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085Y1 -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085Y1
KR200330085Y1 KR20-2003-0024252U KR20030024252U KR200330085Y1 KR 200330085 Y1 KR200330085 Y1 KR 200330085Y1 KR 20030024252 U KR20030024252 U KR 20030024252U KR 200330085 Y1 KR200330085 Y1 KR 200330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sh
river
overflow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섭
Original Assignee
오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섭 filed Critical 오승섭
Priority to KR20-2003-0024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Abstract

본 고안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 또는 하천의 저면에 설치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어, 어류가 편히 휴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천을 따라 회유하는 물고기가 쉽게 거슬러 올라 갈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한 어도블록에서 밑판 상에 횡방향으로 지지부를 형성하고, 모서리에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이 형성된 월류블록과 밑판상에 "ㄷ"자 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모서리에 연결고리를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이 형성된 저수블록을 전후좌우로 배치하여 결합하고, 모서리의 연결고리를 고정하여 하천에 어도블록을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도블록{A block for fish pathway}
본 고안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 또는 하천(이하 "하천"이라 함)의 저면에 설치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어, 어류가 편히 휴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천의 하류에서 상류로 또는 상류에서 하류로 쉽게 거슬러 올라갈수 있도록 어도를 형성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은 홍수의 예방이나 저수(貯水)를 위해 둘레를 돌, 흘 따위로 높이 막아 쌓은 언덕. 방강(防江). 제방(堤防). 축답(築畓)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근래에는 도시화가 가속됨으로 인하여 곡선의 지형 및 하천을 직선 화함에 따라, 토지 이용이 증대되면서 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호안블록과 돌망태등이 설치되고 하천의 바닥에는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정형화 시켜 그 활용정도를 높여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콘크리트 등으로 정형화시킨 하천의 경우 둑의 직선화로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어류 등의 수중생물이 산란 등의 이유로 상류에서 하류로 또는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기가 어려웠고, 유속이 빨라 어류등이 생활할 수 없어 생태계가 위협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정형화된 둑을 따라 흐르는 하천은 수질 정화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1년 실용신안 등록 20- 235671호의 "어도블록"과 2003년 실용신안 등록 20-318234호, "어도블록"이 제시되었다.
상기 20-235671호 어도블록은 오목형 블록 몸체를 연결고리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블록형 몸체는 하단의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구성하며 상단에는 단형부와 저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상기 블럭들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무방비 상태로 물에 노출됨으로서 부식되기 쉬어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단기간에 부식된다던가 하는 이유로 연결부위가 불안정하여 설치 후에 홍수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큰 피해가 예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0-318234호의 어도블록은 밑판상의 중앙 분리대에 연하여 지지부와 연결부가 형성된 블록 몸체에 지지부와 연결부의 양단을 절단하여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여 저수부에는 완충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상기 어도블록은 중앙분리대를 형성하고 양단을 절단하여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여 어류가 상부에서 하류로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어류가 하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하천의 저수 능력이 떨어져 잠시 휴식하거나 머물지 못해 어류를 위한 휴식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어류가 상류에서 하류로, 하류에서 상류로 원활하게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어류의 생활환경을 위한 저수공간을 형성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어도블록의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시켜, 제품의 제작 비용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다.
도 3은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월류블록 11, 21 : 지지부
12, 22 : 연결고리 12a, 22a : 요홈
13, 23 : 결합홈 14, 24 : 결합돌기
15, 25 : 문양석
20 : 저수블록 100 : 어도블록
본 고안은 밑판 상부에 일정높이의 지지부를 형성하여서 된 월류블록과, 상기 월류블록의 지지부보다 높게 "ㄷ"형태로 지지부를 형성한 저수블록을 하천의 바닥에 배치하여서 어도블록을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다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도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며, 도 3은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은 사각형상 베이스판(10a)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지지부(11)를 돌출형성하고, 모서리에 연결고리(12)를 각각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15)을 형성한 월류블록(10)과, 사각형상 베이스판(20a)의 상부에 "ㄷ"자 형태의 지지부(21)를 돌출형성하고, 4방향의 모서리에 연결고리(22)를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25)을 형성한 저수블록(20)을 전후좌우로 배치하여 결합하고 모서리의 연결고리(12, 22)를 고정하여 하천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월류블록(10)과 저수블럭(20)의 베이스판(10a, 20a)은 위치선정 및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저면에 자리홈(16, 26)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10a, 20a)의 저면에 자리홈(16, 26)를 형성하므로서 쉽게 위치선정이 용이하고 자리잡는 것이 용이하여, 견고한 배치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월류블록(10)은 어류등이 원활하게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베이스판(10a)의 상부에 낮은 지지부(11)를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기 위하여 베이스판(10a, 20a)의 상면에서 10 ~ 50cm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수블록(20)은 일정량이 물이 저수되도록 한 것으로 하천의 유속을 줄여 물고기의 생활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머물러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20a)에서 "ㄷ"자형태로 돌출시켜서 지지부(21)를 형성하되 월류블록(10)의 지지부(11)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월류블록(10)의 지지부(11)보다 저수블록(20)의 지지부(21)를 높게 형성하므로서 주로 월류블록(10)을 넘어 물이 흐르게 되고, 저수블록(20)에는 물이 흐름이 거의 없어 어류등의 수중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저수블럭(20)의 지지부(21)은 "ㄷ"자 형태로 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호형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거나, "H"자형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도 좋다.
상기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베이스판(10a, 20a) 모서리에 연결고리(12,22)용 호형 요홈(12a, 22a)을 형성하고, 상기 호형 요홈(12a, 22a)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고리(12, 22)를 부설하여, 하천에 블럭을 설치시에는 다수개의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을 배치하고, 모서리에 형성한 연결고리(12,22)를 철사 등으로 묶어 고정한 후 콘크리트 등으로 요홈(12a, 22a)을 매입한다.
이때 콘크리트 등으로 요홈(12a, 22a)의 연결고리(12,22)를 매입하는 이유는 연결고리(12,22)의 부식을 방지하고 블록과 블록사이를 견고하게 조립하여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상부 표면에는 자연친화적인 문양석(15, 25)등을 형성하여 급류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여울등을 형성하게 하는 작용으로 하천수를 정화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어류 및 수중생물등이 거부감을 갖지 않고 어도블록이 설치된 하천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도블록(100)은 하천의 중앙부에 월류블록(10)을 형성하고 양측가장자리에 저수블록(20)을 배치함이 바람직하고,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저수블록(20)을 중앙에 형성하고, 양측으로 월류블록(10)을 배치하여도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월류블록(10)의 위치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게되면 물의 흐름이 지그재그로 흐르게 되어 전체적으로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 전, 후로 배치되는 블록과 블록 사이에는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하부에 결합홈(13, 23)과 결합돌기(14,24)를 형성하여 결합돌기(14, 24) 위에 결합홈(13, 23)이 얹혀지게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어도블록(100)의 설치 장소는 일반 평지형태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하천 또는 저수지의 수로에 설치하여 하천의 유속을 완화시키고, 어류가 상류로 용이하게 거슬러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로서 어도블록(100)이 설치된 하천은 월류블록(10)의 지지부(11)를 넘어 물이 흐르게 되고, 저수블록(20)의 후방에 물이 저수됨으로 유속이 느려지게 되어 어류가 월류블록(10)을 타고 거슬러 올라가다가 힘을 부치거나 휴식을 취하고자 할때에 유속이 느린 저수블록(20)의 후방에서 일시적으로 머물러 휴식을 취한 후 월류하게 된다.
여기서 하천의 수위는 월류블록(10)의 높이만큼은 저수능력이 발생하므로 늘 월류블록(10)의 높이만큼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장마 등으로 인하여 수위가 높아져 유속이 급하게 되더라도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저항으로 일정한 유속을 유지하게 됨으로서 하천의 둑이 유실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믐 등으로 인하여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일정량의 물이 늘 저수되어 있으므로 어류의 생활공간이 확보되어 생태계가 보호되게 된다. .
상기 어도블록(100)을 하천에 설치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을 각각의 단위 체로 형성하는 블록준비공정과, 하천의 바닥을 고르게 다지는 바닥다짐공정과,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다수 개를 배치하는 블록배치공정과, 상기 배치된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모서리에 형성한 요홈(12a ,22a)의 연결고리(12, 22)를 철사 등으로 묶어주는 블록고정공정과, 상기 고정된 블록과 블록 사이의 요홈(12a ,22a)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입하는 콘크리트 매입공정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월류블록과 저수블록으로 구분 형성하여 블록의 배치에 따라 하천의 폭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하천을 구성할 수 있고, 늘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므로서 가믐에 대비하며, 연결고리의 고정이 견고하여 홍수에도 일정한 유속으로 저감시킴으로서 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을 구성함과 동시에, 어류의 상류에서 하류로 또는 하류에서 상류로의 거슬러 올라가기가 용이하여 어류의 생태계를 보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연친화적인 문양석을 표면에 형성하므로서 하천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키고, 자연스런 하천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하천의 바닥에 설치하여 어류가 거슬러 올가갈수 있도록 어도를 형성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베이스판(10a) 상부에 횡방향으로 지지부(11)를 돌출형성하고, 모서리에 연결고리(12)를 각각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15)을 형성한 월류블록(10)과,
    사각형상의 베이스판(20a) 상부에 "ㄷ"자 형태의 지지부(21)를 돌출형성하고, 4방향의 모서리에 연결고리(22)를 형성하며 상부 표면에는 문양석(25)을 형성한 저수블록(20)을 전후좌우로 배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월류블록과(10)과 저수블록(20)의 각 베이스판(10a, 20a) 모서리의 연결고리(12, 22)를 별도의 결속구에 의해 결합고정하여서 어도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블록(10)과 저수블록(20)의 베이스판(10a, 20a)은 모서리에 연결고리(12, 22)를 형성하되, 1/4원 호형의 요홈(12a, 22a)을 형성한 후, 대각선 방향으로 되도록 연결고리(12, 22)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블록(10)과 저수블럭(20)의 베이스판(10a, 20a)은 위치선정 및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저면에 사다리꼴형의 자리홈(16, 26)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럭.
KR20-2003-0024252U 2003-07-28 2003-07-28 어도블록 KR200330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52U KR200330085Y1 (ko) 2003-07-28 2003-07-28 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52U KR200330085Y1 (ko) 2003-07-28 2003-07-28 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085Y1 true KR200330085Y1 (ko) 2003-10-11

Family

ID=4941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252U KR200330085Y1 (ko) 2003-07-28 2003-07-28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0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3931B1 (ja) 河川の護岸用魚礁ブロック
KR200330085Y1 (ko) 어도블록
CN204569552U (zh) 一种无动力下行流河岸人工湿地水质净化系统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CN214677163U (zh) 一种适用于山区河道的装配式鱼礁结构
KR100477555B1 (ko) 어도 블록
CN104787896A (zh) 一种无动力下行流河岸人工湿地水质净化系统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JP4020270B2 (ja) 水路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水路
JPH06116918A (ja) 多目的海岸防波堤
KR20080002472U (ko) 지그재그형 어로 블록
KR200318234Y1 (ko) 어도 블럭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KR200432326Y1 (ko) 어도용 블럭
KR100381364B1 (ko) 하천용 어도(魚道)블록
KR200464278Y1 (ko) 하천 수질정화 및 어소공간 조성용 다기능 환경 블록
JP2739561B2 (ja) 魚巣ブロック
KR200289882Y1 (ko) 어도 블록
KR20110015926A (ko) 조립식 하천 보
KR200192039Y1 (ko) 경사면 구축구조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KR100892375B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312612Y1 (ko) 어초블록
JP2006037641A (ja)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