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166Y1 -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 Google Patents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66Y1
KR200328166Y1 KR20-2003-0014452U KR20030014452U KR200328166Y1 KR 200328166 Y1 KR200328166 Y1 KR 200328166Y1 KR 20030014452 U KR20030014452 U KR 20030014452U KR 200328166 Y1 KR200328166 Y1 KR 200328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basin
supply pipe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20-2003-0014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combined with dou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측벽의 상단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물을 담는 대야에 있어서, 테두리의 일정위치에 제 1 결속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 2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지벨트가 설치되어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그 사이에 물 공급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Washbowl possible fix of water provision tube}
본 고안은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야의 일측에 물 공급관을 고정시킴으로써, 물 공급관이 대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물을 받을 수 있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여 대야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물을 담아 사용하였으며, 주거환경이 입식으로 변경되어 샤워기가 보급되면서부터는 물을 일정 양 받은 후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아이의 목욕을 시키거나, 손빨래를 해야 하거나, 대량의 야채 등을 세척해야 하는 등의 작업시에는 해당 용기에 물을 받아 사용하는 것이 작업을 진행하는데 보다 수월하다.
물을 받기 위해서는 호스 또는 샤워기를 대야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물을 받게 되는데, 이때 호스는 표면이 미끄러워 대야에서 미끄러지기 쉽고, 사워기는 호스보다는 덜 미끄럽기는 하나 수압에 의해 뒤집어질 우려가 있다.
호스 또는 샤워기가 용기에서 낙하되거나 뒤집어질 경우, 사용자에게 갑자기 물이 살수되어 옷과 얼굴 등이 젖어 당황하게 되며, 불필요한 곳에 물이 살수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에, 호스 또는 샤워기를 용기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호스 또는 샤워기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한 대야가 제공되는데, 샤워기와 같이 헤드가 형성된 경우에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호스와 같이 표면이 미끄럽고 일직선의 관 형태인 경우에는 일반 대야와 마찬가지로 미끄러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샤워기를 원통형의 걸이대에 고정하고, 집게 형태의 지지대가 해당장소에 부착되어 물을 살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샤워헤드 걸이대가 제공되는데, 욕조, 대야, 표면에 굴곡이 형성된 용기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시마다 샤워헤드 걸이대를 장착하여야 하고,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관 및 분실의 불편함이 있으며, 걸이대의 크기가 고정적이기 때문에 호스 사용시에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대야에 벨트와 결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벨트의 장력과 결속부재의 결속력에 의해 물 공급관을 대야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전하게 물을 받아 사용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측벽의 상단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물을 담는 대야에 있어서, 테두리의 일정위치에 제 1 결속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 2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지벨트가 설치되어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그 사이에 물 공급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진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져 물을 담는 대야에 있어서, 측벽과 저면 사이에서 측벽에 결합되는 제 1 결속부재와, 일단이 측벽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 2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지벨트를 포함하며,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그 사이에 물 공급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가 개시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결속부재는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2단으로 절곡되어 직각을 이루고, 제 1 결속부재에 대응하는 측벽의 부분은 제 1 결속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되어 제 1 결속부재와 밀착되며, 제 1 결속부재의 양 측면은 돌출된 측벽을 감싸도록 절곡된다.
바람직하게,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각각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벨트는 유연성을 가지며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대야는 물을 담아 세수 또는 세탁 등에 사용되는 넓적한 용기로, 용도와 크기 및 재질에 상관없이 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 모든 용기를 통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제 1 실시예를 보인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형성된 대야(10)에 호스 또는 샤워기와 같은 물 공급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대야(10)는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측벽의 상단에 일정한 폭을 갖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물을 담는 용기로, 테두리의 일측에 제 1 결속부재(20)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제 1 결속부재(20)는 판 형상으로 대야(10)의 테두리 일정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벨트(30)의 제 2 결속부재(32)와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편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결속부재(20)는 이미 제작된 대야(10)의 표면에 부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야(10) 제작시 제 1 결속부재(20)가 대야(10)의 테두리 부분에 삽입되어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벨트(30)는 일단이 대야(10)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 1 결속부재(20)와 결합되는 제 2 결속부재(32)가 구비되어 지지벨트(30)의 장력으로 인해 물 공급관을 대야(10)에 고정시키며, 제 2 결속부재(32)는 금속편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벨트(30)는 물 공급관을 대야(10)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유연성과 탄성을 갖으며, 물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수성이 좋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결속부재(20)와 제 2 결속부재(32)는 각각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 1 결속부재(20)가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면 제 2 결속부재(32)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없이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된 대야(10)에 물 공급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대야(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숫대야와 같은 형태로 경사진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져 물을 담는 용기이며, 측벽의 상단에 테두리가 형성되지 않고,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폭이 좁아 제 1 실시예와 같이 테두리에 제 1 결속부재(20)를 설치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야(10)는 제 1 결속부재(20)가 설치되는 측벽의 일정 부위를 제 1 결속부재(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하며, 돌출 형성된 부분에 제 1 결속부재(20)가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 1 결속부재(20)는 대야(10)의 측벽과 저면 사이에서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어 제 2 결속부재(20)와 결합되는 것으로,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2단으로 절곡되어 직각을 이루며, 양 측면은 대야(10)의 돌출된 측벽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지지벨트(30)는 일단이 측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 1 결속부재(20)와 결합되는 제 2 결속부재(32)가 결합되며, 이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결속부재(20)와 제 2 결속부재(32)는 각각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와 같이 테두리가 형성되지 않는 대야(10)에 물 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샤워기(40)를 대야(10)측으로 끌어당겨 제 1 결속부재(20)의 중앙부분에 걸쳐놓은 후, 지지벨트(30)를 제 1 결속부재(20)측으로 끌어당기고, 지지벨트(30)가 샤워기(40)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팽팽하게 당겨 제 2 결속부재(32)를 제 1 결속부재(20)에 부착한다.
제 1 결속부재(20)와 제 2 결속부재(32)는 상호 결합 가능한 금속편과 강한 자성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결합되며, 사용자가 힘을 가해 분리시키기 전까지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샤워기(40)의 헤드부분이 대야(10)의 내부 하측을 향하게 되며, 샤워기(40)를 고정한 후 물을 틀어주면 안전하게 대야(10)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받을 수 있다.
제 2 결속부재(32)는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함으로써, 손쉽게 제 1 결속부재(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물을 사용한 후에는 샤워기(40)를 대야(10)로부터 분리하여 주변을 정리정돈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으로 샤워기(40)를 예로 들었으나, 샤워기(40) 이외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관 종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이 미끄럽고 헤드부분의 구분이 없는 일직선 형태의 호스도 지지벨트(30)의 장력과 제 1 및 제 2 결속부재(20, 32)의 결속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는 물 공급관을 대야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자가 직접 물 공급관을 지지하지 않더라도 물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노력과 작업시간을 절감하여 작업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공급관이 미끄러지거나 뒤집어져 물이 불필요한 부분에 살수되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지지벨트와 결속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물을 담는 대야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일정위치에 제 1 결속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 2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지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그 사이에 물 공급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2. 경사진 측벽과 저면으로 이루어져 물을 담는 대야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저면 사이에서 상기 측벽에 결합되는 제 1 결속부재와, 일단이 상기 측벽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 2 결속부재가 결합된 지지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그 사이에 물 공급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부재는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2단으로 절곡되어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결속부재에 대응하는 측벽의 부분은 상기 제 1 결속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 1 결속부재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부재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된 측벽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속부재와 제 2 결속부재는 각각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자석 또는 금속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벨트는 유연성을 가지며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KR20-2003-0014452U 2003-05-10 2003-05-10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KR200328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52U KR200328166Y1 (ko) 2003-05-10 2003-05-10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52U KR200328166Y1 (ko) 2003-05-10 2003-05-10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66Y1 true KR200328166Y1 (ko) 2003-09-26

Family

ID=4933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452U KR200328166Y1 (ko) 2003-05-10 2003-05-10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6742A1 (en) Utility tub
US5412818A (en) Washing-up sink with a washplate
DE50212212D1 (de) Wischerplatte für ein Reinigungsgerät
KR200328166Y1 (ko) 물 공급관 고정이 가능한 대야
US20060037133A1 (en) Shower tray
EP1402808A4 (en) MECHANICAL WASHING BRUSH, INTEGRATED STRUCTURE OF GROOVED PULSATOR AND WATER REMOVAL CYLINDER
US20050235410A1 (en) Shower tray
USD448066S1 (en) Combined wall faucet and thermostat for tub
KR200202502Y1 (ko) 물받는 용기에 사용하는 샤워기 고정구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JP2008291582A (ja) 手洗装置
KR200336805Y1 (ko) 이동부착식 샤워기
JP3609627B2 (ja) 浴室用ラック
KR200214249Y1 (ko)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KR200408121Y1 (ko) 욕실용 악세사리 홀더
JPH09149855A (ja) 洗面台
KR200254623Y1 (ko) 비누 걸이구
KR200243107Y1 (ko) 샤워기 고정수단이 형성된 대야
ATE121604T1 (de) Formgeschäumter wannenträger aus hartschaumstoff für bade- oder duschwannen.
CN209595603U (zh) 一种置物台
KR200199557Y1 (ko) 샤워기용 착탈식 고정구
JPH0741430Y2 (ja) 入浴用先剤収容ケース
KR200304193Y1 (ko) 어린이용 세면기
KR910008117Y1 (ko) 온수관의 배관 유니트
KR200401468Y1 (ko) 주방 가구용 걸레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