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926Y1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926Y1
KR200328926Y1 KR20-1999-0001765U KR19990001765U KR200328926Y1 KR 200328926 Y1 KR200328926 Y1 KR 200328926Y1 KR 19990001765 U KR19990001765 U KR 19990001765U KR 200328926 Y1 KR200328926 Y1 KR 200328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as
oil seal
shock absorb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708U (ko
Inventor
정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9-0001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92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05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 F16J1/006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of different materials
    • F16J1/008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of different materials with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쇽업소버의 작동유로 이용되는 가스와 오일의 주입이 모두 베이스쉘과 동일한 방향 즉 상부측 오일시일을 통해 주입되어질 수 있도록 개량된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서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의 외원주면에 가스주입구(52)와 오일통로(2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오일시일(50)의 안쪽면에는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54)이 부설되어 상기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54)이 베이스쉘(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오일시일(50)의 가스주입구(52)와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통로(22)를 일방향으로만 차폐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쇽업소버의 작동유로 이용되는 가스와 오일이 오일시일을 통해 상부측을 통해 주입될 수 있도록 쇽업소버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두 개의 원통형의 튜브의 내측에 가스와 함께 오일이 충진되어 리바운드(Rebound) 행정을 하게되면 피스톤의 상부측에 위치한 오일이 피스톤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그 하부측 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콤프레션(Compression) 행정시에는 피스톤의 하부측에 위치한 오일이 다시 피스톤의 유로를 통해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필요로 하는 최적의 감쇠력 특성을 얻도록 되어 있다.
상기 쇽업소버의 작동유로 이용되는 가스와 오일의 주입이 종래에는 일측면부와 상부측을 통해 각각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10)에 끼워지는 로드가이드(20)와 오일시일(30)이 조립되는 베이스쉘(base shell)(40)의 일측면부에 가스가 주입되는 별도의 가스주입구(42)를 형성하여 상기 가스주입구(42)를 통해 가스를 주입한 다음 상기 가스주입구(42)는 용접작업을 통해 밀봉하고, 오일은 피스톤로드가 조립되는 상부측을 통해 주입한 다음 코킹(Csulking)시키는 방법을 통해 그 내부에 가스와 오일을 각각 주입하고 있다.
이는 상부측으로 가스와 오일이 주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위해서는 먼저 피스톤 로드(rod)의 외경이 22mm이면 베이스쉘(base shell)의 내경은 최소한 46.8mm가 되어야 하지만 베이스쉘(40)의 내경이 42mm가 최대이므로 가스 유출방지용 체크 립(Check Lip)과 같은 체크밸브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구조만으로는 불가능하여 오일시일(30)의 형상을 변경하는 문제점에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또한, 로드 가이드(rod guide)의 경우 로드와 베이스쉘(base shell) 내경 사이의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오일통로(43)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축력유지용 공간 미확보 등의 문제점이 있어 로드 가이드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는한 불가능하다는데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쇽업소버의 작동유로 이용되는 가스와 오일의 주입이 모두 베이스쉘과 동일한 방향 즉 상부측 오일시일을 통해 주입되어질 수 있도록 개량된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의 외원주면에 가스주입구(52)와 오일통로(2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오일시일(50)의 안쪽면에는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54)이 부설되어 상기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54)이 베이스쉘(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오일시일(50)의 가스주입구(52)와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통로(22)를 일방향으로만 차폐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쇽업소버의 일 예시 단면도,
도2는 종래 쇽업소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쇽업소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스톤로드20; 로드가이드
22,24,43: 오일통로30,50: 오일시일
40: 베이스쉘(base shell) 42,52: 가스주입구
본 고안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오일시일(50)의 외원주면에 별도의 가스주입구(52)가 설치되어 상기 가스주입구(52)를 통해 상부측으로 가스를 주입하도록 되고, 상기 오일시일(50)과 동일하게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로드가이드(20)의 외원주면과 오일시일(50)과 접촉되는 상부측에 오일이 이동되는 각각의 오일통로(22,2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오일시일(50)의 안쪽면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가스유출방지용제1,2 체크 립(54a,5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유출 방지용 제1,2 체크 립(54a,54b)은 베이스쉘(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오일시일(50)의 가스주입구(52)와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통로(22)를 통해 가스와 오일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시일(50)과 일체로 형성되는 가스유출방지용 제1체크 립(54a)은 베이스쉘(40)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에서 가스 주입되는 경우에만 제1체크 립(54a)이 뒤로 젖혀지며 그 내측으로 가스를 주입시키도록 되고, 내부에 주입된 가스는 제1체크 립(54a)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체크 립(54b)은 피스톤로드(10)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로드가이드(20)와 피스톤로드(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오일시일(50) 쪽으로 유출된 오일이 로드가이드(20)와 오일시일(5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통로(22)를 통해 오일이 다시 베이스쉘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하고, 그 반대쪽(베이스쉘쪽)으로 오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오일시일(50)에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 가스주입구(52)를 종래와 같이 베이스쉘(40)의 측면부에 별도의 작업공정을 통해 가스주입구를 뚫는 번거러움이 줄게 된다.
또한,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54)은 첨부도면을 기준하여 상부압력에는 오픈되고 하부로부터의 압력에는 베이스쉘(4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써 가스 주입압과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된 밀폐된 챔버내에 한 번 넣었다 빼는 것만으로 그 내부로 가스가 주입되어질 수 있어 가스 주입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스가 모두 주입된 후에는 오일시일(50)과 베이스쉘(40)이 접촉되는 접촉부를 1차 코킹한 다음 베이스쉘(40)의 선단을 오일시일(50)의 상면으로 구부려되는 2차 코킹작업을 다시 한번 실시하면 보다 완벽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일시일의 구조 개선을 통해 쇽업소버의 작동유로 이용되는 가스의 주입이 종래와 같이 베이스쉘의 일측면부가 아닌 오일시일을 통해 주입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스의 주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오일시일과 로드가이드 사이에 별도의 오일통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를 제어하도록 된 가스유출방지용 체크 립이 부설됨으로써 상부에서 축력을 가압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지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오일시일(50)의 외원주면에 별도의 가스주입구(52)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시일(50)과 동일하게 피스톤로드(10)에 조립되는 로드가이드(20)의 외원주면과 오일시일(50)과 접촉되는 상부측에 오일이 이동되는 각각의 오일통로(22, 24)가 설치되어진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오일시일(50)의 안쪽면에는 일체로 되는 두 개의 가스 유출방지용 제1, 2 체크 립(54a, 54b)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유출 방지용 제1,2 체크 립(54a, 54b)은 베이스쉘(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오일시일(50)의 가스주입구(52)와 오일시일(50)과 로드가이드(20)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통로(22)를 통해 가스와 오일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삭제
KR20-1999-0001765U 1999-02-05 1999-02-05 쇽업소버 KR200328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65U KR200328926Y1 (ko) 1999-02-05 1999-02-05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65U KR200328926Y1 (ko) 1999-02-05 1999-02-05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08U KR20000016708U (ko) 2000-09-25
KR200328926Y1 true KR200328926Y1 (ko) 2003-10-04

Family

ID=4933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765U KR200328926Y1 (ko) 1999-02-05 1999-02-05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9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24B1 (ko) * 2000-12-11 2005-05-12 주식회사 만도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주입부 실링장치
KR100837236B1 (ko) * 2004-02-06 2008-06-12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08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0449B1 (en) Shock absorber
US5176229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a rod guide having an annular doubled wall section
CN101943241B (zh) 减震器及其液压阻挡器
JPH026367B2 (ko)
KR20100132439A (ko) 유압실린더
KR20180040697A (ko) 댐퍼에서의 개선사항들
RU2451841C2 (ru) Цилиндр с рабочим веществом под давлением
KR200328926Y1 (ko) 쇽업소버
JP2006266290A (ja) モノチューブ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フリーピストンシール構造
KR20100119569A (ko) 댐퍼
KR19990001448A (ko) 유압완충기
KR20020053719A (ko) 실린더 장치
KR100276364B1 (ko) 차량용 가스봉입형 쇽업소버의 가스주입용 밸브
KR950000016B1 (ko) 유압완충기의 가스봉입방법
KR200314532Y1 (ko) 쇽업소버의 로드가이드 어셈블리
KR20000016711U (ko) 쇽업소버의 로드가이드 어셈블리
KR19980065820U (ko) 가스봉입식 쇽업소버
JPH0249418B2 (ja) Yuatsukanshoki
KR200287278Y1 (ko) 쇽업소버 가스 주입구조
KR100300515B1 (ko) 쇽업소버장치
KR0166180B1 (ko) 차량의 유압댐퍼
KR200152692Y1 (ko) 차량용 쇽업쇼오버의 가스 주입장치
GB2265436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0183525Y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가스 누출 방지 장치
CN117145911A (zh) 具有充气包封体的振动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