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183Y1 -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83Y1
KR200328183Y1 KR20-2003-0016377U KR20030016377U KR200328183Y1 KR 200328183 Y1 KR200328183 Y1 KR 200328183Y1 KR 20030016377 U KR20030016377 U KR 20030016377U KR 200328183 Y1 KR200328183 Y1 KR 200328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discharge hole
containers
present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온
Original Assignee
강석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온 filed Critical 강석온
Priority to KR20-2003-001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a bottle, canister or like ho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 B65D5/701Tearable flaps defined by score-lines or incisions provided in the closure flaps of a tubular container made of a single blank
    • B65D5/703Tearable flaps defined by score-lines or incisions provided in the closure flaps of a tubular container made of a single blank the score-lines or incisions extending in the body of the tubula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5Incised or pre-scored openings or window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용기들이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어 밀봉되게 포장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이 포장박스의 일측에 소정크기의 배출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박스의 밀봉됨을 완전히 해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의 용기만을 간단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으며, 전후면부(12)로부터 연장된 덮개부(14)들 사이의 개구부위를 테이프(20) 등으로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포장박스(10)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12)로부터 연장된 덮개부(14)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12)까지 대략 '6'자 형상의 절취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PACKING BOX HAVING OUTLET}
본 고안은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각종 용기들이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어 밀봉되게 포장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이 포장박스의 일측에 소정크기의 배출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박스의 밀봉됨을 완전히 해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의 용기만을 간단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쁜 일상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을 위하여 각종 음식료들이 패스트푸드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바쁜 현대인들을 위하여 다양한 패스트 푸드점들이 성업중이며, 이에 따라 일정크기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각종 음식료들을 제공할 수 있는 테이크 아웃(Take out)점 또한 크게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점은 고객들에게 안식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대신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각종 음식료를 판매하는 것으로서, 매장주는 각종 임대료 및 노무비들의 지출을 줄여 그에 따른 대가를 고객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고객은 안식공간을 제공받지 않는 대신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음식료를 구입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바쁜 일상생활에 쫓기는 현대인들은 짧은 시간내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각종 음식료를 구입하여 길거리나 교통수단공간 또는 자신의 특정공간(공원, 학교, 직장, 집 등)에서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테이크 아웃점에서 판매되는 각종 음식료들의 용기는 세척 후 재사용하는 용기가 아닌 일회용 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바, 계속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적당량의 용기를 항상 비치해 놓아야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는 그 중량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도록 대부분 합성수지재나 종이재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일회용 용기들은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일정크기의 포장박스에 밀봉된 상태로 포장되어 각 매장들에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일회용 용기들을 밀봉된 상태로 포장한 포장박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밀봉된 포장박스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포장박스(10)에 중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 다량의 용기(30)들이 포장되어 있으며, 운반 중 포장된 용기(30)들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하여 테이프(20) 등으로 개구되는 부위를 부착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용기(30)들이 밀봉되게 포장된 포장박스(10)를 제공받은 사용자(매장주 등)는 상기 용기들의 사용시에 밀봉된 테이프(20)를 떼어내어 필요한 만큼의 용기(30)를 꺼내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포장박스에서 테이프를 한 번 제거하게 되면, 재부착이 용이하지 못하여 재밀봉이 어렵고, 이에 따라 포장박스내에서 필요한 만큼의 용기를 꺼내어 사용한 후, 남은 용기들을 다시 보관하게 될 경우에는 개구된 부위로 먼지 등이 유입되어 용기들이 더럽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장박스에서 테이프를 제거하게 되면, 덮개부가 펼쳐진 상태를 이루게 되어 미관이 좋지 않을 뿐더러, 일일이 용기를 꺼낼 때마다 덮개부들을 펼치고 덮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용기들이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어 밀봉되게 포장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이 포장박스의 일측에 소정크기의 배출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박스의 밀봉됨을 완전히 해제하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의 용기만을 간단하게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박스가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에서 배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박스 12 : 전,후면부
14 : 덮개부 20 : 테이프
30 : 일회용 용기 50 : 절취부
52 : 배출공부 54 : 배출공
56 : 파단선 60 : 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으며, 전후면부로부터 연장된 덮개부들 사이의 개구부위를 테이프 등으로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로부터 연장된 덮개부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까지 대략 '6'자 형상의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부가 시작되는 덮개부의 일측단부와 맞대어지는 좌우면부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취부의 시작부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취부에서 배출공부의 면부에는 서로 교차되는 파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에서 배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 등으로 개구되는 부위가 부착되어 밀봉되어진 포장박스(10)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10)의 덮개부(14) 일측단부로부터 전면부 또는 후면부(12)에 걸쳐서 대략 '6'자 형상의 절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박스(10)는 일반적으로 좌우, 상하면부 및 좌우면부(16) 양겹으로 포개진 구성을 이루나 전후면부(12)는 한겹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는 바, 전후면부(12)에 대하여 배출공부(5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중첩되어 배열되는 용기(30)들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배출공부(5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박스(10)에서 상하면부의 덮개부(14)는 전후면부(12)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인 바, 상기 덮개부(14)의 일측단부로부터 전면부 또는 후면부(12)에 걸쳐 절취부(50)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취부(50)가 시작되는 덮개부(14)의 일측단부 하부, 즉 포장박스(10)의 좌우면부(16)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취부(50)의 시작부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크기의 요홈(6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포장박스(10)에서 덮개부(14)의 일측단부에 형성된절취부(50)의 시작부위를 잡고 잡아당기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절취부(50)가 절취선을 따라 뜯어지면서 배출공(54)을 형성하게 되며, 이에 사용자는 상기 배출공(54)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용기(30)를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50)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공부(52)의 면부에 대략 '+'자형의 파단선(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공부(52)의 면부에 '+'자형의 파단선(56)을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절취부(50)를 뜯어내기 전에 상기 배출공부(52)를 주먹 등으로 툭 치게 되면 일차적으로 배출공부(52)가 뜯어져 보다 절취부(50)의 절취가 용이해지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상기 배출공부(52)에 형성되는 파단선(56)을 '+'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파단선(56)의 형상은 '× '등 여러형상일 수 있으며, 그 형상에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 포장박스(10)의 전후면부(12)에 대하여 배출공(54)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절취부(50)를 덮개부(14)의 일측단부로부터 시작되는 대략 '6'자 형상인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면에서 표현되는 반대방향에 '6자 반대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 그 위치도 사각 모서리부의 어느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에 의하면, 이 포장박스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간단하게 배출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포장박스에 포장된 다량의 용기들 중 낱개로 몇 개의 용기를 꺼내고자 개구부위를 덮고 있는 테이프를 뜯어내지 않고도 간편하게 필요한 개수의 용기를 꺼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포장박스의 개구부위를 덮고 있는 테이프를 뜯어내지 않아도 되는 바, 덮개부가 펼쳐져 미관이 좋지 않게 되는 원인도 제거될 뿐만 아니라 낱개의 용기들을 꺼내고자 일일이 덮개를 펼치고 덮지 않아도 됨으로써, 번거로움이 배척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포장박스의 개구부위를 밀봉하고 있는 테이프를 뜯어내지 않고도 필요한 만큼의 용기들을 꺼낼 수 있게 됨으로써, 포장박스내에 남아있는 용기들에 먼지 등이 쌓이는 등의 문제도 해결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으며, 전후면부(12)로부터 연장된 덮개부(14)들 사이의 개구부위를 테이프(20) 등으로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포장박스(10)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12)로부터 연장된 덮개부(14)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12)까지 대략 '6'자 형상의 절취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50)가 시작되는 덮개부(14)의 일측단부와 맞대어지는 좌우면부(16)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취부(50)의 시작부위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홈(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50)에서 배출공부(52)의 면부에는 서로 교차되는 파단선(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KR20-2003-0016377U 2003-05-26 2003-05-26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KR200328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77U KR200328183Y1 (ko) 2003-05-26 2003-05-26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77U KR200328183Y1 (ko) 2003-05-26 2003-05-26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207A Division KR100479368B1 (ko) 2003-05-28 2003-05-28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83Y1 true KR200328183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377U KR200328183Y1 (ko) 2003-05-26 2003-05-26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527A (en) Food package having a sleeve enclosure and a rigid base tray
US6173833B1 (en) Package including a separately formed premium tray
AU2007328046B2 (en) Package
CA2211287C (en) Carton with prize coupon
US5092457A (en) Engine oil change kit
EP1136371B1 (en) Carton for food products and carton blank for such a carton
US4752029A (en) Carton with integral display bin
US20060249529A1 (en) Dispensing package
EP1157932A2 (en) Combinatio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and converting methods
US5979745A (en) Folded sheet packing
AU748421B2 (en) Recloseable cuboidal folding box with hanging means
US20020070268A1 (en) Recloseable, cuboidal folding box
JP4467147B2 (ja) 包装展示兼用箱
AU772289B2 (en) Recloseable, cuboidal folding box with hanging means
US6554135B1 (en) Shelf ready inner package shipping container
KR200328183Y1 (ko)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KR100479368B1 (ko) 배출공이 형성되는 포장박스
JPS63501417A (ja) ゲ−ブルトツプ型カ−トン容器用の再利用可能な蓋器具
JP3190296B2 (ja) 包装用箱
US4250993A (en) Carton for container and cap
AU5377000A (en) Article display and dispenser
KR102533561B1 (ko) 포장용 상자
KR200256182Y1 (ko) 포장 상자
KR20230133234A (ko)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상자
KR200269033Y1 (ko) 두가지의 음료수가 들어가는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