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876Y1 -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876Y1
KR200328876Y1 KR20-2003-0021537U KR20030021537U KR200328876Y1 KR 200328876 Y1 KR200328876 Y1 KR 200328876Y1 KR 20030021537 U KR20030021537 U KR 20030021537U KR 200328876 Y1 KR200328876 Y1 KR 200328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humidifier
fram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수 윤
재 형 박
Original Assignee
진 수 윤
재 형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수 윤, 재 형 박 filed Critical 진 수 윤
Priority to KR20-2003-0021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8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하부에서 펌핑된 물을 서서히 낙하시켜 습도 조절 및 인테리어적인 효과와 함께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의 가습장치는 공기와 접촉부가 적어서 습도 조절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물(W)이 저장됨과 동시에 저장된 물(W)을 펌핑하는 펌프(31)를 구비한 하부 저수조(30)와, 상기 하부 저수조(30)에서 송수관(40)을 통하여 펌핑된 물(W)이 저장되는 수압 조절판(51)을 갖는 상부 저수조(50)와, 상기 상부 저수조(50)에서 공급된 물(W)이 복수 개의 톱니돌기(61)를 통하여 낙하되어 상기 하부 저수조(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물 낙하판(60)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펌프의 작동에 따라 순환되는 물이 물 낙하판에 형성된 톱니돌기를 통하여 서서히 낙하가 이루어짐으로써 인테리어적인 효과는 물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Humidifier using a water}
본 고안은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상승시킨 후 낙하시켜 가습 효과와 함께 미세 먼지를 제거하고 인테리어 기능을 갖도록 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자를 이용한 가습기는 물을 미세하게 무화상태로 하여 공기중으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가습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되나 인테리어 적인 효과나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능은 가지지 못하고 있다.
종래 이런 점에 비추어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관(10)의 하부에 물(W)이 저장되는 저수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관(10)의 내측에는 내부관(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내부관(12)의 하측에는 상기 저수부(11) 내의 물(W)을 펌핑하는 펌프(13)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펌프(13)가 작동하면 저수부(11) 내의 물(W)이 내부관(12)을 통하여 상승한 후 내부관(12)과 외부관(10)의 사이를 통하여 낙하하는 작동을 반복적으로수행하면서 인테리어 효과와 가습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습장치는 단지 물이 관을 통하여 순환됨으로써 가습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바닥에 설치해야 하는 등의 설치에 제한적 요소가 따르며, 물이 쉽게 부패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더욱 향상된 가습 효과와 함께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에 제한이 없고, 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일부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프레임 21: 벽걸이용 홈
22: 간격 유지구 30: 하부 저수조
31: 펌프 32: 세라믹 볼
40: 송수관 50: 상부 저수조
51: 수압 조절판 60: 물 낙하판
61: 톱니돌기 W: 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물이 저장됨과 동시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한 하부 저수조와, 상기 하부 저수조에서 송수관을 통하여 펌핑된 물이 저장되는 수압 조절판을 갖는 상부 저수조와, 상기 상부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이 복수 개의 톱니돌기를 통하여 낙하되어 상기 하부 저수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물 낙하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펌프의 작동에 따라 순환되는 물이 물 낙하판에 형성된 톱니돌기를 통하여 서서히 낙하가 이루어짐으로써 인테리어적인 효과는 물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의 전체 종단면도로서,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는 내부에 물(W)을 저장하는 하부 저수조(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배면 측에는 벽걸이용 홈(21)이 형성됨과 동시에 벽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간격 유지구(22)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저수조(30) 내에는 물(W)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3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펌프(31)에는 내측으로 물(W)이 상승되는 송수관(40)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하부 저수조(30)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W)을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세라믹볼(32)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송수관(40)은 플랙시블한 수지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의 상부 내측에는 상부 저수조(5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송수관(40)의 상단은 상기 상부 저수조(50)의 저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수조(50)의 내측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수관(40)을 통하여 펌핑된 물(W)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판(51)이 횡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 수압 조절판(25)은 상부 저수조(50)의 내부 전면 측에 장착되는데, 상부 저수조(50)의 상단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 저수조(50)의 전면 측에는 펌핑된 물(W)을 낙하시키는 물 낙하판(60)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 낙하판(6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측에 복수 개의 톱니돌기(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하부 저수조(30)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어 낙하된 물(W)이 하부 저수조(3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돌기(61)의 각도는 75°~85°가 바람직하며, 더욱이 82°로 형성됨이 낙하되는 물(W)을 저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 낙하판(60)은 프레임(20)의 양측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A)를 이용하여 벽(B)에 고정되면 간격 유지구(22)에 의해 벽(B)과 프레임(20)의 배면과는 일정 거리가 유지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져 습기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전원을 인가하여 펌프(31)를 작동시키면 하부 저수조(30) 내에 저장된 물(W)이 펌펑되어 송수관(40)을 통하여 상부 저수조(50)로 공급되며, 상기 상부 저수조(50)로 공급된 물(W)은 수압 조절판(51)에 의해 수압이 조절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설치된 물 낙하판(60)으로 공급되어 진다.
상기 물 낙하판(60)으로 공급된 물(W)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돌출 형성된 톱니돌기(61)에 의해 순차적으로 낙하가 이루어지면서 서서히 낙하되며, 이때 낙하되는 물(W)은 공기중으로 증발되어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흡착시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 낙하판(60)에 형성된 톱니돌기(61)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W)은 전면을 통하여 계단식으로 서서히 낙하가 이루어짐으로써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물 낙하판(60)을 순착적으로 낙하한 물(W)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하부 저수조(30) 내로 유입된 후 다시 펌프(31)의 작동에 의해 송수관(40)을 통하여 상부 저수조(50)로 공급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순환작동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수조(30) 내에는 복수 개의 세라믹볼(32)이 저장됨에 따라 물(W)을 정화시켜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펌프의 작동에 따라 순환되는 물이 물 낙하판에 형성된 톱니돌기를 통하여 서서히 낙하가 이루어짐으로써 인테리어적인 효과는 물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물(W)이 저장됨과 동시에 저장된 물(W)을 펌핑하는 펌프(31)를 구비한 하부 저수조(30);
    상기 하부 저수조(30)에서 송수관(40)을 통하여 펌핑된 물(W)이 저장되는 수압 조절판(51)을 갖는 상부 저수조(50);
    상기 상부 저수조(50)에서 공급된 물(W)이 복수 개의 톱니돌기(61)를 통하여 낙하되어 상기 하부 저수조(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물 낙하판(60)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배면 측에는 벽걸이용 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배면 측에는 벽면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구(2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수조(30) 내에는 물(W)을 정화시키는 세라믹볼(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돌기(61)의 각도는 7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KR20-2003-0021537U 2003-07-04 2003-07-04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KR200328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37U KR200328876Y1 (ko) 2003-07-04 2003-07-04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37U KR200328876Y1 (ko) 2003-07-04 2003-07-04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876Y1 true KR200328876Y1 (ko) 2003-10-01

Family

ID=4941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537U KR200328876Y1 (ko) 2003-07-04 2003-07-04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87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428B1 (ko) * 2007-09-03 2009-02-19 정태용 액자형 벽천
KR101036250B1 (ko) 2008-07-23 2011-05-20 정우식 탈부착 가능한 하부수조가 구비된 액자형 벽천
KR20170077644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20170077636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052177B1 (ko) * 2019-03-27 2019-12-04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20200126856A (ko) * 2019-04-30 2020-11-09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20220167091A (ko) 2021-06-11 2022-12-20 권의준 자연증발식 가습기용 가습필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428B1 (ko) * 2007-09-03 2009-02-19 정태용 액자형 벽천
KR101036250B1 (ko) 2008-07-23 2011-05-20 정우식 탈부착 가능한 하부수조가 구비된 액자형 벽천
KR20170077644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20170077636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542304B1 (ko) * 2015-12-28 2023-06-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543795B1 (ko) * 2015-12-28 2023-06-15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052177B1 (ko) * 2019-03-27 2019-12-04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20200126856A (ko) * 2019-04-30 2020-11-09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102194328B1 (ko) * 2019-04-30 2020-12-22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20220167091A (ko) 2021-06-11 2022-12-20 권의준 자연증발식 가습기용 가습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466B2 (en)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KR200328876Y1 (ko)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CN101173808A (zh) 空气除菌装置
JPH1124759A (ja) 異常検出装置、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CA2526874A1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US5146762A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buildings
JP4630245B2 (ja) 加湿装置
JP3920050B2 (ja) 加湿装置
JP2009180434A (ja) 加湿装置
KR102014700B1 (ko) 실내 공기 개선용 이끼 액자
JP2008039326A (ja) 加湿装置
JP2009019821A (ja) 加湿装置
KR200470992Y1 (ko)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JP2011089667A (ja) イオンミスト噴射による加湿方法および組み立て移動式加湿器
JP5494340B2 (ja) 加湿装置
JP6038406B2 (ja) 加湿素子および加湿装置
KR102237457B1 (ko) 급수형 에어워셔
KR20090092928A (ko) 꽂이형 가습기
US6082394A (en) Closed type water storage container with water level controller and air filtering device
JP2011137605A (ja) 加湿機
KR101132564B1 (ko) 가습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JP2008281288A (ja) 細霧冷房装置
KR200275964Y1 (ko) 액자형 가습기
JP2006170573A (ja) 加湿器
KR950001066Y1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