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76Y1 - 기준봉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기준봉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76Y1
KR200330476Y1 KR20-1999-0009551U KR19990009551U KR200330476Y1 KR 200330476 Y1 KR200330476 Y1 KR 200330476Y1 KR 19990009551 U KR19990009551 U KR 19990009551U KR 200330476 Y1 KR200330476 Y1 KR 200330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ed
reference rod
gauge block
long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028U (ko
Inventor
신선휴
김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9-0009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76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8Micr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준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기준봉의 상태를 빠르고 쉽게 검사할 수 있는 기준봉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안내바와, 상기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선회가능한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봉 및 롱게이지블록을 수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 2수평플래이트와, 상기 안내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마이크로미터와,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하단부가 접하는 정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봉 검사 장치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기준봉 검사 장치{An apparatus for testing a basic bar}
본 고안은 기준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기준봉의 상태를 빠르고 쉽게 검사할 수 있는 기준봉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 외경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대형롤의 직경을 측정하기 전에 롤 외경측정기(1)의 0 점을 조정하거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비교 측정할 때 기준봉(2)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철산업의 특성상 단위 공장당 설비가 많이 집중되어 있어 측정대상이 많고, 기준봉(2) 또한 종류 및 크기가 다양하다.
기준봉(2)와 유사한 기능의 게이지 블록이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며, 정밀도가 필요이상으로 높고, 길이가 수천 mm 이상일 때는 여러개를 조합을 해야 하며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용되지 않고 있다.
길이가 수천 mm인 기준봉(2)를 교정할 수 있는 공지된 방법으로, 버어니어캘리퍼스 등이 있으나, 요구되는 정밀도인 공장용표준기급을 충족시킬 수 없다.
정밀측정분야에서 높은 정밀도를 얻을 때 사용되는 비교측정방법인 게이지블록 콤퍼레이터는 크기, 작업조건 등이극히 제한되어 있어 실용화되어 있지 않으며, 작업능률이 비효율적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준봉의 상태를 빠르게 검사 할 수 있는 기준봉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안내바와, 상기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선회가능한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봉 및 롱게이지블록을 수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 2수평플래이트와, 상기 안내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마이크로미터와,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하단부가 접하는 정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봉 검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롤 외경측정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기준봉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이용된 전기마이크로 미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마이크로 미터 11: 몸체
12: 길이측정부 14: 스프링
20: 베이스 플래이트 21: 고정바
22: 안내부 23: 래크기어
24: 수준기 30: 지지축
31: 제 1수평플래이트 40: 선회축
41,42: 제 2 수평플래이트 50:롱게지 블록
60: 제어부 70: 슬라이딩바
80: 항온유지상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준봉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기준봉 검사 장치는 베이스 플래이트(20), 고정바(21), 안내바(70),지지축(30),제 1수평플래이트(31), 선회축(40), 제 2 수평플래이트(41,42), 전기마이크로미터(10), 정반(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각각의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기마이크로 미터(10)는 몸체(11))와 길이측정부(12))로 이루어져 있으며,몸체(11)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내부에는 길이측정부(12)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길이측정부(12)는 스프링(14)에 의하여 복원력을 가진다. 길이측정부(12)는 몸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진공펌프(13)의 흡입력에 의해 길이측정부(12)는 슬라이딩 운동한다. 한편, 길이측정부(12)에는 스프링(14)이 내장되어 있다. 몸체(11)내부는 전기적인 저항차이 등에 의해 상기 길이측정부(12)의 길이 변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발생된 전기신호는 제어부(60)로 절달된다.
베이스 플래이트(20)상부면에는 고정바(21)이 수직으로 고정되는데, 고정바(21)의 일측면에는 안내부(2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부(22)의 양측면에는 래크기어(23)가 형성된다. 베이스 플래이트(20)상에는 수준기(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준기(24)의 상태를 확인 후에 수평조절볼트(25)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정한다. 한편, 고정바(21))와 마주하여 정반(26)이 수평으로 고정된다.
지지축(30)은 베이스 플래이트(2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데, 지지축(30)의 상단에는 제 1수평플래이트(31)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제 1수평플래이트(31)의 단부에는 선회축(40)이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장착된다. 한편, 선회축(40)에는 제 2 수평플래이트(41,42)가 적어도 하나이상 수평으로 고정된다. 제 2수평플래이트(41,42)의 단부면에는 롱게지 블록(50) 및 기준봉(2)이 수직으로 장착될수 있는 개구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선회축(40)의 선회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래이트(20)상에기준점리미트(43)와 측정점리미트(44)를 설치한다. 또한 전기마이크로 미터(10), 측점점리미트(43), 기준점리미트(44), 기어드모터(45,27), 진공펌프(13)는 각각 제어부(60)에 연결되어 제어부(6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슬라이딩바(70)는 상기 안내부(2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슬라이딩바(70)의 단부에는 전기마이크로미터(10)가 수직으로 장착된다. 슬라이딩바(70)는 안내부(22)상에서 기어드모터(27)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기어드 모터(27)에 장착된 기어와 안내부(22) 양측단에 형성된 래크기어(23)가 맞물려 기어드모터(27)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바(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 부품들은 항온유지상자(8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에 교정대상 길이 및 작업조건을 입력한다. 이후에 기어드 모터(45)를 구동하여 선회축(40)을 선회시킨다. 선회축(40)을 선회시킴에 따라 제 2수평플래이트(41,42)가 정반(26)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선회축(40)의 이동거리는 측정점리미트센서(43)와 기준점리미트센서(44)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후에 제 2수평플래이트(41,42)에 형성된 개구에 기준봉(2) 및 롱게이지 블록(50)을 수직상태로 장착한다. 이때, 기준봉(2) 및 롱게이지 블록(50)의 하단부는 정반(26)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에 기어드모터(45)를 동작하여 안내바(70)를 상하 이동시킨다.
안내바(70)의 단부에 장착된 전기마이크로미터(10) 단부가 롱게이지블록(50)의 상단부 면에 위치하면 기어드모터(27)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후에 진공펌프(13)를 구동하여 길이측정부(12)를 전진시키고, 길이측정부(12)에서 검출된 값을 리셋트 시킨다. 리셋트 된 값을 기준으로 하고 진공펌프(13)에 동작명령을 하여 진공펌프(13)를 동작시키면 흡입력이 몸체부(11)에 전달되어 길이측정부(12)가 후진 한다.
기어드 모터(45)가 동작하여 기준봉(2)를 전기마이크로미터(10)와 일직선상의 위치로 이송시킨 후 진공펌프(13) 동작을 정지시키면 길이측정부(12) 스프링에 의해 신장되어 기준봉(2) 상부와 접촉한다. 이때, 전기마이크로미터(10)를 통해 검출된 값과, 롱게이지블록(50)의 상단에 접촉한 후 리셋트한 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십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산출된 값의 평균이 기준봉(2)의 교정값이 된다.
본 고안에 의하여 대형 길이표준용 기준봉를 빠르고 정밀하게 측정하여 작업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하이동 가능한 안내바와,
    상기 베이스 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 1수평플래이트 상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선회가능한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봉 및 롱게이지블록을 수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 2수평플래이트와,
    상기 안내바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마이크로미터와,
    상기 롱게이지블록 및 상기 기준봉의 하단부가 접하는 정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봉 검사 장치.
KR20-1999-0009551U 1999-06-01 1999-06-01 기준봉 검사 장치 KR20033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51U KR200330476Y1 (ko) 1999-06-01 1999-06-01 기준봉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51U KR200330476Y1 (ko) 1999-06-01 1999-06-01 기준봉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28U KR20010000028U (ko) 2001-01-05
KR200330476Y1 true KR200330476Y1 (ko) 2003-10-23

Family

ID=4941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551U KR200330476Y1 (ko) 1999-06-01 1999-06-01 기준봉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10B1 (ko) * 2002-11-21 2009-09-2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세척제 분석용 온도계 자동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010B1 (ko) * 2002-11-21 2009-09-2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세척제 분석용 온도계 자동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28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3611A2 (en) Measuring method and device to measure the straightness error of bars and pipes
US51814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orque wrenches
US4412385A (en) Gauge for checking features - like linear dimensions - of a mechanical piece
CN109253713B (zh) 一种滑块返向孔位置测量设备
EP0334923B1 (en) Wide range apparatus for checking linear dimensions of parts
KR200330476Y1 (ko) 기준봉 검사 장치
KR20080021433A (ko) 변위측정장치 및 방법
CN202216679U (zh) 直线位移测量头及传感器检测调试装置
IT202000011857A1 (it) Apparecchiatura per l’azzeramento, la taratura e la misurazione di strumenti di misura
KR200438943Y1 (ko) 내ㆍ외경 측정용 통합게이지 및 그것을 이용한 측정시스템
CN113932751A (zh) 用于零件内径检测的通用量仪及零件内径检测方法
CN110595422B (zh) 一种楼板测厚仪自动检测机构
KR20180039309A (ko) 표면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이용한 표면 프로파일 측정 방법
CN106524881A (zh) 一种短轴专用校准装置
JPH04160303A (ja) 内径測定装置
US3440738A (en) Strip thickness profile gage
CN214372275U (zh) 一种用于测量滚珠丝杠导程误差的精密运动平台
JPH09189501A (ja) 外径測定装置
CN217276500U (zh) 一种电涡流振动传感器静态校验平台和校验系统
EP3117913A1 (en) Extrusion press provided with a device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eccentricity of a mandrel of such a press
CN217818614U (zh) 一种部件端面角度检测装置
CN216694914U (zh) 用于零件内径检测的通用量仪
CN113280776B (zh) 直径测量装置
CN203881501U (zh) 圆柱螺旋弹簧压力智能测试装置
CN114136253B (zh) 挠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