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975Y1 -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975Y1
KR200327975Y1 KR20-2003-0021722U KR20030021722U KR200327975Y1 KR 200327975 Y1 KR200327975 Y1 KR 200327975Y1 KR 20030021722 U KR20030021722 U KR 20030021722U KR 200327975 Y1 KR200327975 Y1 KR 200327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voice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식
임희정
Original Assignee
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20-2003-0021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써, 마이크(54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음성 신호를 MIDI 편집부(542)를 통해 휴대폰에 사용가능한 보이스벨 파일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부(540);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카메라 기기로부터 그 내부 메모리카드의 저장 이미지 파일을 인식하는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상기 메모리카드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 이미지 파일 및 카메라(551)를 통해 직접 촬영된 화상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편집부(552)를 통해 편집하는 영상 인식부(550); 상기 보이스벨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 및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6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와 상기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정보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562); 및 상기 각 부(530, 540, 550)를 통해 입력되는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및 외부 인터페이스로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외부 정보 통신망과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WEB BASED KIOSK FOR INTERWORKING WITH DIGITAL DEVICE}
본 고안은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각종 디지털 메모리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부터 사진, 문자, 음향, 동영상 등의 관련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고 해당 데이터 파일을 편집하여 즉시 출력시키는 것은 물론 접속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데이터 파일들을 인터넷 통해 타 키오스크 장치나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결과물 출력이나 타인으로의 전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를 높이며 기기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공서, 은행, 대학, 호텔, 공황 등이나 많은 유동인구를 갖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무인단말기를 가리킨다.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 발권, 등록, 사진촬영, 안내 등의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보 통신의 발달에 따라 이러한 키오스크 장치의 용도에 대한 확대가 요구되면서 상술한 구매, 발권, 등록, 사진촬영, 안내 등의 기존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지털 기기인 휴대폰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각종 디지털 메모리 장치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이 가능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부터 관련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고 해당 데이터 파일을 편집 처리하여 주변장치를 통한 즉시 출력이나 접속된 해당 디지털 기기로의 저장 또는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기반 휴대폰 단말기로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버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통한 디지털 기기 연동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편집에 따른 직접 출력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수행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 녹음에 따른 보이스벨의 직접 다운로드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수행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통한 휴대폰의 보이스벨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보 통신망 200 : 모바일 단말기
300 : 웹 서버 400 : 무선 서버
410 : 중앙처리장치 420 : 데이터 저장장치
430 : 무선 인터페이스 440 : 유선 인터페이스
450 : SMS 송신부 500 : 키오스크
510 : 중앙 제어부 520 : 데이터 저장부
530 : 메모리카드 인식부 540 : 음성 인식부
541 : 마이크 542 : MIDI 편집부
550 : 영상 인식부 551 : 카메라
552 : 이미지 편집부 561 : 유저 인터페이스
562 : 외부 인터페이스 570 : 터치 스크린
580 : 인화부 590 : 스피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는 마이크(54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음성 신호를 MIDI 편집부(542)를 통해 휴대폰에 사용가능한 보이스벨 파일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부(540);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카메라 기기로부터 그 내부 메모리카드의 저장 이미지 파일을 인식하는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상기 메모리카드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 이미지 파일 및 카메라(551)를 통해 직접 촬영된 화상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편집부(552)를 통해 편집하는 영상 인식부(550); 상기 보이스벨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 및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6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와 상기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정보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562); 및 상기 각 부(530, 540, 550)를 통해 입력되는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및 외부 인터페이스로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외부 정보 통신망과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인식부(540)의 MIDI 편집부(542)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데이터 저장부의 배경음악 DB 에 기저장된 배경음악을 믹싱하여 배경음악이 포함된 보이스벨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해당 보이스벨을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타겟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인식부(550)의 이미지 편집부(552)는 전달된 이미지 파일을 터치 스크린(570)에 디스플레이시키고 해당 터치 스크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편집 메뉴에 대한 사용자 접촉에 의해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및 분할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인화부(580)를 통한 즉시 출력이나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한 디지털 기기로의 직접 저장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한 모바일 단말기(200)로의 외부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직렬 싱크 케이블 연결 방식, 무선랜 연결 방식,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Blue Tooth) 연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각종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디지털 기기로부터 관련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고 터치 스크린을 통한 해당 데이터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편집 후 이러한 데이터 파일을 해당 디지털 기기로의 재전송이나 또는 주변장치인 인화부나 스피커를 통해 즉시 출력시키거나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폰과 같은 인터넷 기반 디지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정보 통신망(100), 모바일 단말기(200), 웹 서버(300), 무선 서버(400) 및 키오스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통신망(100)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와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오스크(500)와 직렬 싱크 케이블이나, 무선랜,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등을 통하여 연결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연결된 상기 키오스크(500)와 문자, 이미지, 동영상, 음향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컴퓨터로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MT20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웹 서버(300)는 상기 무선 서버(400) 및 상기 키오스크(500)와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속이 가능하여, 상기 키오스크(500)를 중계점으로 하여 전송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각종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개인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필요시 상기 키오스크(500)를 통해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재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한정된 저장 공간으로 인해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자체 데이터의 삭제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를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이용하고자하는 동영상 메일 및 동영상과 같은 모바일 컨텐츠를 자신의 단말기로 직접 다운로드 받지 않고 상기 웹 서버(300)의 할당된 개인 저장공간에 다운로드 한 후 지정된 위치의 키오스크(500)를 통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다운로드함으로써 기존 대용량의 동영상 메일 및 동영상의 단말기 다운로드시에 지불해야 하는 과도한 요금을 상당 수준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동영상 메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의 활성화와 이용률의 증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서버(400)는 무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다운로드 요청하는 모바일 컨텐츠 및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개인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웹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300)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결제 정보를 중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키오스크(5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으로 이루어진 보이스벨을 전송받고 사용자가 해당 보이스벨을 전송하고자 하는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SMS를 전송하여 해당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가 무선 접속하여 해당 보이스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410), 데이터 저장장치(420), SMS 송신부(450),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무선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430), 상기 정보 통신망(100)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 인터페이스(440)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운영체제, 램과 롬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대용량의 업무처리,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조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일반적으로 32비트로 설계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 시스템의 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에는 회원 DB, 컨텐츠 DB, 보이스벨 DB 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라클사 및 IBM/Sybase/MS 데이타소프트웨어가 상기 DB 들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회원 DB 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가입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 번호, ID, 비밀번호, 생년월일,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은행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및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개인 신상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 DB 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직접 이용 가능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을 포함하는 대용량의 동영상 및 동영상 메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보이스벨 DB 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MIDI 파일 형식의 보이스벨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키오스크 DB 는 관리되는 키오스크들의 고유등록번호, 해당 키오스크의 위치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결제정보 DB 는 해당 회원의 데이터 업로드, 데이터 다운로드, 컨텐츠 다운로드에 따른 이용료, 이용료 결제 방법 및 이용료 승인 내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SMS 송신부(45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또는 상기 키오스크(500)의 요청에 따라 약 100 자 이하(80 Byte)의 단문 메세지를 전송하는 SMS(단문 메세지 서비스)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보이스벨 전송 안내 메세지나 키오스크 위치 안내 메세지를 통보한다.
이때, 이러한 SMS 송신부(450)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상기 무선 서버(400)에 포함되어 운영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무선 서버(400)와 분리되어 운영되는 통상의 SMS/MMS 서버를 이용하여 확대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500)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음성 인식부(540), 영상 인식부(550),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터치 스크린(570), 인화부(580), 스피커(590), 유저 인터페이스(561), 외부 인터페이스(562), 데이터 저장부(52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510)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 인식부(5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541)와 상기 마이크(54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사의 휴대폰 벨소리 형식 파일(MIDI file,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file)로 변환시키는 MIDI 편집부(542)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음성 인식부(540)는 사용자 개인의 목소리나 또는 상기 스피커(590)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음악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개인의노래소리를 입력받아 MIDI 파일로 변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목소리 또는 노래소리로 이루어진 벨소리 파일을 후술되는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후술되는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타인이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이 자신의 목소리 또는 노래소리를 지정 벨소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영상 인식부(550)는 사용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 위치되는 디지털 방식의 카메라(551)와 상기 카메라(55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화상 이미지에 대한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다양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 편집부(552)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영상 인식부(550)는 사용자의 개인 이미지를 입력받아 후술되는 터치 스크린(570)상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편집이 이루어지고 후술되는 인화부(580)를 통해 용지에 프린트하여 즉시 출력시키거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타인이 다운로드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메모리카드 인식부(530)는 사용자의 휴대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그 내부 메모리의 이미지 저장 자료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모리카드 인식부(530)는 특정 메모리 전용 리더기가 아닌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콤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SD 메로리 카드(SD Memory Card), 멀티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등의 디지털 카메라용 메모리카드들을상기 중앙 제어부(51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읽어낼 수 있으며 USB 또는 IBEE1394 등을 통해 해당 메모리카드와 연결되어 다양한 메모리카드의 이미지 저장 자료를 읽을 수 있는 통합 리더기이다.
이때, 이러한 메모리카드 인식부(530)로부터 인식된 휴대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자료 역시 상기 터치 스크린(570)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해당 이미지에 대한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다양한 이미지 편집 기능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화부(580)를 통해 용지에 프린트하여 즉시 출력시키거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타인이 다운로드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570)은 터치판넬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직접 사용자의 입력 명령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접촉식 화면으로써, 상기 영상 인식부(550) 및 메모리카드 인식부(530)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이미지 편집을 위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며 해당 키오스크(500)의 동작에 따른 안내 화면과 각종 광고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상기 인화부(580)는 상기 영상 인식부(550) 및 메모리카드 인식부(530)를 통해 인식되고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장치를 통하여 지정된 인화 용지 또는 스티커 용지에 출력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때 이러한 프린터 장치는 염료 승화형의 프린터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590)는 각종 배경 음악이나 녹음된 목소리를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5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에 믹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배경 화면, 예를 들면 자연, 꽃, 동물, 3D그래픽, 자동차, 로고, 만화, 연예인, 스포츠, 잡지, 영화 등의 풀사이즈 또는 조각 사이즈의 이미지가 저장되는 배경영상 DB,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믹싱시켜 신규 벨소리 생성을 위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배경음악 DB, 정보 통신망(100)을 통해 전송되어 시간대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이미지들이 저장되는 광고영상 DB 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561)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와 직렬 싱크 케이블이나 무선랜,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등을 통하여 연결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연결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문자, 이미지, 동영상, 음향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서버(400) 및 웹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구성을 이용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통한 디지털 기기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통한 디지털 기기 연동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한 온라인상에서의 정보 전달이나 오프라인상의 기록 매체에 의한 정보 전달에 의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파일을 이용하여 배경영상 DB 를 구축한다(S10).
이때, 상기 배경영상 DB 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에 믹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배경 화면, 예를 들면 자연, 꽃, 동물, 3D그래픽, 자동차, 로고, 만화, 연예인, 스포츠, 잡지, 영화 등의 풀사이즈 또는 조각 사이즈의 이미지가 저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한 온라인상에서의 정보 전달이나 오프라인상의 기록 매체에 의한 정보 전달에 의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배경음악 DB 를 구축한다(S20).
이때, 상기 배경음악 DB 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믹싱시켜 신규 벨소리 생성을 위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파일이 저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이미지 편집 요청에 따라 자체 설치된 카메라(551)나,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유저 인터페이스(561), 외부 인터페이스(562)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분할 출력 등의 편집을 수행하고 이를 상기 인화부(580)를 통하여 즉시 프린트시키거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같은 디지털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편집에 따른 이미지의 즉시 출력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을 수행한다(S30).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보이스벨 생성 요청에 따라 자체 설치된 마이크(541)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단독 음성 또는 해당 사용자의 음성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배경음악을 믹싱한 배경 음성을 상기 MIDI 편집부(542)를 통해 휴대폰 벨소리 형식의 MIDI 파일로 변환하여 보이스벨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시키거나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 녹음에 따른 보이스벨의 직접 다운로드 또는 외부 전송 서부루틴을 수행한다(S50).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연결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의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상기 웹 서버(300)의 회원 할당 개인 저장공간에 업로드시키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다시 재전송받아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한편,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이용을 위해 상기 웹 서버(300)의 개인 저장공간에 다운로드시킨 동영상 메일 및 동영상을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전송받아 유저 인터페이스(561)로 연결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유저인터페이스(561)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업다운로드 단계를 수행한다(S70).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업다운로드 단계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한정된 저장 공간으로 인해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자체 데이터의 삭제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를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기존 대용량의 동영상 메일 및 동영상의 단말기 다운로드시에 지불해야 하는 과도한 요금을 상당 수준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동영상 메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의 활성화와 이용률의 증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S30 단계인 사용자 이미지 편집에 따른 이미지의 즉시 출력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 S50 단계인 사용자 음성 녹음에 따른 보이스벨의 직접 다운로드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 및 S70 단계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업다운로드 단계는 해당 키오스크(5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순서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 S30 단계인 사용자 이미지 편집에 따른 이미지의 즉시 출력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편집에 따른 이미지의 즉시 출력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자체 설치된 카메라(551),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유저 인터페이스(561) 및 외부 인터페이스(56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수신한다(S31).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시키게 되는 메뉴 중 이미지 편집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32).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수신된 이미지 파일 및 사용자의 접촉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밝기 조절 메뉴, 색상 변환 메뉴, 크기 조절 메뉴, 글자 입력 메뉴, 사진 합성 메뉴, 분할 출력 메뉴 등의 편집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S33).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하여 수신되는 밝기 조절 메뉴, 색상 변환 메뉴, 크기 조절 메뉴, 글자 입력 메뉴, 사진 합성 메뉴, 분할 출력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편집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편집부(552)를 통해 해당 편집 메뉴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 파일의 편집을 수행한다(S34).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편집된 이미지 파일 및 즉시 출력 메뉴, 직접 저장 메뉴 및 외부 전송 메뉴를 포함하는 결과물 처리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결과물의 처리 방법을 판단하여(S35),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즉시 출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인화부(580)의 프린터를 통해 인화 용지 또는 스티커 용지에 해당 이미지 파일을즉시 프린트시켜 외부로 출력시킨다(S36).
상기 제 S35 단계의 판단결과, 즉시 출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이미지 파일에 대한 직접 저장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7),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직접 저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에 연결된 사용자의 디지털 기기가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한다(S38).
상기 제 S37 단계의 판단결과, 직접 저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이미지 외부 전송 메뉴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폰 번호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 및 소정의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외부 전송 정보 입력란을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S39).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해당 이미지의 외부 전송에 따른 타겟 단말기 정보 및 메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이러한 이미지 파일, 타겟 정보 및 메세지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전송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무선 서버(400)로 전송한다(S40).
이에 따라, 또한 상기 키오스크(5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이미지 파일을 전송받은 상기 무선 서버(400)는 해당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타겟 단말기로SMS를 전송하여 해당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무선 접속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S50 단계인 사용자 음성 녹음에 따른 보이스벨의 직접 다운로드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 녹음에 따른 보이스벨의 직접 다운로드 또는 외부 전송 서브루틴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접촉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입력시키게 되는 메뉴 중 보이스벨 생성 메뉴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51).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에 해당 보이스벨 생성 메뉴의 서브 메뉴인 배경음악 삽입 메뉴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2),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배경음악 삽입 메뉴 선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20)의 배경음악 DB 에 기저장된 사용가능한 배경음악 리스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S53).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 배경음악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배경음악을 상기 스피커(590)를 통해 출력시킨다(S54).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출력되는 해당 배경음악을 사용자의 보이스벨 배경음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묻는 해당 음악 삽입 선택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디스플레이시켜 해당 음악을 보이스벨 삽입 음악으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55),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부터 해당 배경음악 거부 의사인 배경음악 재선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 S53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상기 제 S5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부터 해당 배경음악 선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배경음 시작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 배경음악을 상기 스피커(590)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킨다(S56).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녹음 시작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마이크(541)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S57).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마이크(54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상기 MIDI 편집부(542)를 통해 휴대폰 벨소리 형식의 MIDI 파일로 변환시켜 해당 사용자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보이스벨을 생성시킨다(S58).
이때, 배경음악을 포함하는 보이스벨을 희망한 경우, 해당 배경음이 포함되어 휴대폰 벨소리 형식의 MIDI 파일로 편집 변환되어 보이스벨이 생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미리듣기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의 보이스벨 미리듣기 희망 여부를 판단하여(S59),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미리듣기 선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스피커(590)를 통해 해당 보이스벨을 외부로 출력시킨다(S60).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등록 여부를 묻는 등록 희망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의 보이스벨 등록 희망 여부를 판단하여(S61),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등록 희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제 S56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한편, 상기 제 S61 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등록 희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생성된 보이스벨의 처리 방법을 묻는 직접 저장 메뉴 및 외부 전송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직접 저장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2),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직접 저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에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해당 보이스벨 파일을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해당 보이스벨 파일을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시킨다(S63).
상기 제 S62 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직접 저장 메뉴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사용자의 보이스벨 외부 전송 메뉴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폰 단말기의 번호를 포함하는 타겟 정보 및 소정의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보이스벨 외부 전송 정보 입력란을 상기 터치 스크린(570)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S64).
상기 키오스크(500)의 중앙 제어부(510)는 상기 터치 스크린(570)을 통해 해당 보이스벨의 외부 전송에 따른 타겟 단말기 정보 및 메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이러한 보이스벨 파일, 타겟 정보 및 메세지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전송 보이스벨 정보를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무선 서버(400)로 전송한다(S65).
이에 따라, 또한 상기 키오스크(500)를 통하여 전송되는 보이스벨 파일을 전송받은 상기 무선 서버(400)는 해당 보이스벨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타겟 단말기로 SMS를 전송하여 해당 타겟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접속하여 해당 보이스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이스벨을 다운로드 받은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는 해당 보이스벨을 생성하여 송신한 사용자에 대한 지정 벨소리로 자신의 단말기에 등록시키게 되어 발신자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벨소리를 통해 발신자에 대해 쉽게 파악이 가능하고 발신자마다의 개성있는 벨소리 효과를 줄 수 있어 그 다양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키오스크를 통한 휴대폰의 보이스벨 서비스 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통한 휴대폰의 보이스벨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키오스크(500)에서 생성된 보이스벨에 대하여 상기키오스크(500)가 해당 보이스벨을 보내고자 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무선 서버(400)의 유선 인터페이스(440)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정보 통신망(100)을 통하여 상기 키오스크(500)로부터 보이스벨 업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0).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유선 인터페이스(440)에 접속된 상기 키오스크(500)로부터 해당 보이스벨 파일 및 해당 보이스벨을 전송하고자하는 타겟 휴대폰 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이스벨 외부 전송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보이스벨 DB 에 저장한다(S110).
이때, 상기 보이스벨 외부 전송 정보는 타겟 휴대폰의 번호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보이스벨을 전송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정보 및 소정의 메세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110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보이스벨 업로드에 따른 업로드 시간, 업로드 데이터 양, 업로드 데이터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보이스벨 업로드에 따른 업로드 이용료를 해당 보이스벨 송신자에 대하여 정산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결제정보 DB 에 해당 업로드 이용료 정산 내역을 저장한다(S120).
이때, 상기 결제정보 DB 는 해당 회원의 데이터 업로드, 데이터 다운로드, 컨텐츠 다운로드에 따른 이용료, 이용료 결제 방법 및 이용료 승인 내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보이스벨 DB 에 저장된 해당 보이스벨 파일에 대한 보이스벨 외부 전송 정보에 포함된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전송 타겟 휴대폰 번호로 해당 보이스벨을 무선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페이지 정보 및 송신자의 메세지 정보를 상기 SMS 송신부(450)를 통하여 해당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SMS 형식의 메세지로 통보한다(S130).
이때, 이러한 SMS 통보를 위한 SMS 송신부(450)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상기 무선 서버(400)에 포함되어 운영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무선 서버(400)와 분리되어 운영되는 통상의 SMS/MMS 서버를 이용하여 확대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430)로부터 상기 보이스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페이지에 대한 휴대폰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S140).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무선망을 통해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의 휴대폰 번호를 검출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200)가 해당 다운로드 페이지의 보이스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지정된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50),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200)가 다운로드 지정된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인 경우,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접속된 상기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보이스벨을 송신한 송신자 단말기 정보 및 이에 따른 메세지 정보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전송한다(S160).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해당 보이스벨을 다운로드 받을지 여부를 묻는 다운로드 확인 화면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의 해당 보이스벨 다운로드 희망 여부를 판단하여(S170), 상기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가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경우,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보이스벨 DB 에 저장된 해당 보이스벨 파일 및 해당 보이스벨에 대한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에서의 지정 희망 휴대폰 번호(예를 들면, 송신자의 휴대폰 번호나 송신자의 집 전화번호)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상기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80).
상기 무선 서버(400)의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제 S180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보이스벨 다운로드에 따른 다운로드 시간, 다운로드 데이터 양, 다운로드 데이터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보이스벨 다운로드에 따른 해당 타겟 모바일 단말기(200)에 대한 다운로드 이용료를 정산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420)의 결제정보 DB 에 해당 보이스벨 다운로드 이용료 정산 내역을 저장한다(S190).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는 휴대폰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및 각종 디지털 메모리 장치와 접속이 가능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로부터 사진, 문자, 음향, 동영상 등의 관련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고 해당 데이터 파일을 편집하여 즉시 출력시키는 것은 물론 편집 후 접속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데이터 파일들을 인터넷을 통해 타 키오스크 장치나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결과물 출력이나 타인에게로의 전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를 높이며 디지털 기기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목소리를 이용한 보이스벨을 생성하고 이를 직접 자신의 휴대폰에 다운로드하거나 타 휴대폰에 전송시켜 자신에 대한 지정 벨소리로 등록시키도록 할 수 있어 발신자의 음성으로 이루어진 벨소리를 통해 발신자에 대한 파악이 쉽게 이루어지고 발신자마다의 개성있는 벨소리를 지정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키오스크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휴대폰과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데이터 저장공간과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이를 통해 웹 상의 특정 저장 공간을 중계 저장지점으로 활용한 휴대폰 데이터에 대한 업다운로드가 가능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한정된 저장 공간으로 인해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자체 데이터의 삭제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를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기존 대용량의 동영상 메일 및 동영상의 단말기 다운로드시에 지불해야 하는 과도한 요금을 상당 수준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동영상 메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 컨텐츠에 대한 휴대폰 다운로드 서비스의 활성화와 이용률의 증가를 이룰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마이크(541)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해당 음성 신호를 MIDI 편집부(542)를 통해 휴대폰에 사용가능한 보이스벨 파일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부(540);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카메라 기기로부터 그 내부 메모리카드의 저장 이미지 파일을 인식하는 메모리카드 인식부(530);
    상기 메모리카드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저장 이미지 파일 및 카메라(551)를 통해 직접 촬영된 화상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편집부(552)를 통해 편집하는 영상 인식부(550);
    상기 보이스벨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 및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6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저장 자료와 상기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정보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 관련 데이터 및 동영상 컨텐츠 자료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562); 및
    상기 각 부(530, 540, 550)를 통해 입력되는 보이스벨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및 외부 인터페이스로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기 및 외부 정보 통신망과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앙 제어부(510); 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540)의 MIDI 편집부(542)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데이터 저장부의 배경음악 DB 에 기저장된 배경음악을 믹싱하여 배경음악이 포함된 보이스벨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해당 보이스벨을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타겟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부(550)의 이미지 편집부(552)는 전달된 이미지 파일을 터치 스크린(570)에 디스플레이시키고 해당 터치 스크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편집 메뉴에 대한 사용자 접촉에 의해 밝기 조절, 색상 변환, 크기 조절, 글자 입력, 사진 합성 및 분할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인화부(580)를 통한 즉시 출력이나 유저 인터페이스(561)를 통한 디지털 기기로의 직접 저장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562)를 통한 모바일 단말기(200)로의 외부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56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직렬 싱크 케이블 연결 방식, 무선랜 연결 방식,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Blue Tooth) 연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 키오스크.
KR20-2003-0021722U 2003-07-07 2003-07-07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KR200327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22U KR200327975Y1 (ko) 2003-07-07 2003-07-07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22U KR200327975Y1 (ko) 2003-07-07 2003-07-07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61A Division KR20050005830A (ko) 2003-07-07 2003-07-07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975Y1 true KR200327975Y1 (ko) 2003-09-26

Family

ID=4941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22U KR200327975Y1 (ko) 2003-07-07 2003-07-07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9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420B1 (ko) 파일 선택 및 단말기로의 파일 전송
US2004002368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picture file
JP2004505502A (ja) ディジタルメディアフレームと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190482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および出力デバイスを用いてリモートに配置されたデジタルファイルから出力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884036A (zh) 共享由移动通信装置捕获的图像的方法和系统
JP5458400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画像提供サーバ
JP6889360B2 (ja) 管理装置、画像作成印刷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画像作成印刷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05203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JPH0921455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51482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213277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4093003A (ja) 書籍作成システム及び書籍印刷システム
JP2017138949A (ja) コンテンツ作成装置、管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作成装置の制御方法
TW561770B (en) Method for transforming personalized bills information of a mobile station user with short message service
JP2010009322A (ja) 電子名刺システム
KR20050005829A (ko) 키오스크를 통한 디지털 기기 연동 서비스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50005830A (ko)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EP1881678A1 (en) Media Sharing Service
KR200327975Y1 (ko) 디지털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키오스크
JP200305076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並びに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EP1453292A1 (en) Image data improvement for wirelessly transmitted digital image data
KR20050005828A (ko) 키오스크를 통한 휴대폰의 보이스벨 서비스 방법 및 이를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JP2010086161A (ja) 電子名刺、電子名刺の利用方法及び電子名刺システム
JP2002199446A (ja) 写真シール作製機
KR100613823B1 (ko) 이미지 합성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