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042Y1 -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 Google Patents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042Y1
KR200330042Y1 KR20-2003-0023229U KR20030023229U KR200330042Y1 KR 200330042 Y1 KR200330042 Y1 KR 200330042Y1 KR 20030023229 U KR20030023229 U KR 20030023229U KR 200330042 Y1 KR200330042 Y1 KR 200330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drum
support
light emitt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찬
박희찬
박대호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안세찬
박희찬
이승규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세찬, 박희찬, 이승규, 박대호 filed Critical 안세찬
Priority to KR20-2003-0023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상에서 도로포장이나, 상하수도, 가스 등의 공사를 할 때 공사현장으로 차량인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안전표시 드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가 용이하고 운반, 보관 등이 매우 편리하도록 간단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구성의 요지로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전체적으로 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안전표시 드럼에 있어서, 전체를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및 하단받침부(30)로 분리 구성하며, 상기 3개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돌출부(21)와 결합요부(12)로 구성되는 연결부(C1) 및 걸림구멍(31)과 삽입돌부(22)로 구성되는 연결부(C2)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Immediacy indication drum for Road construction}
본 고안은 도로상에서 도로포장이나, 상하수도, 가스 등의 공사를 할 때 공사현장으로 차량인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안전표시 드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가 용이하고 운반, 보관 등이 매우 편리하도록 간단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공사 현장에서는 여러가지 안전표지를 설치하는 것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원통형태의 드럼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면서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안전수단의 하나이다.
이러한 드럼은 식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반사판을 부착하고 내부에는 야간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발광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표시 드럼은 전체가 일체화 되어 있어서 제조시에 큰 금형이 필요하였던 것이고 그에 따라 제조과정에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부피가 커서 운반시에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수량이 매우 적었고 보관시에도 넓은 공간이 필요한 등 많은 애로를 격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안전표시 드럼을 분할 생산하여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개량함으로써 금형제조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며, 아울러 운반시 차량에 많은 숫자를 적재할 수 있고 보관시에도 적은 공간에 많은 숫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이나 보관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드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드럼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4의 분해상태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표시 드럼 10: 상단발광부
11: 유도부 12: 결합요부
13: 걸림부 20: 중단지지부
21: 돌출부 22: 삽입돌부
23: 걸림턱 30: 하단받침부
31: 걸림구멍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안전표시 드럼(1)은 전체적으로 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되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및 하단받침부(30)로 분리 구성하며, 각각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되면서 상기 3개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연결부(C1)(C2)를 각각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C1)(C2)구성 중에서 먼저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사이의 연결부(C1) 구성을 도 3을 통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중단지지부(2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를 구성한 후 상단발광부(10)의 하단에는 외향으로 경사진 유도부(11)와 상기 돌출부(21)가 함입되는 결합요부(12)와 더 이상 돌출부(21)가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부(13)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중단지지부(20)와 하단받침부(30)가 연결되는 연결부(C2) 구성을 도 4 내지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하단받침부(3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걸림구멍(31)을 형성하고 중단지지부(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구멍(31)에 삽입되는 삽입돌부(22)를 구성하되, 삽입돌부(22)는 상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여 돌출된 상부가 걸림구멍(3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며, 중단지지부(20)의 삽입돌부(22) 위에는 하단받침부(30)의 상부끝단에 걸려 더이상 하강하지 아니하는 걸림턱(23)을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2는 태양전지 장치, 3은 발광부, 4는 반사판, 5는 난반사용 요철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최초 제조시 본 고안의 표시안전 드럼(1)은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및 하단받침부(30)로 분리되어 각각 제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부분을 별도로 또는 중첩시켜 운반이나 보관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사용을 위하여 결합을 할 때는 우선 중단지지부(20)의 아래로부터 상단발광부(10)를 삽입한 후 위쪽으로 힘껏 당겨주면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중단지지부(20)의 돌출부(21)가 상단발광부(10) 유도부(11)에 걸리면서 확장이 되다가 결합요부(12)가 돌출부(21)에 이르면 결합요부(12)의 내부로 돌출부(21)가 삽입이 되면서 결합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에서 결합요부(12)의 아래에는 걸림부(13)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1)가 더 이상은 당겨지지 아니한다.
그리고 중단지지부(20)와 하단받침부(30)를 연결하는 연결부(C2)의 연결과정을 보면, 하단받침부(30)를 바닥에 놓은 후 그 위에서 중단지지부(20)를 눌러 결합하는데, 중단지지부(20)의 삽입돌부(22)가 하단받침부(30)의 걸림구멍(31)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결합이 완료되면 중단지지부(20)의 걸림턱(23)이 하단받침부(30)의 상단에 걸리므로 더 이상의 결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결합되며, 반대의 방향으로는 삽입돌부(22)의 상단이 걸림구멍(31)의 상단에 걸려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2개소의 연결부(C1)(C2)를 분리하고 할 때는 결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순간적인 힘을 가하면 되는데, 각 부분이 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 것이므로 약간의 탄성을 갖고 있어서 순간적인 힘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비교적 부피가 큰 안전표시 드럼을 분리 제조한 후 간단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에 따르는 비용 및 운반과 보관에 따르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사용을 위한 결합과정이 매우 간단하여 사용시에도 편리하며 사용 후에도 간단하게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표시 드럼의 제조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전체적으로 윗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안전표시 드럼에 있어서,
    전체를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및 하단받침부(30)로 분리 구성하며, 상기 3개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에 돌출부(21)와 결합요부(12)로 구성되는 연결부(C1) 및 걸림구멍(31)과 삽입돌부(22)로 구성되는 연결부(C2)를 각각 구성하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단발광부(10)와 중단지지부(20) 사이의 연결부(C1)는 중단지지부(2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를 구성한 후, 상단발광부(10)의 하단에는 외향으로 경사진 유도부(11)와 상기 돌출부(21)가 함입되는 결합요부(12)와 더 이상 돌출부(21)가 아래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3. 제 1항에 있어서,
    중단지지부(20)와 하단받침부(30)가 연결되는 연결부(C2)는 하단받침부(30)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걸림구멍(31)을 형성하고 중단지지부(2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구멍(31)에 삽입되는 삽입돌부(22)를 구성하되, 삽입돌부(22)는 상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형태로 구성하여 돌출된 상부가 걸림구멍(31)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며, 중단지지부(20)의 삽입돌부(22) 위에는 하단받침부(30)의 상부끝단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아니하는 걸림턱(23)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20-2003-0023229U 2003-07-18 2003-07-18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200330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229U KR200330042Y1 (ko) 2003-07-18 2003-07-18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229U KR200330042Y1 (ko) 2003-07-18 2003-07-18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042Y1 true KR200330042Y1 (ko) 2003-10-11

Family

ID=4941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229U KR200330042Y1 (ko) 2003-07-18 2003-07-18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0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48B1 (ko) 2010-12-29 2011-04-12 우병국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200464540Y1 (ko) * 2011-03-17 2013-01-08 신도산업 주식회사 안전용 가이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48B1 (ko) 2010-12-29 2011-04-12 우병국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200464540Y1 (ko) * 2011-03-17 2013-01-08 신도산업 주식회사 안전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3931A1 (en) Control barrier with light assembly
WO2014084615A1 (ko) 자동 펼침식 엘이디 안전 피라미드
KR200330042Y1 (ko)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101909975B1 (ko) 사이드프레임용 코너연결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경량 등기구
KR100953608B1 (ko) 커버판의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200476788Y1 (ko) 매입형 조명등
AU2006250230A1 (en) Safety indicator for a road
CN201407519Y (zh) 警灯单体
CN211506740U (zh) 一种智能补光交通信号灯
KR101452933B1 (ko) 돌출간판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140094944A (ko)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
CN210200220U (zh) 一种地埋式消防应急双向标志灯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KR200385135Y1 (ko) 현수막의 측단 고정대
US7036959B2 (en) LED lampshade for advertisement brand and decoration
KR200386409Y1 (ko)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KR102015106B1 (ko) 매립형 유도등
JP2002275839A (ja) 内部発光保安用表示具
CN210288205U (zh) 一种新型夜光柱帽
US20130135882A1 (en) Light emitting diode for automotive lamp
KR200394521Y1 (ko) 접이식 도로 안전 표시구
CN206540032U (zh) 导光条安装结构及灯具光源结构
KR200310526Y1 (ko) 안전콘걸이대
CN204201663U (zh) 一种方便快速接线的三防灯
CN218327744U (zh) 通用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