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710Y1 -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 Google Patents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710Y1
KR200327710Y1 KR20-2003-0020119U KR20030020119U KR200327710Y1 KR 200327710 Y1 KR200327710 Y1 KR 200327710Y1 KR 20030020119 U KR20030020119 U KR 20030020119U KR 200327710 Y1 KR200327710 Y1 KR 200327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water
buoyancy body
nozzle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1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성연
Original Assignee
일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7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710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수면에 부상하는 바지선; 상기 바지선상에 탑재되고, 발전기의 전원공급에 의해 콘트롤러가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자흡블록에서 유입된 공기를 기포상태로 만드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력체 하부에 설치되고, 수중에 삽입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공급된 기포를 수중에 토출시켜 수중의 녹조를 부상시키는 노즐; 상기 기포발생수단과 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발생수단에서 생성된 기포를 노즐로 공급안내하는 공급관; 상기 바지선상에 탑재되고, 기포발생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부력체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된 스크레퍼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표면에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수집하는 녹조슬러지 수집수단; 상기 바지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 및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이 녹조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 하부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algae removal apparatus, buoyancy bod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 barg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bubble generating means mounted on the barge, the controller driving the pump by the power supply of the generator and mak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magnetic absorption block into the bubble state by driving the pump; A nozzle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body and inserted in the water to discharge the bubbles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or in the water to float the green alga in the water; A supply pipe connected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the nozzle to supply the bubble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ans to the nozzle; A generator mounted on the barge and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bubble generating means;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green algae sludg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y moving the scraper is installed in the buoyancy body in an endless track type by the power of the motor; A dehydrator installed on the barge and dewater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ed by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And a blocking film installed aroun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buoyancy body so that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can collect the green algae sludge.

Description

이동식 녹조제거장치{chlorophyat removeing device}Chlorophyat removeing device

본 고안은 미세기포를 수중에 분출시켜 녹조를 제거하는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이 설치된 부력체에 바지선을 연결하여 이 바지선을 녹조가 발생된 임의의 장소에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장소의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 algae removal device that removes green algae by ejecting microbubbles in water, and in particular, by connecting a barge to a buoyant body provided with a nozzle and placing the barge at any place where green algae are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algae removal device that can be effectively removed.

영양염류의 과다로 호수에 녹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것을 녹조현상이라고 하는데, 물에 유입된 영양 염류를 제거하지 않으면 이 영양 염류가 수중 생태계의 물질 순환 구조속에 계속 남아있게 되므로 녹조현상이 자꾸 반복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녹조를 제거해야 한다.Green algae grow in a large amount of green algae in the lake due to the nutrient excess, and green algae are called green algae. If the nutrients are not removed, the nutrients will remain in the material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aquatic ecosystem. As the phenomenon continues to appear repeatedly, the algae should be removed.

도 1은 종래의 녹조제거장치(1)를 보이고 있는데, 호수(2)의 물을 가압부상조(3)로 이동시켜 녹조를 제거한 방식이었다. 호수(2)와 가압부상조(3)에파이프(4)를 연결하여 호수(2)의 물을 가압부상조(3)에 공급하고, 상기 가압부상조(3)에 기포발생장치(5)를 연결하여 물속으로 토출된 기포가 수면으로 부상할 때 물속에 존재하는 녹조를 부상시켰다. 이와 같이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가압부상조(3) 상부에 설치된 슬러지제거장치(6)가 슬러지 탱크(7)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슬러지 탱크(7)에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기(8)가 탈수시켜 제거하였으며, 이 때 발생된 물은 다시 호수(2)를 반송하는 방식으로 녹조를 처리하였다.1 shows a conventional green algae removing apparatus 1, which is a method of removing green algae by moving water in a lake 2 to a pressurized floatation tank 3. The pipe 2 is connected to the lake 2 and the pressure injured tank 3 to supply the water of the lake 2 to the pressure injured tank 3, and the bubble generator 5 is supplied to the pressure injured tank 3. When the bubble discharged into the water rises to the surface, the green algae in the water are injured. The sludge removal device 6 installed in the above-mentioned green algae sludge is moved to the sludge tank 7 and the green algae sludge dehydrator 8 collected in the sludge tank 7 is moved. The water was removed by dehydration, and the water generated at this time was treated with green algae by returning the lake (2).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녹조 처리방식은 호수(2) 근처에 녹조제거장치(1)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녹조제거장치(1)가 호수(2) 근처에 설치되기 때문에 호수주변 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reen algae treatment method requires a place for installing the green algae removal device 1 near the lake 2, and therefore, it requires a lot of cost, and the green algae removal device 1 is the lake 2. Because it is installed nearby,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s the environment around the lake.

뿐만 아니라, 호수(2)의 물을 펌프(9)를 이용하여 가압부상조(3)로 이동시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녹초 처리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 효율이 낮고, 가압부상조(3)의 크기에 따라 녹조의 처리용량이 결정되므로 녹조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압부상조(3)를 크게 제작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에 따른 제조공수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ter of the lake (2) by using the pump (9) to be moved to the pressure flotation tank (3)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process the exhaustion treatment is low efficiency, the size of the pressure flotation tank (3)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green algae is determined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algae flotation (3) to increase the green algae treatment efficienc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labor and cost increase accordingly.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녹조제거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세기포를 분출시키는 노즐이 설치된 부력체를 바지선에 연결하고, 이 바지선을 녹조가 발생한 임의의 장소에 배치하여 녹조를 효율적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reen algae removal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connect a buoyancy body provided with a nozzle for ejecting microbubbles to a barge, the barge to any place where green algae occur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vable green algae removal device which can be arranged to remove green algae efficiently and simply.

이러한 이동식 녹조제거장치는,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수면에 부상하는 바지선; 상기 바지선상에 탑재되고, 발전기의 전원공급에 의해 콘트롤러가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자흡블록에서 유입된 공기를 기포상태로 만드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력체 하부에 설치되고, 수중에 삽입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공급된 기포를 수중에 토출시켜 수중의 녹조를 부상시키는 노즐; 상기 기포발생수단과 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발생수단에서 생성된 기포를 노즐로 공급안내하는 공급관; 상기 바지선상에 탑재되고, 기포발생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부력체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된 스크레퍼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표면에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수집하는 녹조슬러지 수집수단; 상기 바지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 및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이 녹조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 하부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uch a removable algae removal apparatus, buoyancy bod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 barg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bubble generating means mounted on the barge, the controller driving the pump by the power supply of the generator and mak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magnetic absorption block into the bubble state by driving the pump; A nozzle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body and inserted in the water to discharge the bubbles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or in the water to float the green alga in the water; A supply pipe connected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the nozzle to supply the bubble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ans to the nozzle; A generator mounted on the barge and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bubble generating means;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green algae sludg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y moving the scraper is installed in the buoyancy body in an endless track type by the power of the motor; A dehydrator installed on the barge and dewater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ed by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And a blocking film installed aroun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buoyancy body so that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can collect the green algae sludge.

도 1은 종래 녹조제거장치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green algae removal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green alga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green alga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alga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지선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b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을 보인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부력체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the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 단위 파이프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상세도9 relates to a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detai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unit pipe.

도 10은 본 고안의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의 정면도10 is a front view of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즐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11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막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ing a barri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식 녹조제거장치 11 : 부력체10: removable algae removal device 11: buoyancy body

12 : 바지선 13 : 기포발생수단12 barge 13 bubble generation means

14 : 노즐 15 : 공급관14: nozzle 15: supply pipe

16 : 녹조슬러지 수집수단 17 : 탈수기16: green algae sludge collection means 17: dehyd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alga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green alga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green alga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green alga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녹조제거장치(10)는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11), 상기 부력체(1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바지선(12), 상기 바지선(12)상에 탑재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13), 상기 기포발생수단(13)에서 공급된 기포를 수중에 토출시켜 수중의 녹조를 부상시키는 노즐(14), 상기 기포발생수단(13)에서 생성된 기포를 상기 노즐(14)로 공급안내하는 공급관(15), 기포에 의해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수집하는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에 의해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7), 및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이 녹조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11)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막(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reen algae remov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arge 12 and the barge 1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11, the buoyancy body 11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ubble generation means 13 for generating bubbles, nozzle 14 for floating the green alga in water by discharging the bubbles suppli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into water, and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Supply pipe 15 for guiding the supply to the nozzle 14,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for collecting the green algae sludge injured by bubbles, dewater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ed by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The dehydrator 17 and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are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ing film 18 install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1 to collect the green algae sludge.

상기 부력체(11)는 수중에 부상되어 상기 공급관(15), 노즐(14),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 그리고 차단막(18)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부력체(11)는 이러한 부력체(11)는 발포폴리스텔(일명 스티로폴)이나 또는 공기가 주입된 튜브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상된 녹조슬러지의 처리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buoyancy body 11 is to float in the water to install the supply pipe 15, the nozzle 14,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and the blocking film 18. The buoyancy body 11, but the buoyancy body 1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foamed polyester (aka styropol) or air-injected tube, preferably the treatment space of the floating green algae sludge (S In order to secure the) it is good to configure in the form of a pipe as shown in FIG.

상기 부력체(11)는 도 9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파이프(19)를 컨넥터(20)로밀폐되게 연결하여 그 내부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부상되게 하였으며, 단위 파이프(19)의 처음과 끝을 연결하여 연속된 형태로 구성하여 그 내측에 녹조를 처리하기 위한 공간(S)을 확보하였다.The buoyancy body 11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nit pipes 19 to be sealed to the connector 20 as shown in FIG. 9 so as to be floated by the air filled therein, the first and end of the unit pipe 19 Connected to form a continuous form to secure the space (S) for processing the green algae in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부력체(11)는 각 단위 파이프(19)의 집합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부의 단위 파이프(19)가 기밀이 유지되지 않더라도 다른 단위 파이프(19)가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면에 안정되게 부상하게 된다.Since the buoyancy body 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the aggregates of the unit pipes 19, even if some of the unit pipes 19 are not kept airtight, other unit pipes 19 will be kept airtight, thereby making it stable on the water surface. You will be injured.

상기 부력체(11)에는 작업자의 보행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바닥에 플레이트(21)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21)와 수직방향으로 가이드(22)가 설치된다.The plate 21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uoyancy body 11 so as to safely walk the operator, and the guide 22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21.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부력체(11)는 착탈수단에 의해 바지선(1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착탈수단은 통상의 볼트 또는 후크가 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The buoyancy body 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rge 12 by a detachable means, and the detachable means may be a conventional bolt or hook and is omitted in the drawings.

상기 바지선(12)은 기포발생수단(13)과 탈수기(17)를 탑재하여, 상기 부력체(11)를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barge 12 is equipped wit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and the dehydrator 17, so that the buoyancy body 11 can be used to move.

이러한 바지선(12)은 물에 부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판상의 형태로 구성되는데, 도 5와 같이 밀폐된 함체형상의 프레임(23) 내부에 격벽(24)을 격자형상으로 설치하여, 이들 격벽(24) 사이에 형성된 공간(25)에 공기를 수납하여 부상하도록 구성된다.The barge 12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rise to the water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s shown in Figure 5 by installing the partition wall 24 in a grid-like shape inside the sealed frame 23 of the enclosure The air is stored in the space 25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4 to float.

이와 같이 구성된 바지선(12)은 상기 부력체(11)와 같이 격벽(24) 사이의 어느 공간(25)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공간(25)이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면에 안정되게 부상하게 된다.The barge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ably floats on the water surface because the other space 25 is kept confidential even if any space 25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4 is damaged, such as the buoyancy body 11.

상기 기포발생수단(13)은 수중에 미세기포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포를 생성하는 것으로, 국내 특허출원 10-2000-0077319호의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generates bubbles for discharging fine bubbles in water, and i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77319.

이러한 기포발생수단(13)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콘트롤러(C), 공기를 자흡하는 자흡 블록(26), 고압펌프(27), 차압 노즐(미도시)이 다단(多段)으로 설치된 튜브(28), 내부리턴블록(미도시), 압력 콘트롤밸브(미도시) 및 발전기(G) 등으로 구성 된다.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is a tube in which the controller (C), a self-suction block 26 for sucking air, a high pressure pump 27, and a differential pressure nozzle (not shown) ar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S. 28, an internal return block (not shown), a pressure control valve (not shown), and a generator (G).

상기 콘트롤러(C)는 기포발생수단(13)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여 기포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C controls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to generate bubbles.

상기 공기 자흡 블록(26)에서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응용에 의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공기량 조절 밸브에 의해 일정한 량만큼 조절되어 파이프(P)를 통해흡입된 공기는 고압 펌프(27)에 의하여 물과 혼합(混合)되어 튜브(28) 내로 압송(壓送)된다.The air self-suction block 26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cking air in the air by the application of the Bernoulli equa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pipe (P) is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air volume control valve is a high pressure pump By (27), it is mixed with water and is conveyed into the tube (28).

차압 노즐이 2단(二段) 이상으로 구성된 튜브(28) 내에서는 차압 노즐에 의하여 형성된 압력차에 의하여 압축(壓縮)과 팽창(膨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물과 혼합되어 유입된 공기는 포화(飽和)와 분리(分離)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미세기포화 된다.In the tube 28 having two or more differential pressure nozzles, compression and expansion are repeatedly performed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form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nozzle, and mixed with water in the process. The air is micro-bubbles as the process of saturation and separation is repeated.

위와 같은 과정에서 미세화되지 못한 100㎛이상의 직경을 갖는 기포들은 압력이 높은 내부리턴블록에서 압력이 낮은 순환(RETURN) 노즐로 자연적인 순환 또는 리턴 펌프에 의한 강제 순환이 이루어 지면서 미세화 과정을 갖게된다.Bubbles having a diameter of 100 μm or more that have not been miniaturized in the above process have a miniaturization process by a natural circulation or a forced circulation by a return pump with a low pressure return nozzle in a high pressure internal return block.

튜브내의 평균 압력이 약 3.5kgf/㎠을 유지하게 되면 공기가 물속에 포화되는 효율(效率)이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입과 분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튜브(28)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압력조절나사로써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여 분출측의 밸브 디스크가 일정한 압력으로 개방(OPEN)될 수 있도록한 압력 콘트롤 밸브를 튜브의 끝단에 설치하였다.When the average pressure in the tube is maintained at about 3.5kgf / ㎠, the efficiency of air saturation in water appears to be the highest. A pressure control valve wa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ube to adjust the spring pressure with a pressure adjusting screw so that the valve disk on the ejecting side could be opened at a constant pressure.

이상의 기포발생수단(13)은 자흡된 공기를 물 또는 오수와 함께 정적(定績)식 고압 펌프(27)에 의하여 고압수를 만들어내는 단일 동력원을 사용함으로써 가압(加壓) 탱크(TANK)에 물 또는 오수(汚水)와 별도로 공기(AIR)를 가압하는데 필요한 콤프레셔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압 장치들과 비교하여 동력(動力)이 50%이상 절약되며, 약 50㎛정도의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10㎛미만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물 또는 오수에 대기중의 산소(OXIGEN)를 전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오수중의 부유(浮游) 물질(物質)들에 미세기포를 부착시켜 부상(浮上)시키는 효율(效率)이 기존의 가압 부상 장치들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는 효과를 갖는다.The above bubble generating means 13 uses a single power source to generate high pressure water by means of a static high pressure pump 27 with water or sewage to the pressurized tank TANK. Compared to conventional pressurizers that use compressors to pressurize air separately from water or sewage, power savings are more than 50% and existing microbubbles of about 50 μm are generated. By generating microbubbles less than 10㎛ compared to the device of the device, the rate of delivering oxygen in the air to water or sewage is high, and by attaching microbubbles to suspended matters in the sewage, It has the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浮 上浮) is high compared with existing pressure flotation devices.

상기 기포발생수단(13)은 상기 바지선(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탑재되어 발전기(G)의 전원공급에 의해 기포를 발생하게 된다.At least one bubble generating means 13 is mounted on the barge 12 to generate bubbles by the power supply of the generator (G).

상기 노즐(14)은 도 11과 같이 상기 공급관(15)과 연결되고 수중에 삽입되는 메인파이프(29)와, 상기 메인파이프(29)와 연통되게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출구(30a)를 갖는 분기파이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zzle 14 has a main pipe 29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5 and inserted into the water as shown in FIG. 11,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ain pipe 29,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30a. It comprises a branch pipe (30).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14)은 기포발생수단(13)과 연결된 공급관(15)에 메인파이프(29)의 입구가 연결되어 기포발생수단(13)에서 공급된 기포를 출구(30a)를 통해 수중에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된 공기는 수면으로 부상하면서 수중에 존재하는 녹조를 같이 부상시켜 수면에 녹조슬러지를 생성하게 된다.The nozzle 1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main pipe 29 to the supply pipe 15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so that the bubble suppli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is carried out in the water through the outlet 30a. Discharge. Therefore, the discharged air floats on the surface and floats the green algae present in the water to generate green algae sludge on the surface.

상기 노즐(14)은 녹조제거장치(10)의 이동시 수중의 장애물에 손상되지 않도록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승강구조는 도 11과 같이 메인파이프(29)에 이 메인파이프(29)를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31)를 연결한 형태로 구성된다.The nozzle 14 is installed to be elevated so as not to be damaged by obstacles in the wat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algae removal device 10, the lifting structure is to rotate the main pipe 29 to the main pipe 29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actuator 31.

따라서, 녹조제거장치(10)의 이동시 상기 엑추에이터(31)를 구동시켜 노즐(14)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의 분기파이프(30)가 수면에 가깝게 상승하게 되어 장애물과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green algae removing device 10 moves the actuator 31 to rotate the nozzle 14 in one direction, the lower branch pipe 30 rises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green algae so as not to hit an obstacle.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31)의 일 실시예는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Here, one embodiment of the actuator 31 may use a cylinder.

상기 공급관(15)은 상기 부력체(11)상에 탑재되어 기포발생수단(13)에서 생성된 기포를 상기 노즐(14)로 공급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입구가 기포발생수단(13)과 연결되고 출구가 노즐(14)의 메인파이프(29)와 연결된 통상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와 연결된 노즐(14)의 메인파이프(29)가 회전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pipe 15 is mounted on the buoyancy body 11 to guide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to the nozzle 14, and the inlet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And the outlet may be a conventional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29 of the nozzle 14, and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main pipe 29 of the nozzle 14 connected thereto may rotate. .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은, 노즐(14)에서 분출된 기포가 부상하면서 수중에 발생된 녹조를 응집시켜 수면에 녹조슬러지가 형성될 때 이 녹조슬러지를 한 곳으로 모으게 된다.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collects the green algae sludge in one place when the green algae sludge is formed on the water surface by aggregating the green algae generated in the water while the air bubble ejected from the nozzle 14 floats.

이러한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은 도 10과 같이 체인(32) 또는 밸브(미도시)가 부력체(11)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되고, 이들 체인(32) 양측에 스크레퍼(33)가 연결되며,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32)이 무한궤도식으로 구동될 때 스크레퍼(33)가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면에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한 곳에 수집하게 된다.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is a chain 32 or a valve (not shown) is installed in an orbital mann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chain 32 is driven in a caterpillar by the drive of the motor 34, the scraper 33 moves along the surface and collects the green algae sludge floating on the surface.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7)는, 도 5와 같이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이 수집한 녹조슬러지를 내부로 흡입하여 탈수시키는 장치로서, 몸체에서 슬러지가 수집되는 장소까지 흡입관(34)이 연장되고, 이 흡입관(34)에는 녹조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펌프(35)가 설치된다.The dehydrator 17 for dewatering the collected green algae sludge is a device for sucking and dehydrat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ed by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as shown in FIG. 34 is extended, and the suction pipe 34 is provided with a suction pump 35 for sucking the green algae sludge.

상기 차단막(18)은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이 녹조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11)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부식에 강하면서 부드러운 재질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비닐재, 얇은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blocking film 18 is installed around the buoyancy body 11 so that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can collect the green algae sludge, and is preferably resistant to corrosion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Synthetic resin can be used.

이러한 차단막(18)은 녹조처리시 항상 수중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크레퍼(33)가 녹조슬러지를 모을 때 슬러지가 녹조처리공간(S) 외부로 밀려나지 않도록 한다.The blocking film 18 is always installed in the water during the green algae treatment, so that the sludge is not pushed out of the green algae treatment space S when the scraper 33 collects the algae sludge.

그리고, 상기 차단막(18)은 도 12와 같이 엑추에이터(36)에 의해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녹조처리장치(10)를 이동할 때 수중의 장애물에 손상되지 않도록 접힌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film 18 may be installed to be unfolded and folded by the actuator 36 as shown in FIG. 12, and may be moved in a folded state so as not to be damaged by an obstacle in the water when the green alga processing apparatus 10 is moved. .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이동식 녹조제거장치(10)는 노즐(14)이 부력체(11)에 설치되고, 이 부력체(11)에는 바지선(12)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지선(12)을 녹조발생장소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력체(11)를 그 곳으로 견인하는 방식으로 강이나 호수에 발생된 녹조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Mobile algae remov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barge because the nozzle 14 is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11, the barge 1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11). By moving (12) to the green algae generating place, it is possible to simply remove the algae generated in the river or lake by pulling the buoyancy body 11 there.

상기 녹조처리는, 발전기(15)의 전원공급에 의해 기포발생수단(13)이 기포를 발생하여 공급관(15)을 통해 노즐(14)에 공급하게 되면 노즐(14)이 상기 공급된 기포를 수중에 분출시키게 되고, 상기 분출된 기포가 부상하면서 수중에 발생된 녹조를 응집시켜 슬러지 형태로 만들게 되고, 이 녹조슬러지를 녹조슬러지 수집수단(16)의 스크레퍼(33)가 한 곳으로 모으면 탈수기(17)가 이를 수거하여 탈수처리하게 된다.In the green algae treatment, wh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3 generates bubbles by supplying power to the generator 15 and supplies the bubbles to the nozzle 14 through the supply pipe 15, the nozzle 14 receives the supplied bubbles underwater. When the ejected air bubbles rise to agglomerate the green algae generated in the water to form a sludge, and when the scraper 33 of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16 collects in one place, the dehydrator 17 ) Will collect and dehydrate.

이와 같은 방법으로 녹조를 처리한 다음에 바지선(12)을 이동시켜 부력체(11)를 녹조가 발생된 다른 장소로 견인하여 그 곳에서 녹조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게 된다.After the green algae are treated in this manner, the barge 12 is moved to pull the buoyancy body 11 to another place where the green algae are generated, where the green alga is treated in the same way.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바지선의 견인에 의해 노즐이 설치된 부력체를 녹조가 발생된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이나 호수에 발생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removing the green algae generated in rivers or lakes because the buoyancy bodies with nozzles installed by the barge can be moved to any place where green algae are generated.

또한, 종래와 같이 호수나 강가의 주변에 녹조처리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호수나 강 주변의 경관을 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reen algae treatment apparatus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around the lake or the river as in the prior art,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landscape around the lake or the river does not become lost.

Claims (5)

수면에 부상하는 부력체;Buoyant bodies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상기 부력체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수면에 부상하는 바지선;A barg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oyancy body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상기 바지선상에 탑재되고, 발전기의 전원공급에 의해 콘트롤러가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자흡블록에서 유입된 공기를 기포상태로 만드는 기포발생수단;A bubble generating means mounted on the barge, the controller driving the pump by the power supply of the generator and mak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magnetic absorption block into the bubble state by driving the pump; 상기 부력체 하부에 설치되고, 수중에 삽입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에 공급된 기포를 수중에 토출시켜 수중의 녹조를 부상시키는 노즐;A nozzle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body and inserted in the water to discharge the bubbles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or in the water to float the green alga in the water; 상기 기포발생수단과 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발생수단에서 생성된 기포를 노즐로 공급안내하는 공급관;A supply pipe connected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the nozzle to supply the bubble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ans to the nozzle; 상기 부력체에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된 스크레퍼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표면에 부상된 녹조슬러지를 수집하는 녹조슬러지 수집수단;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the green algae sludg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y moving the scraper is installed in the buoyancy body in an endless track type by the power of the motor; 상기 바지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에 의해 수집된 녹조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 및A dehydrator installed on the barge and dewatering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ed by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And 상기 녹조슬러지 수집수단이 녹조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 하부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And a blocking film install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so that the green algae sludge collecting means can collect the green algae slud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은 밀폐된 프레임 내부에 격벽을 격자형상으로 설치하고, 이들 격벽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에 공기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arg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in a grid shape inside the sealed frame and stores air in a closed spac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oyancy body 복수 개의 단위 파이프;A plurality of unit pipes; 상기 단위 파이프들의 양단부를 밀폐되게 연결하는 컨넥터;를 포함하며,And a connector for hermeticall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unit pipes. 여기서, 상기 컨넥터에 의해 연결된 단위 파이프의 처음과 끝을 연결하여 내측에 녹조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각 단위 파이프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면에 부상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Here, by connect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unit pipe connected by the connector to secure a space to remove the green algae sludge inside, and to inject air into each unit pipe to mov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green algae Remov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수중에 삽입되는 메인파이프;A main pip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inserted into the water; 상기 메인파이프와 연통되게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출구를 갖는 분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And a branch pip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메인파이프에 이 메인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를 연결하여, 녹조제거장치의 이동시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노즐의 분기파이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녹조제거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main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pipe of the nozzle to drive the actuator to raise the branch pipe of the nozzle when the algae removing device moves.
KR20-2003-0020119U 2003-06-25 2003-06-25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KR2003277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19U KR200327710Y1 (en) 2003-06-25 2003-06-25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119U KR200327710Y1 (en) 2003-06-25 2003-06-25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26A Division KR100506612B1 (en) 2003-07-01 2003-07-01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710Y1 true KR200327710Y1 (en) 2003-09-26

Family

ID=4933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119U KR200327710Y1 (en) 2003-06-25 2003-06-25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71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52B1 (en) A collect device of water-bloom
KR100506612B1 (en)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US11565199B2 (en) Integrated unit for intake and pretreatment with local backwashing
CN212001337U (en) Reservoir silt cleaning device
CN112673135B (en) Device for removing sludge and/or sand from the bottom of a wetland
KR200327710Y1 (en) chlorophyat removeing device
US5167841A (en) Removing material debris from body of water
JP2007319772A (en) Algae crushing device
KR100418252B1 (en) A purification method of a water guality and an installment considered a motion of fluid and bad weather in an area such as the sea,dams rivers and lakes
KR101255462B1 (en) Mobile Float Removal Device
JP3811887B2 (en) Cleaning processing equipment
KR100220270B1 (en) Aerator for pond using air supply pipe
KR102211491B1 (en) Algae removal vessel
KR101315242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venturi tube
CN215860642U (en) Desilting and conveying device for oxidation pond of cattle farm
US7767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KR101762181B1 (en) Filtering apparatus using micro bubbles for fish farm
JP2838054B2 (en) Dredging method using water pressure and structure of dredger
CN113248061A (en) A high-efficient multistage dissolved air flotation machine for sewage treatment
KR0163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using micro-bubble
KR102412607B1 (en) Buoy having algal bloom removal funtion for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0506037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JP2005052751A (en) Suspended matter recovery device and its recovery method
KR102559283B1 (en) Smart sleep decompression atmosphere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that improves microbubble rising speed
JP3651965B2 (en) Bottom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for lakes,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