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067Y1 -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 Google Patents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067Y1
KR200331067Y1 KR20-2003-0006368U KR20030006368U KR200331067Y1 KR 200331067 Y1 KR200331067 Y1 KR 200331067Y1 KR 20030006368 U KR20030006368 U KR 20030006368U KR 200331067 Y1 KR200331067 Y1 KR 200331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rd wire
present
plugta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박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filed Critical 박광수
Priority to KR20-2003-0006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하고자 원하는 전자제품의 코드전선(60)을 다른 전자제품의 코드전선과의 구별을 쉽게 하고자 하는 플러그태그(PlugTag)에 관한 것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면(12)과 ; 표면(12)을 생성하기 위한 본체하단(10)과 힌지부(40)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상단(11) ; 본 고안의 내부로 코드전선(60)을 들이고 내기 위한 입구하단부(20)와 입구상단부(21), 출구하단부(22)와 출구상단부(23) ; 본 고안을 원하는 코드전선(6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본체하단(10)내부에 형성되어진 돌출부(30)와 돌출부(30)가 받는 힘의 분배를 위해서 본체상단(11)내부에 형성되어진 돌출부지지부(31) ; 본체하단(10)과 본체상단(11)을 결합시키기 위한 잠금부(50)로 구성되어집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태그(PlugTag)를 사용함에 따라 소비자내지 사용자로 하여금 모양과 칼라가 비슷한 코드전선 들 중에서 뽑거나 꼽기를 원하는 제품의 코드와 연결되어진 코드전선(60)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플러그태그(PlugTag)가 없었을 경우의 사용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의 코드전선(60)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본 고안인 플러그태그(PlugTag)를 소비자내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과정의 만족'을 위한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 써서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 플러그태그(PlugTag)가 미 부착되어진 타 제품에 비해서 더 직접적으로 자주 고객의 시야에 노출시키고 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업체의 브랜드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Description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PlugTag}
본 고안은 플러그태그(PlugTa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드전선(60)을 제품 본체와 연계해서 구별하고자 할 때, 이를 쉽게 해주고자 하는 표시를 코드전선(6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필요한 목적을 달성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이에 관해서 기존에는 코팅용지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스티커를 이용해서 "220V용"과 같이 '주의사항'등과 같은 문구를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되어졌던 것이 본 고안인 플러그태그(PlugTag)와 비교될 수 있을 것 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스티커 방식은 본체의 구별기능과는 별개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코팅용지를 이용한 스티커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그 스티커의 수명이 제품의 수명만큼이나 길지 못한 결과로, 사용 후 얼마후면 보기 흉하게 구겨지고 찢겨지고 떨어져서 오히려 제품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면서, 그나마 제품과 연계되어 다른 전자제품의 코드전선(60)과 구별되어지는 기능을 피동적으로 수행해왔던 것 입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하는 제품의 코드전선(60)을 동일한 모양의 타 코드전선과의 구별을 용이하게끔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에 있어서도 전자제품 본체와 같이 오래 지속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 내지 사용자에게 본 고안의 1차적인 목적인 구별의 편리성을 위한 '표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좋지 않은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코드전선(60)의 구별여지로 제공해주던 스티커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해 줌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이미지와 더 나아가서는 업체의 이미지를 업체와 제품의 소비자만족도와 관련되어져서 플러스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음에 그 2차적인 목적인 '광고(AD)'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우선 기존의 스티커방식에서 보여지는 구겨지거나 찢겨지고 벗겨지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표시부와 고정부가 일체로 되어 있어 다루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손쉽게 결합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돌출부(30)를 이용한 본 고안의 코드전선(60)에의 고정기능에 있어서 본다면, 시중에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두께의 전선에 모두 사용되어질 수 있게끔 고안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돌출부(30)사용법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수평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수직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실시예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하단 11 - 본체상단
12 - 표면
20 - 입구하단부 21 - 입구상단부
22 - 출구하단부 23 - 출구상단부
30 - 돌출부 31 - 돌출부지지부
40 - 힌지부
50 - 잠금부
60 - 코드전선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합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돌출부(30) 사용법 사시도 입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수직 단면도입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태그(PlugTag)의 실시예 사시도입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시부와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재질이 절연성은 물론, 본 고안에 다양한 모양과 칼라를 적용시키기에 용이한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제품을 표시하기 위한 표면(12)은 힌지부(40)로 연결되어진 본체하단(10)과 본체상단(11)의 외부표면에 해당됩니다. 이 표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사항을 표시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표면(12)이 아닌 방법으로써 표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표시를 소비자내지 사용자로 하여금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을 원하는 제품의 코드전선(60)에 고정을 시켜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본체하단(10)의 일부분에는 코드전선(60)을 감아서 본 고안의 본체인 플러그태그(PlugTag)를 고정시킬 수 있게끔 해주는 돌출부(30)가 형성되고 혹시라도 있을 돌출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상단(11)에 돌출부지지부(31)를 본체하단(10)의 돌출부(30)와 서로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해 줍니다.
그리고, 돌출부(30)에 코드전선(60)을 공급해주기 위한 입구의 경우 본체하단(10)에 위치한 입구하단부(20)와 본체상단(11)에 위치한 입구상단부(21)가 본체하단(10)과 본체상단(11)이 잠금부(50)로 잠금되었을 때 결합되어 형성되며, 출구의 경우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하단(10)과 본체상단(11)이 잠금부(50)에 잠금되었을 때 결합되어 형성됩니다.
또한, 본 고안인 플러그태그(PlugTag)는 코드전선(60)을 돌출부(30)에 감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코드전선(60)의 두께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전자제품의 코드전선(60)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미설명 부호 (6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와 전자제품을 연결하는 전선을 지칭합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합니다.
본 고안인 플러그태그(PlugTag)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제품의 코드전선(60)을 적당한 위치를 가늠하여 본체상단(11)과 힌지부(40)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하단(10)의 돌출부(30)에 감아줍니다. 다음에 입구하단부(20)와 출구하단부(22)에 돌출부(30)에 감겨진 코드전선(60)의 양쪽 부분을 각각 위치시킵니다. 다음에 힌지부(40)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하단(10)과 본체상단(11)을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접어서 잠금부(50)를 이용해 결합을 시켜 사용하게 됩니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소비자내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모양과 칼라가 비슷한 전자제품의 코드전선(60)에 각각 고정해 줌으로써 사용하고자 원하는 제품의 코드전선(60)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본 고안인 플러그태그(PlugTag)를 제품에 적용한 업체의 입장에 있어서는, 소비자 내지 사용자에게 업체로서 소홀히 할 수 있는 부분까지도 '소비자만족'을 위해서 노력한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태그(PlugTag)가 적용되어진 코드전선(60)을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 내지 사용자에게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광고(AD)의 의미로써 자주 직접적으로 업체와 제품의 브랜드를 노출시킴으로써 업체와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좋은 방향으로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Claims (4)

  1. 내부가 오목한 본체하단(10) 내부에는 본 고안을 제품의 코드전선(6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코드전선(60)으로 감을 수 있는 돌출부(30)가 형성되어지고, 힌지부(40)로 연결되어 있는 본체상단(11)과 본체하단(10)이 힌지부(40)를 중심축으로 접히고 잠금부(50)에 의해서 잠금되었을 때, 본 고안 내부로의 코드전선(60) 입□출을 위해서 본체상단(11)과 본체하단(10)이 잠금되기 전에 입구와 출구에 코드전선(6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의 구멍 일부분이 개방되어져서 본체하단(10)의 모서리에 각각 입구하단부(20)와 출구하단부(22)가 형성되어지며, 이와 같은 본체하단(10)과 힌지부(40)로 연결된 내부가 오목한 본체상단(11) 내부에는 본체하단(10) 내부에 형성되어진 돌출부(30)의 상단부를 지지해 줄 수 있는 돌출부지지부(31)가 형성되어지고, 본체상단(11)과 본체하단(10)이 잠금되었을 때, 본 고안의 입구와 출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일정한 모양의 폐쇄적 구멍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본체하단(1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하단부(20)와 출구하단부(22)의 개방부분을 막아주기 위한 입구상단부(21)와 출구상단부(23)가 본체상단(11)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진 플라스틱이나, 고무,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플러그태그(PulgTag).
  2.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30)가 다양한 모양과 개수로 형성되어진 플러그태그(PlugTag.)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지지부(31)가 돌출부(30)와 연계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모양과 개수로 형성되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형성되어지지 않은 플러그태그(PlugTag.)
  4.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플러그태그(PlugTag)
KR20-2003-0006368U 2003-03-04 2003-03-04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KR200331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68U KR200331067Y1 (ko) 2003-03-04 2003-03-04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68U KR200331067Y1 (ko) 2003-03-04 2003-03-04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067Y1 true KR200331067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368U KR200331067Y1 (ko) 2003-03-04 2003-03-04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0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77B1 (ko) * 2007-07-16 2009-12-22 유용섭 전선연결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377B1 (ko) * 2007-07-16 2009-12-22 유용섭 전선연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VR20010052A1 (it) Dispositivo antitaccheggio particolarmente per espositori sistemabiliin punti vendita
TW390858B (en) Container with full-shrink label and tubular shrink label
US20220224372A1 (en) Foldable phone case method and devices
KR101397383B1 (ko) 개봉 확인용 물티슈용기
EP1760006A1 (en) Pack of tissues with an indicia on the reseal tape
US6908334B2 (en) Interlining panel structure for multiple socket
TW468142B (en) Sealing label
ITMI20090043A1 (it) Confezione per filo interdentale
US4739943A (en) Protective cover for toilet paper roll
KR20010106473A (ko) 보호덮개가 구성되어 있는 코드화 밀봉 봉인
KR200331067Y1 (ko) 제품의 전선 구별용 플러그태그
US7458175B2 (en) Retractable display apparatus
US20100223823A1 (en) Device for labelling
KR200331068Y1 (ko) 플러그태그
JP2019172290A (ja) 封緘キャップ及び封緘容器
KR102214515B1 (ko) 화장품 포장 세트
JP3481728B2 (ja) 液体収納容器
JP5184307B2 (ja) テスター盗難防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スター陳列構造
CN219396261U (zh) 一种香烟包装盒
KR200358997Y1 (ko) 전원코드 플러그 식별표
JPH09226793A (ja) カバーフィルム付き容器
JP4934478B2 (ja) 商品パッケージ
CN217008491U (zh) 一种方便拆卸的防氧化吊牌
CN220925104U (zh) 一种数据线包装盒
KR200276388Y1 (ko) 가림천이 내설된 간이용 쇼핑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