드가 삽입되는 요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스크류 드라이버는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할 경우, 상기 한쌍의 절곡부(53a, 53b)의 중앙을 내측으로 가압시켜 탄력부재의 후단 즉, 도 8a에 표시된 "B"부분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선회된다.
이에 따라 한쌍의 파지부(57a, 57b)는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선회된 절곡부(53a, 53b)를 통해 상호 대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요홈(58)의 폭이 넓혀진다.
이어서,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삽입한 후, 상기 절곡부(53a, 53b)에 가했던 압력을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절곡부(53a, 53b)가 코일 스프링(56)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파지부(57a, 57b)는 코일 스프링(56)의 탄발력을 통해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56) 없이도 절곡부(53a, 53b)의 탄력만으로도 파지가 가능하나, 상기 코일 스프링(56)의 탄발력을 통해 더욱 강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의 지름이 초기상태의 요홈(58)의 폭보다 클 경우에는 자체 탄력을 갖는 절곡부(53a, 53b)의 탄력에 의해 요홈(58)에 삽입된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더욱 강하게 파지하게 된다.
한편, 한쌍의 절곡부(53a, 53b)는 도 8c와 같이 상기 결합홈(54a, 54b) 대신에 절곡부(53a)의 선단에 결합구멍(54c)을 형성하고, 다른 절곡부(53b)의 선단 양측으로 한쌍의 결합홈(54d)을 구비하여, 도 8b와 같이 상기 절곡부(53b)의 파지부(57c)를 상기 결합구멍(54c)으로 삽입시킨 뒤 상기 결합구멍(54c) 및 결합홈(54d)이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한쌍의 절곡부(53a, 53b)의 선단이 엇갈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요홈(58)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요홈(18)과 마찬가지로 다각으로 이루어진 너트 또는 볼트 헤드의 측면에 대응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탄력부재를 통해 파지부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킴에 따라 소형의 너트 또는 볼트를 쉽고 강력하게 파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파지한 상태에서 별도의 드라이버로 너트 및 볼트를 옮기는 과정 없이 1스텝으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하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아울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절개된 상태로 양측이 각각 바깥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타단 내측이 상호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부가 복원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로부터 파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력부재의 중앙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 변형되면서 한쌍의 파지부가 대향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압압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파지부의 요홈으로 너트를 안내하기 위해 일단이 파지부 전방으로 돌출되고 동시에 상기 탄력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력부재의 선/후단 및 손잡이의 중앙에 관통 결합된 안내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3.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내측으로상호 힌지 결합되며, 중앙이 스프링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힌지 결합된 한쌍의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쌍의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로부터 파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력부재의 중앙이 외측으로 각각 돌출 변형되면서 한쌍의 파지부가 대향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요홈에 압압된 상태로 피체결 대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4. 손잡이를 구비한 드라이버에 있어서,
    후단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선단이 상호 엇갈리게 결합되며, 동시에 중앙이 외측으로 절곡되고 동시에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탄력상태를 유지하는 한쌍의 절곡판을 구비한 탄력부재와;
    상기 탄력부재 선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쌍의 탄력부재의 변형에 따라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한 요홈을 갖는 한쌍의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삽입시키기 위해 탄력부재의 중앙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시키면 파지부는 탄력부재의 후단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의 역방향으로 선회되면서 파지부의 폭이 가변되고,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하기 위해 탄력부재의 가압을 해제시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대향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파지부는 요홈에 다각으로 이루어진 너트 또는 볼트 헤드의 측면에 대응 접촉하도록 경사 형성된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파지부 선단에 각각 결합되어 너트 또는 볼트 헤드를 파지할 수 있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KR20-2003-0023482U 2003-07-21 2003-07-21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KR200331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82U KR200331435Y1 (ko) 2003-07-21 2003-07-21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82U KR200331435Y1 (ko) 2003-07-21 2003-07-21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094A Division KR100651708B1 (ko) 2003-07-08 2003-07-08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435Y1 true KR200331435Y1 (ko) 2003-10-30

Family

ID=4933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82U KR200331435Y1 (ko) 2003-07-21 2003-07-21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4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118B2 (en) Medical tool
US5245721A (en) Combination tool
US9878444B1 (en) Reaching and grasping tool with improved gripping heads
EP2411183B1 (en) Precision tweezers
US6012362A (en) Utility pliers
US20030164073A1 (en) Tool
US11565384B2 (en) Toggler structure for ratchet wrench
US20200331127A1 (en) Telescopic tool
JPH0818257B2 (ja) ロングノ−ズロッキング手動工具
US6131495A (en) Tool having replaceable tool heads
US6629443B2 (en) Ergonomic crimping apparatus
JP6178532B1 (ja) E形止め輪挿入工具
KR100651708B1 (ko)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US20040103766A1 (en) Locking pliers
KR200331435Y1 (ko) 가변홀더를 갖는 드라이버
US6793208B1 (en) Tool system for repairing eyeglasses
JPH0398771A (ja) 手持工具およびその調整ねじ
US20030188607A1 (en) Orientation adjustable spanner
KR100536168B1 (ko) 뼈 고정장치용 조정 공구
JP2016215297A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ーの螺子装着補助装置
JP7368243B2 (ja) 骨用プレートの曲げ加工方法並びに曲げ加工用具および曲げ加工用具セット
KR200196239Y1 (ko) 집게
US6941845B2 (en) Hand tool having bendable holding portion
JP2005096013A (ja) プライヤー
JP2002070369A (ja) ハンドル軸とレバーハンド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