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84Y1 - 직액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직액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84Y1
KR200331284Y1 KR20-2003-0023078U KR20030023078U KR200331284Y1 KR 200331284 Y1 KR200331284 Y1 KR 200331284Y1 KR 20030023078 U KR20030023078 U KR 20030023078U KR 200331284 Y1 KR200331284 Y1 KR 200331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orage container
ink storage
pen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경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3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펜선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가 유출될 염려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용기와, 잉크저장용기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선축과, 잉크저장용기에 조립되는 반대방향으로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선축에 설치되는 펜선과, 펜선의 선단부 반대쪽이 삽입되며 선축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고 잉크저장용기쪽 끝부분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홀더와, 선축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잉크저장용기와 지지홀더 사이에 설치되고 펜선의 노출된 끝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지지홀더의 관통공과 서로 연통하여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펜선으로 공급되고 펜선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지지홀더의 관통공과의 연통이 폐쇄되어 펜선으로의 잉크 공급이 중단되도록 개폐공이 형성되는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액식 필기구 {Free Ink Type Wri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선에 압력을가하거나 해제하는 상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펜선에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공급이 차단되고 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잉크의 공급을 차단하는 성능이 우수하도록 구성한 직액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액식 필기구는 볼펜 등에 비하여 점성이 낮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고 잉크의 보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의 잇점이 있다.
상기 직액식 필기구의 일종으로는 싸인펜 등이 있지만, 상기 싸인펜은 잉크를 흡장체 등에 흡수하여 저장하는 구조이므로 저장되는 잉크의 양이 적어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잉크저장통의 내부에 직접 잉크를 수용시키고, 상기 잉크저장통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앞쪽 끝부분)에 펜선을 설치하며, 상기 잉크저장통과 펜선 사이를 가로막고 설치되어 소정량의 잉크를 흡수한 상태로 저장하고 펜선을 통하여 필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펜선으로 잉크를 공급시키는 다공질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로 직액식 필기구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잉크저장통의 펜선이 설치되는 선단부에는 필기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 펜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뚜껑을 조립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직액식 필기구는 항상 펜선에 잉크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필기를 하지 않거나 펜선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보관상태에서 잉크가 유출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취급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뚜껑이 벗겨지면 옷 등을 오염시키거나 잉크가 기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펜선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만 잉크가 공급되고 펜선에 압력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잉크의 공급이 차단되며 잉크의 차단되는 성능이 매우 우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펜선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펜선에 압력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펜선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펜선에 가한 압력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직액식 필기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용기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선축과, 상기 잉크저장용기에 조립되는 반대방향으로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선축에 설치되는 펜선과, 상기 펜선의 선단부 반대쪽이 삽입되며 상기 선축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고 잉크저장용기쪽 끝부분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선축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잉크저장용기와 지지홀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펜선의 노출된 끝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공과 서로 연통하여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펜선으로 공급되고 상기 펜선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공과의 연통이 폐쇄되어 펜선으로의 잉크 공급이 중단되도록 개폐공이 형성되는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홀더에는 상기 선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는 상기 펜선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개폐부재에는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공이 형성되는쪽 끝부분을 감싸덮는 덮개부가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홀더에는 지지부의 반대쪽 끝부분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유도홈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홈이 형성된 부분에 관통공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개폐부재의 개폐공은 상기 펜선에 압력이 가하면 개구되고 상기 펜선에 가하는 압력을 제거하면 폐쇄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잉크저장용기와 탄성개폐부재 사이에는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탄성개폐부재쪽으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의 통과공이 형성되는 가로막이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1)를 수용하는 잉크저장용기(2)와, 상기 잉크저장용기(2)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선축(4)과, 상기 잉크저장용기(2)에 조립되는 반대방향으로 선단부(9)가 노출되도록 상기 선축(4)에 설치되는 펜선(8)과, 상기 펜선(8)의 선단부(9) 반대쪽이 삽입되며 상기 선축(4)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고 잉크저장용기(2)쪽 끝부분 측면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는 지지홀더(10)와, 상기 선축(4)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잉크저장용기(2)와 지지홀더(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펜선(8)의 노출된 끝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지지홀더(10)의 관통공(12)과 서로 연통하여 잉크(1)가 펜선(8)으로 공급되고 상기 펜선(8)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홀더(10)의 관통공(12)과의 연통이 폐쇄되어 펜선(8)으로의 잉크(1) 공급이 중단되도록 개폐공(24)이 형성되는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개폐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저장용기(2)는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잉크(1)가 저장되며, 개구쪽에는 상기 선축(4)이 조립된다.
상기에서는 잉크저장용기(2)를 한쪽 끝부분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길이방향 양쪽 끝부분이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한 후, 한쪽 끝부분을 뚜껑이나 마개 등으로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잉크저장용기(2)는 물감용기나 수정액용기 등과 같이, 외주면을 잡고 압력을 가하면 변형되고 압력을 제거하면 원상회복되도록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1)를 강제로 압송 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홀더(10)에는 상기 선축(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는 상기 펜선(8)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선축(4)은 일반적으로 직액식 필기구에 널리 사용되는 선축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선축(4)은 잉크저장용기(2)에 조립되는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내부가 빈 통형상의 대경부(4a)와, 상기 대경부(4a)의 잉크저장용기(2)와 조립되는 반대쪽 끝부분에 일체로 연장되고 외경이 잉크저장용기(2)의 반대쪽(펜선(8)의 선단부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콘형상) 및/또는 단계적으로 돌연 축소되는 형상(계단형상)의 소경부(4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축(4)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개폐부재(20)가 지지되도록 지지턱(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축(4)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홀더(10)의 지지부(14)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공간(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선(8)은 선축(4)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선단부(9)를 통하여 필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펜선(8)은 일반적으로 보드펜이나 사인펜 등에 널리 사용되는 펜선과 마찬가지의 구성(예를들면, 막대형상의 섬유질 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홀더(10)는 대략 속이 비고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킨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홀더(10)의 직경이 큰 부분은 상기 지지부(14)를 이루고 직경이 작은 부분은 탄성개폐부재(20)의 개폐공(24)을 개구시키거나 차폐시키는 개폐부(11)을 이루며, 상기 개폐부(11)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12)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지지부(14) 및 개폐부(11)는 각각의 외경에 비례하도록 내경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11)는 잉크저장용기(2)를 향하는 쪽 끝면이 막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개폐부재(20)는 실리콘고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개폐공(24)은 상기 펜선(8)에 압력을 가하면 개구되고 펜선(8)에 압력을 해제하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개폐부재(20)는 펜선(8)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펜선(8) 및 지지홀더(10)의 미는 힘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남과 함께 상기 개폐공(24)이 개구되고 펜선(8)에 압력을 해제하면 자체 보유한 탄성력에 의하여 펜선(8) 및 지지홀더(10)와 함께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개폐공(24)이 오므라들어서 폐쇄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탄성개폐부재(20)에는 상기 지지홀더(10)의 관통공(12)이 형성되는 쪽 끝부분을 감싸덮는 덮개부(22)가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개폐공(24)은 덮개부(2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잉크저장용기(2)와 탄성개폐부재(20) 사이에는 잉크저장용기(2)의 잉크(1)가 탄성개폐부재(20)쪽으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의 통과공(32)이 형성되는 가로막이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가로막이부재(30)를 설치하여 잉크저장용기(2)에서 탄성개폐부재(20)쪽으로 서서히 잉크(1)를 유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펜선(8)에 압력이가해져 잉크(1)가 공급되는 경우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가로막이부재(3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홀더(20) 및 펜선(8)의 잉크저장용기(2)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되므로 과다한 압력에 의한 탄성개폐부재(2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에는 잉크저장용기(2)나 선축(4)에 분리가능하도록 보호캡(40)을 설치하여 보관시 펜선(8)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일실시예 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선(8)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해제상태)에서는 상기 지지홀더(10)의 지지부(14)가 상기 선축(4)의 지지공간(6) 하부 끝부분에 걸쳐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홀더(10)의 개폐부(11)는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덮개부(22)에 감싸여져 상기 관통공(12)이 밀폐되는 한편 상기 덮개부(22)의 개폐공(24)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어 잉크(1)의 유출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를 하기 위하여 상기 펜선(8)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펜선(8) 및 지지홀더(10)가 잉크저장용기(2)쪽으로 슬라이딩된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펜선(8)과 함께 지지홀더(1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지지홀더(10)의 개폐부(11)가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덮개부(22)를 잉크저장용기(2)쪽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덮개부(22)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개폐부재(20)의 덮개부(22)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개폐공(24)은 폐쇄된 상태에서 개구되고, 상기 지지홀더(10)의 관통공(12)은 상기 개구되는 개폐공(24)과 서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공(24)이 개구되어 관통공(12)과 서로 연통하면, 잉크저장용기(2)의 잉크(1)는 개폐공(24)과 관통공(12)을 차례로 통과하여 펜선(8)으로 이동하여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펜선(8)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에서 펜선(8)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홀더(10) 및 펜선(8)은 탄성개폐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원래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개폐공(24)은 오므라들어 폐쇄되고, 상기 관통공(12)은 덮개부(22)의 감싸여져 밀폐된다.
따라서 잉크저장용기(2) 내부의 잉크(1)가 더 이상 펜선(8)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펜선(8)에 압력을 가하거나 해제함에 따라 지지홀더(10)가 탄성개폐부재(20)의 덮개부(22)를 변형시키면서 개폐공(24)과 관통공(12)의 연통 및 폐쇄가 이루어지고, 잉크(1) 유출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는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홀더(10)의 개폐부(11)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유도홈(13)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홈(13)이 형성된 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상기 관통공(12)을 하나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펜선(8)에 압력이 가해지면 확장되고 펜선(8)에 가한 압력이 해제되면 축소되도록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개폐공(2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펜선(8)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홀더(10)가 탄성개폐부재(20)를 잉크저장용기(2)쪽으로 변형시키면서 이동하고, 상기 지지홀더(10)의 유도홈(13)이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개폐공(24)과 연통하게 되고, 잉크저장용기(2)의 잉크(1)가 개폐공(24)과 유도홈(13), 관통공(12)을 통하여 펜선(8)으로 공급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펜선(8)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탄성개폐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홀더(10)가 펜선(8)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개폐부재(20)의 개폐공(24)의 지지홀더(10)에 의하여 폐쇄되고, 상기 지지홀더(10)의 유도홈(13)은 탄성개폐부재(2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잉크(1)의 유출이 방지된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펜선(8)에 압력을 가하고 해제함에 따라 개폐공(24)과 유도홈(13)의 연통 및 폐쇄가 이루어져 잉크(1)의 유출여부가 결정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펜선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잉크저장용기로부터 펜선으로 잉크가 유출되는 통로를 견고히 밀폐시키는 구조이므로 잉크가 유출되거나 누설될 염려를 크게 감소시키기는 효과가 있다.
즉 펜선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개폐부재의 개폐공과 지지홀더의 관통공이 각각 폐쇄되어 이중으로 잉크유출이 방지되며 특히, 지지홀더의 관통공이 탄성개폐부재의 덮개부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밀폐면적이 증가되고 잉크의 차단성도 우수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직액식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통과 탄성개폐부재 사이에 가로막이부재가 설치되므로 펜선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서서히 펜선쪽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펜선에 비교적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잉크저장용기쪽으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홀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므로 탄성개폐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용기와,
    상기 잉크저장용기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선축과,
    상기 잉크저장용기에 조립되는 반대방향으로 선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선축에 설치되는 펜선과,
    상기 펜선의 선단부 반대쪽이 삽입되며 상기 선축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고 잉크저장용기쪽 끝부분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선축의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잉크저장용기와 지지홀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펜선의 노출된 끝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공과 서로 연통하여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펜선으로 공급되고 상기 펜선에 가한 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공과의 연통이 폐쇄되어 펜선으로의 잉크 공급이 중단되도록 개폐공이 형성되는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직액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의 잉크저장용기쪽 끝부분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유도홈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홈이 형성된 부분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공을하나이상 형성하는 직액식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개폐부재에는 상기 펜선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개구되거나 확장되고 상기 펜선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폐쇄되거나 축소되도록 개폐공을 형성하는 직액식 필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용기와 탄성개폐부재 사이에는 잉크저장용기와 탄성개폐부재 사이를 가로막는 가로막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로막이부재에는 잉크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잉크가 탄성개폐부재쪽으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의 통과공을 형성하는 직액식 필기구.
KR20-2003-0023078U 2003-07-16 2003-07-16 직액식 필기구 KR200331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78U KR200331284Y1 (ko) 2003-07-16 2003-07-16 직액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78U KR200331284Y1 (ko) 2003-07-16 2003-07-16 직액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84Y1 true KR200331284Y1 (ko) 2003-10-24

Family

ID=4941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78U KR200331284Y1 (ko) 2003-07-16 2003-07-16 직액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6258A (en) Writing pen with space behind nib
KR100734903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7011893B2 (ja) 筆記具
JP5859164B1 (ja) 塗布具
KR900000492B1 (ko) 필기구
AU2005240408B2 (en) Colouring apparatus
US5399041A (en) Writing instrument barrel and method of forming a writing instrument
KR100946440B1 (ko) 필기도구
MX2011005682A (es) Instrumento de escritura y capuchon con ranuras internas para un instrumento de escritura.
KR200331284Y1 (ko) 직액식 필기구
KR10055656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KR100549117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JP7158203B2 (ja) 塗布具
JP6514480B2 (ja) インク充填具
JP5998163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7108287B2 (ja) 水筆ペン
JP6748040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2013123843A (ja) バルブ式筆記具
JP2021007421A (ja) 塗布具
KR200197728Y1 (ko) 잉크 보충이 가능한 칠판용 필기구
KR102138035B1 (ko) 레귤레이터닙형 직액식 필기구
KR100655426B1 (ko)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필기구
JPH08509435A (ja) カートリッジへの流体充填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
KR20190020387A (ko) 잉크 스토퍼가 구비되는 보드용 마카펜
JP6313734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