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391Y1 -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 Google Patents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391Y1
KR200327391Y1 KR20-2003-0013655U KR20030013655U KR200327391Y1 KR 200327391 Y1 KR200327391 Y1 KR 200327391Y1 KR 20030013655 U KR20030013655 U KR 20030013655U KR 200327391 Y1 KR200327391 Y1 KR 200327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mpartment
quay
front wall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20-2003-0013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위차가 큰 지역에 구축하는 부두 안벽을 구축할시 구사될 수 있는 구조로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대형 크레인으로 보다 안정성과 경제적인 시공이 됨과 아울러 안벽 전면에 파랑 흡수기능을 첨가하여 파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므로써 접안한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되도록 안출한 고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Double pile up style quay of area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se and fall of the tide is large}
본 고안은 조위차가 큰 지역에 구축되는 이중 적층식 안벽구조에 대한 것으로 통상 안벽은 선박의 접안 및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을 하며 승객을 선박에 승선 또는 하선하는 용도로 구축하게 되는데, 선박이 접안하여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이 편리하도록 고려하여 구축되지만 지역에 따라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예:인천지역 조위차 약10M)에서는 조위에 따라 간조시에는 하역이 불가능 할 정도로 제약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 부두시설은 최저위(간조) 시에도 선박접안에 지장이 없도록 수심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조수간만의 차이가 별로 없는 위치의 안벽보다는 부두의 높이가 10M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그만큼 공사비가 추가되어야 함은 물론이지만 시공상 어려움이 다대한 실정이다. 그리고 안벽 구조형식은 잔교식이나 케이슨 중력식이며 대형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은 단위케이슨(C)의 높이가 20M 이상으로 높혀져야 하지만 대형 크레인 등의 인양 및 운반 장비의 한계성으로 단위케이슨의 높이를 무한정 높게 할 수도 없는등 공사 장애요인이 상존하여 왔다.
도 1은 종래 조위차가 큰 지역의 안벽 횡단면 개략도.
도 2는 종래 안벽 단위구조체만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단위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상에서의 A-A'선(횡단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상의 안벽 하부구조체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안벽 2. 육지 3. 해저면 4. 사석
5. 기초단 6, 41. 전면벽 7, 24. 배면벽 8, 25. 좌측벽
9, 26. 우측벽 10. 사각판체 Ba. 하부구조체 11, 27. 가로격벽
12, 28. 세로격벽 13, 22. 격실 14. 모래 20. 전면벽
21. 단턱 29. 해수통수공 30, 42. 방현재 40. 캡콘크리트
43. 계선주 15, 32, 34, 34a. 숫키 16, 33, 35. 암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조위차가 큰 지역에 구축하는 부두 안벽을 구축할시 구사될 수 있는 구조로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대형 크레인으로 보다 안정성과 경제적인 시공이 됨과 아울러 안벽 전면에 파랑 흡수기능을 첨가하여 파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므로써 접안한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되도록 안출한 고안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안벽(1)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육지(2)에 연한 해저면(3) 상면에 소정폭과 높이로 되는 사석(4) 기초단(5)을 구비하여 이 사석 기초단(5) 상면에 전면벽(6)과 배면벽(7)과 좌측벽(8)과 우측벽(9)과 저면판(10)으로 되는 케이슨 구조로 되는 하부구조체(Ba)를 거치하되 이 하부구조체(Ba)의 구조는 내부가 다수개의 가로격벽(11)과 세로격벽(12)으로 구획(도면상으로는 가로격벽 2개, 세로격벽 3개)하여 다수개의 격실(13)을 구비하여 이 격실에 모래(14)를 채움한 일반 케이슨 높이보다 현저히 낮은 높이의 케이슨 구조로 되는 하부구조체(Ba)를 수직으로 거치하고 이 각 격실(8)들 상단에는 사각판체(10)로 밀봉하되 이 사각판체(10)는 하부구조체(Ba) 상단에 수직으로 거치되는 상부구조체(Bb)를 거치한 다음 별도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서 형성되는 판체로 되고 이 사각판체(10) 전면 두께부에는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20)의 대략 절반이 걸쳐지는 단턱(21)이 형성되며 이 상부구조체(Bb)의 구조는 소정높이와 하부구조체(Ba)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와 하부구조체(Ba)의 격실 배치와 동일한 8개의 격실(22)이 구비되고 하부구조체(Ba)의 전면벽(6)과 일치되도록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23)과 하부구조체(Ba)의 전면벽(6)측에 위치한 두번째 가로격벽(11)과세로격벽(12)과 일치되는 배면벽(24)과 좌측벽(25)과 우측벽(26)을 가지며 상ㆍ하가 개통되며 이러한 상부구조체(Bb) 내부에도 하나의 가로격벽(27)과 4개의 세로격벽(28)으로 구획된 후방측 격실(22) 내부에도 모래(14) 채움하며 전방측 격실(22)은 파랑이 유입 소파되는 유수실이 되게 하고 이러한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에는 다수개의 직사각 해수통수공(29)이 천설되고 이 해수통수공(29) 사이에 방현재(30)가 다수개(도면상으로 2개) 장착되게 하고 이 전방측 격실(22) 상면은 상면판(31)으로 밀폐되게 하며 이러한 상부구조체(Bb) 상면측에 "ㄴ"형 횡단면으로 되는 캡콘크리트(40)를 타설하고 이 캡콘크리트(40) 전면벽(41)에도 방현재(42)를 착설하고 캡콘크리트 상면에 계선주(43)를 구비되게 하여서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상ㆍ하 적층식 안벽(1)의 구조가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32)는 숫키이고 (16)(33)은 암키로서 각 구조체 (Ba)(Bb)의 좌우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34)(34a)는 숫키이고 (35)(좌우 1쌍으로 됨)는 암키로서 하부구조체(Ba)와 상부구조체(Bb)의 적층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구조체(Ba) 상면에 상부구조체(Bb)를 적층하여 조립식으로 안벽(1)을 구축하므로 크레인 동원이 용이하고 상부구조체(Bb)와 하부구조체(Ba)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되는 사각판체(1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부구조체(Bb)와 하부구조체(Ba)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고 상부구조체(Bb) 전면에 해수통수공(29)과 유수실이 구비되어 있어 파랑의 입수반사에 의한 소파기능을 가지는 높은 높이의 안벽구조체를 구축할 수 있고 조립식이므로 공사비용이 절감되는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적층식 안벽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육지에 연한 해저면(3)의 사석기초단(5) 상면에 전면벽(6)과 배면벽(7)과 좌측벽(8)과 우측벽(9)과 저면판(10)으로 되는 케이슨 구조로 되는 하부구조체(Ba)를 거치하되 이 하부구조체(Ba)의 구조는 내부가 다수개의 가로격벽(11)과 세로격벽(12)으로 구획(도면상으로는 가로격벽 2개, 세로격벽 3개)하여 다수개의 격실(13)을 구비하여 이 격실에 모래(14)를 채움한 일반 케이슨 높이보다 현저히 낮은 높이의 케이슨 구조로 되는 하부구조체(Ba)를 수직으로 거치하고 이 각 격실(8)들 상단에는 사각판체(10)로 밀봉하되 이 사각판체(10)는 하부구조체(Ba) 상단에 수직으로 거치되는 상부구조체(Bb)를 거치한 다음 별도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서 형성되는 판체로 되고 이 사각판체(10) 전면 두께부에는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20)의 대략 절반이 걸쳐지는 단턱(21)이 형성되며 이 상부구조체(Bb)의 구조는 소정높이와 하부구조체(Ba)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와 하부구조체(Ba)의 격실 배치와 동일한 8개의 격실(22)이 구비되고 하부구조체(Ba)의 전면벽(6)과 일치되도록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23)과 하부구조체(Ba)의 전면벽(6)측에 위치한 두번째 가로격벽(11)과 세로격벽(12)과 일치되는 배면벽(24)과 좌측벽(25)과 우측벽(26)을 가지며 상ㆍ하가 개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구조체(Bb) 내부에도 하나의 가로격벽(27)과 4개의 세로격벽(28)으로 구획된 후방측 격실(22) 내부에도 모래(14) 채움하며 전방측 격실(22)은 파랑이 유입 소파되는 유수실이 되게 하고 이러한 상부구조체(Bb)의 전면벽에는 다수개의 직사각 해수통수공(29)이 천설되고 이 해수통수공(29) 사이에 방현재(30)가 다수개(도면상으로 2개) 장착되게 하고 이 전방측 격실(22) 상면은 상면판(31)으로 밀폐되게 하며 이러한 상부구조체(Bb) 상면측에 "ㄴ"형 횡단면으로 되는 캡콘크리트(40)를 타설하고 이 캡콘크리트(40) 전면벽(41)에도 방현재(42)를 착설하고 캡콘크리트 상면에 계선주(43)를 구비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KR20-2003-0013655U 2003-05-01 2003-05-0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KR200327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55U KR200327391Y1 (ko) 2003-05-01 2003-05-0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55U KR200327391Y1 (ko) 2003-05-01 2003-05-0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44A Division KR100629225B1 (ko) 2003-05-01 2003-05-0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391Y1 true KR200327391Y1 (ko) 2003-09-19

Family

ID=4941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655U KR200327391Y1 (ko) 2003-05-01 2003-05-01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020B2 (en) Auxiliary float of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remodeling floating structure
KR102169903B1 (ko) 선형 구조물
KR101448092B1 (ko)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CN212956358U (zh) 一种斜坡式防波堤结构
US3999396A (en) Marine platform assembly
CN112078739B (zh) 一种半潜平台
KR100629225B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KR101386626B1 (ko)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200327391Y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이중 적층식 안벽
KR200272975Y1 (ko)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KR100350096B1 (ko)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FI62881B (fi) Sjaelvlyftande havsflotteanordning
KR200266898Y1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 방파제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KR100505089B1 (ko) 케이슨 및 엘형 선반식 혼용안벽
AU2006313645B2 (en) Harbour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said structure
JP3479619B2 (ja) 上甲板に浮力体を有する船舶
JP2001336133A (ja) 海水循環防波堤
KR200333395Y1 (ko) 선박접안시설용 조립식 케이슨 구조
CN212766635U (zh) 一种舱底结构及坐底驳船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200259243Y1 (ko) 적층식 케이슨 안벽구조
CN212742398U (zh) 一种可用于极端波浪条件下的新型码头系泊结构
KR19990020063U (ko) 방파제 두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