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112Y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112Y1
KR200331112Y1 KR20-2003-0023409U KR20030023409U KR200331112Y1 KR 200331112 Y1 KR200331112 Y1 KR 200331112Y1 KR 20030023409 U KR20030023409 U KR 20030023409U KR 200331112 Y1 KR200331112 Y1 KR 200331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lid
container body
pie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우
Original Assignee
현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우 filed Critical 현 우
Priority to KR20-2003-0023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서 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폐상태를 강화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뚜껑과 용기본체를 성형할 때의 동일공정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추가시키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용기 { An Airtight Case }
본 고안은 각종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보관하는데 사용되어지는 밀폐용기를 개선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밀폐용기를 형성하는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밀폐상태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서 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밀폐용기를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밀폐용기(1)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2)와 용기본체(2)의 상부에 결합/ 분리되어 용기본체(2)를 폐쇄시키거나 또는 개방시켜 주는 뚜껑(3)으로 구성되어진다.
종래의 밀폐용기는 뚜껑(3)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속테(10)에는 결속홈(11)과 결속테(12)가 단독형으로 되어 있고, 용기본체(2)에 형성되는 결속테(20)에도 결속편과 결속홈이 단독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뚜껑(3)의 결속테(10)와 용기본체(200의 결속테를 결합시키게 되면 대응되게 단독형으로 형성된 뚜껑(3)의 결속홈(11)과 결속테(12)가 용기본체(2)의 결속편과 결속홈에 단순히 삽입되면서 단독으로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기는 뚜껑(3)의 결속홈(11)과 결속테(12)가 용기본체(2)의 결속편과 결속홈에 단순히 삽입되어 단독으로 결합되어지므로 결속력이 약한 문제가 있었고, 특히 용기본체(2)에서 뚜껑(3)을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결속홈과 결속테와의 결합력 즉, 밀폐 능력이 점진적으로 약화되면서 미세한 공간이 발생하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충진 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흘러내리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밀폐용기를 형성하는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서 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밀폐상태를 강화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뚜껑과 용기본체를 성형할 때의 동일공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이 추가되지 않으면서도 제조할 수 있고, 반면에 밀폐능력을 현저히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뚜껑(3)의 외주와 용기본체(2)의 외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테(10)(20)에 결속홈(11)과 결속편(12)(21)을 각각 대응되게 단독으로 형성하여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뚜껑(3)과 용기본체(2)의 결속테(10)(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속홈과 결속편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1)(1-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들을 보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밀폐용기 2: 용기본체 3: 뚜껑
10. 20. 결속테 11: 23: 결속홈 12: 21: 결속편
13: 24: 플랜지 15: 내결속편 16: 22: 외결속편
17: 내결속홈 18: 외결속홈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1)(1-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1)(1-1)를보인 예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1 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는 사각형의 밀폐용기(1)를 보인 것이고, 도 1b는 원통형의 밀폐용기(1-1)를 보인 예시도로서, 통상적인 뚜껑(3)과 용기본체(2)로 형성하였다.
도 1a 및 도 2a에 예시된 밀폐용기(1)는 뚜껑(3)과 용기본체(2)에 결속테(10)(20)를 각각 형성함에 있어,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결속홈(11)과 결속편(12)을 종래와 같이 단독으로 형성하였고, 용기본체(2)의 결속테(20)에는 결속편(21)의 외측에 외결속편(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과의 사이에 결속홈(23)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며,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외면에 플랜지(13)를 형성하거나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플랜지(13)를 대신하여 파지편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2b에 예시된 밀폐용기(1-1)는 뚜껑(3)과 용기본체(2)에 결속테(10)(20)를 각각 형성함에 있어,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내측결속편(15)과 외측결속편(16)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내측결속홈(17)과 외측결속홈(18)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였고, 용기본체(2)의 플랜지(24)와 일체로 되는 결속테(20)에는 결속편(21)의 외측에 외측결속편(22)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결속홈(23)이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일체로 된 결속테(20)와 플랜지(24)는 저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편(25)에 의해 지지해 주도록 하였으며,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외면에 도 2a에 예시된바와 같이 플랜지(13)를 형성하거나 구체적으로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플랜지(13)를 대신하여 파지편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2a에 예시된 밀폐용기(1)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용기본체(2)의 상측에 뚜껑(3)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뚜껑(3)에 형성된 결속편(12)을 용기본체(2)에 형성된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과의 사이에 형성된 결속홈(230에 삽입시켜 주면, 뚜껑(3)의 결속홈(11)에는 용기본체(2)의 결속편(21)이 삽입되어지며, 따라서 뚜껑(3)의 결속편(12)을 본체(2)에 형성된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이 내/외측에서 이중으로 접속되어지므로 이중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b 및 도 2b에 밀폐용기(1)를 결합시키고자 할 때에는, 용기본체(2)의 상측에 뚜껑(3)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뚜껑(3)에 형성된 내결속홈(17)과 외결속홈(18)을 용기본체(2)에 형성된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을 일치시키거나, 또는 뚜껑(3)에 형성된 내결속편(15)을 용기본체(2)에 형성된 결속홈(23)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결속홈과 결속편을 결합시켜 주게 되면, 뚜껑(3)에 형성된 내결속홈(17)과 외결속홈(18)에 용기본체(2)에 형성된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이 삽입되어지고 뚜껑(3)의 내결속편(15)이 용기본체(2)에 형성된 결속홈(23)이 삽입되어지면서 결합되어지며, 뚜껑(3)의 외결속편(16)은 용기본체(2)에 형성된 외결속편(22)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속홈과 결속테가 이중으로 형성된 뚜껑과 용기본체를 결합시켜주게 되면 밀폐기능이 이중으로 형성되어지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밀폐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용기본체(2)의 내부에 충진 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또는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될 염려는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는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뚜껑과 용기본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폐상태를 강화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뚜껑과 용기본체를 성형할 때의 동일공정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추가시키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뚜껑(3)의 외주와 용기본체(2)의 외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속테(10)(20)에 대응되는 결속홈(11)과 결속편(12)(21)을 각각 단독으로 형성하여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뚜껑(3)과 용기본체(2)의 결속테(10)(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속홈과 결속편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3)과 용기본체(2)의 결속테(10)(20)에 결속홈과 결속편을 이중으로 형성함에 있어,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결속홈(11)과 결속편(12)을 종래와 같이 단독으로 형성하고, 용기본체(2)의 결속테(20)에는 결속편(21)의 외측에 외결속편(22)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결속편(21)과 외결속편(22)과의 사이에 결속홈(23)이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3)과 용기본체(2)의 결속테(10)(20)에 결속홈과 결속편을 이중으로 형성함에 있어,
    뚜껑(3)의 결속테(10)에는 내측결속편(15)과 외측결속편(16) 및 내측결속홈(17)과 외측결속홈(18)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과, 용기본체(2)의 결속테(20)에는 결속편(21)의 외측에 외측결속편(22)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결속홈(23)이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20-2003-0023409U 2003-07-21 2003-07-21 밀폐용기 KR200331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09U KR200331112Y1 (ko) 2003-07-21 2003-07-21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09U KR200331112Y1 (ko) 2003-07-21 2003-07-21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112Y1 true KR200331112Y1 (ko) 2003-10-22

Family

ID=4941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09U KR200331112Y1 (ko) 2003-07-21 2003-07-21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1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68B1 (ko) 2022-04-12 2022-10-06 정인석 2중 밀폐기능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68B1 (ko) 2022-04-12 2022-10-06 정인석 2중 밀폐기능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004B1 (ko)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 용기 뚜껑
KR200465659Y1 (ko) 링 플립-탑 튜브용기
US5225125A (en) Process and sealing material for producing the lid gasket of synthetic resin lids for blow-molded synthetic resin barrels
JP2004529039A5 (ko)
JP2008531414A5 (ko)
NO20020579L (no) Emballasje
KR200331112Y1 (ko) 밀폐용기
KR200251372Y1 (ko) 조립공정과 밀폐력을 강화시킨 밀폐용기
CN211845567U (zh) 套接组合容器盖
KR200271291Y1 (ko) 식품용기뚜껑의밀폐구조
JPH1059501A (ja) 密封容器の蓋
JPH0221404Y2 (ko)
KR0121307Y1 (ko) 밀폐용기
US20080149641A1 (en) Plastic water tight container
JPH04173573A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内筒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419790Y1 (ko) 밀폐용기
KR102413852B1 (ko)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KR20022167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
CN206719866U (zh) 一种可防止汤水洒出的包汤盒
US20070181460A1 (en) Cosmetic case
KR200365935Y1 (ko) 제조가 용이한 플라스틱 밀폐용기뚜껑
CN215555655U (zh) 一种冻干燕窝容器
CN215972451U (zh) 一种提拉式空气阀密闭盖及密封盒
CN215665246U (zh) 桶盖、翻盖及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