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327Y1 -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327Y1
KR200327327Y1 KR20-2003-0020539U KR20030020539U KR200327327Y1 KR 200327327 Y1 KR200327327 Y1 KR 200327327Y1 KR 20030020539 U KR20030020539 U KR 20030020539U KR 200327327 Y1 KR200327327 Y1 KR 20032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reciprocating
support
upper guid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관
Original Assignee
김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관 filed Critical 김행관
Priority to KR20-2003-0020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복수층으로 형성된 스티커의 일부층을 절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필요한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하로 왕복운동하면서 스티커를 제작하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되어 착탈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칼작업왕복부재 (33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상단부에 복수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부재 (34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314)에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전면지지부(312)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에 고정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310)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될 경우 이동하지 못하도록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재(32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 (3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스티커의 형상에 따라 절단작업을 하게 되는 반칼부재 (35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top and bottom shifting apparatus in half cutting work}
본 고안은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층으로 형성된 스티커의 일부층을 절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필요한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하로 왕복운동하면서 스티커를 제작하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복수층으로 형성된 스티커를 형성하기 위해 일부층만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장치는 기계장치가 복잡하고 정밀도가 저하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최근에 이르러 제품의 각종 전자제품의 품질이 고급화되면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각종 스티커의 품질도 함께 고급화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층으로 형성된 스티커의 일부층만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각종 스티커를 제조할 경우 상하 왕복운동하는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는, 스티커반칼장치(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200)과,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된 칼날부(355)에 의해 스티커 형상의 반칼작업을 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과,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 (300)의 하단부에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에 대응되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반칼작업지지수단(400)과,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이 착탈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반칼작업고정수단 (500)과,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5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 (50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수단(700)과, 상기 고정지지수단(700)의 모서리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과,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외부지지수단(800)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2321)이 형성되어 있는 조정몸체(232)와, 상기 조정몸체(232)에 형성된 조정구멍(2324)을 매개로 하여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나사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 좌우조정연결부재(234)와,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36)와, 상기 조정구멍(2324)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너트 (237)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조정부재(230)와;
상기 좌우조정부재(230)의 조정으로 인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몸체(271)와, 상기 상측가이드몸체(271)가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280)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270)와;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83)와, 상기 손잡이부 (283)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돌출되도록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 (300)을 지지하게 되는 편심지지부(285)와, 상기 손잡이부(283)의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경부(284)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체결부재(292)와, 상기 체결부재(292)의 일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나사부(293)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283)를 잡아당겼을 때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287)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재 (2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분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상하이동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상측가이드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반칼작업왕복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반칼작업왕복수단의 하단부에 형성된 칼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티커반칼장치 200 : 상하이동수단
230 : 좌우조정부재 236 : 손잡이부
250 : 상측고정체결부재 270 : 상측가이드부재
280 : 회전지지부재 300 : 반칼작업왕복수단
320 : 거리조정부재 330 : 반칼작업왕복부재
340 : 슬라이딩지지부재 346 : 테이퍼부
350 : 반칼부재 400 : 반칼작업지지수단
500 : 반칼작업고정수단 600 : 상하이동가이드수단
700 : 고정지지수단 800 : 외부지지수단
본 고안의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며, 100은 스티커반칼장치이며, 상기 스티커반칼장치(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200)과,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된 칼날부(355)에 의해 스티커의 반칼작업을 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과,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하단부에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에 대응되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반칼작업지지수단(400)과, 상기반칼작업지지수단(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이 착탈가능하도록 가이드되도록 지지하는 반칼작업고정수단(500)과,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 (5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50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수단(700)과, 상기 고정지지수단(700)의 모서리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과,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외부지지수단(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에는 외측면에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삽입되어 베어링(213)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212)과, 좌우조정부재(230)가 결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217)과,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공구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오목부(242)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하단부에 고정되도록 결착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착탈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상측가이드부재(270)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거리를 조정하게 되는 좌우조정부재(230)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 및 상측가이드부재(270)가 이탈되지 않고 일체로 결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좌우조정부재(230)의 조정으로 거리조정이 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고정체결부재(25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조정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분해사시도에서와 같이, 상하 왕복동작하는 상기 반칼부재(350)에 의해서 스티커의 절단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반칼부재(350)가 스티커의 절단위치와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반칼부재(350)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상기 반칼부재(350)를 구성하는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슬라이딩되면서 착탈되는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통상의 체결수단인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구멍(2321)이 형성되어 있는 조정몸체 (232)와, 상기 조정몸체(232)에 형성된 조정구멍(2324)을 매개로 하여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나사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 좌우조정연결부재(234)와,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36)와, 상기 조정구멍 (2324)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너트(237)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조정연결부재(234)에는 상기 조정구멍(2324)에 삽입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를 조정하도록 나사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2342)와, 상기 조정구멍(2324)에 삽입될 경우 걸림작용을 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34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36)에는 외주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깔쭈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에 결착시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2364)과, 상기 삽입부(2341)가 삽입되어 결착되도록 일정깊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236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측고정체결부재(250)에 의한 결착으로 상기 상하이동몸체(202)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조정부재(230)의 조정으로 인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몸체(271)와, 상기 상측가이드몸체(271)가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28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가이드몸체(271)에는 상기 상측고정체결부재(250)에 의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결착되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공체결구멍(272)과,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체결구멍(273)과, 상기 상측가이드몸체(271)의 하단부 양측면에 절개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절개부(274)와, 상기 회전지지부재(280)와 결착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나사부(27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재(280)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83)와, 상기 손잡이부(283)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돌출되도록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을 지지하게 되는 편심지지부(285)와, 상기 손잡이부(283)의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경부(284)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체결부재(292)와, 상기 체결부재(292)의 일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나사부 (293)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283)를 잡아당겼을때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287)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지지부재(280)의 내경부(284)에 삽입되어 있는 나사부(293)가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된 후 사용자가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283)를 당겨서 상기 편심지지부(285)부분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일측면이 편심되게 돌출되어 있는 편심지지부(285)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슬라이딩되어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을 외측에서 지지하여 작업중에 움직임이 없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되어 착탈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몸체인 반칼작업왕복부재(33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상단부에 복수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부재(34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314)에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전면지지부 (312)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에 고정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310)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될 경우 이동하지 못하도록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재(32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스티커의 형상에 따라 절단작업을하게 되는 반칼부재(350)와, 스티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절단하게 되는 칼날부(355)와, 상기 칼날부(355)의 외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칼날부(355)가 절단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쿠션으로 압축되어 높이가 감소하게 되는 쿠션지지부(35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는 상기 슬라이딩지지부재(340) 및 전면지지부 (312) 등이 결착되도록 외측면에 복수개의 나사 및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과 대응되어 작업이 진행되도록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나,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지지부재(340)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양측면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346)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에 결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344)과,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슬라이딩될 경우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절개부(3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지지부(312)는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전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314)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착되어 상기 손잡이부(310) 및 거리조정부재(320)를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280)에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심지지부(285)를 회전시켜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 지지하므로서 작업중에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 전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부재(322)는 사용자가 스티커의 형태에 따라 상기 좌우조정부재(230)를 이용하여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을 좌우로 조정한 후 조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작업중에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형성된 지지나사부(276)로 결착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체결구멍 (212)에 삽입되어 베어링(213)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의 상측에는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체결구멍 (212)에 삽입된 후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일체로 동작하도록 고정되는 나사부(613)와, 하단부에는 상기 나사부(614)에 결착되도록 너트(61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지지수단(800)은 본 장치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그 내부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상하왕복운동하면서 반칼작업을 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고정지지수단(7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 및 왕복운동장치가 동작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왕복운동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상기 체결구멍(212)에 형성된 베어링(213)에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의 상측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체결구멍(212)에 삽입되어 일체로 동작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하이동수단(200)도 일체로 상하로 왕복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이 상하로 왕복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하측에 복수개의 체결구멍(273) 및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270)도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함께 상하로 왕복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슬라이딩되어 착탈가능하도록 결착되어 있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도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재(280)의 편심지지부(285)가 회전하면,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어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87)에 의해서 편심되어 있는 편심지지부 (285)가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서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이 상하로 왕복운동시 일체로 동작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부재(280)가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외측면에 일체로 동작하도록 지지하게 되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도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함께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반칼부재(350)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측가이드부재 (270)의 위치를 잘 조정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조정부재(230)를 이용하여 좌우 거리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전면지지부(312)에 형성되어 있는 거리조정부재(320)를 이용하여 전후 거리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손잡이부(236)를 잡고 회전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236)의 체결구멍(2364)에 결착되어 있는 좌우조정연결부재(234)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의 타단부인 상기 나사부(2342)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일측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장공체결구멍(272)에 나사로 결착되므로서 밀거나 당기거나 하여 상기 반칼부재(350)의 위치에 따라 거리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체결구멍(272)이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측고정체결부재(250)의 하단부에 결착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과 상측가이드부재(270)가 일체로 동작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좌우조정부재(230)의 조정으로도 장공체결구멍(272)이 형성된 장공형상의 거리만큼 좌우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을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슬라이딩되도록 결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구멍 (314)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부(310)를 잡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지지부재(340)가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삽입되도록 맞춘후 슬라이딩시켜 밀게 되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결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하측에 형성된 반칼부재(350)의 전후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지지부(312)에 형성되어 있는 거리조정부재(320)를 회전시켜 조정하게 되면 상기 거리조정부재(320)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나사부 (276)에 나사결착되면서 전후의 거리를 맞추게 되고, 한편으로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상하왕복 동작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좌우조정부재 (230)를 이용하여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반칼부재(350)가 스티커에 맞도록 전후 좌우의 위치조정을 한 후 상기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이 상하왕복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500)의 상측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스티커의 상측에 사용자가 요청한 일정한 두께만을 절개하므로서 스티커의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는, 복수층으로 형성된 스티커의 일부층만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각종 스티커를 제조할 경우 상하 왕복운동을 정밀하게 가이드하므로서 절단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게다가 스티커의 절단작업의 위치를 조정시 간편하게 조정하므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스티커반칼장치(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수단(200)과,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스티커의 반칼작업을 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과,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의 하단부에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에 대응되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반칼작업지지수단(400)과,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지지수단(400)이 착탈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반칼작업고정수단(500)과,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5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고정수단(500)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수단(700)과, 상기 고정지지수단(700)의 모서리에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상하이동가이드수단(600)과,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외부지지수단(800)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은 상기 상하이동수단(20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체결구멍(2321)이 형성되어 있는 조정몸체(232)와, 상기 조정몸체(232)에 형성된 조정구멍(2324)을 매개로 하여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에 나사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 좌우조정연결부재(234)와, 상기 좌우조정연결부재(234)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36)와, 상기 조정구멍(2324)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너트 (237)로 형성되어 있는 좌우조정부재(230)와;
    상기 좌우조정부재(230)의 조정으로 인해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몸체(271)와, 상기 상측가이드몸체(271)가 일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280)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가이드부재(270)와;
    사용자가 잡고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283)와, 상기 손잡이부 (283)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돌출되도록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 (300)을 지지하게 되는 편심지지부(285)와, 상기 손잡이부(283)의 내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경부(284)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체결부재(292)와, 상기 체결부재(292)의 일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나사부(276)에 결착되는 나사부(293)와, 상기 내경부(284)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283)를 잡아당겼을 때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이 삽입되어 있는 탄성부재(287)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재 (2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은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되어 착탈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칼작업왕복부재(33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상단부에 복수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슬라이딩절개부(274)에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부재(34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멍(314)에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착되어 있는 전면지지부(312)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에 고정결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 (310)와, 상기 전면지지부(3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칼작업왕복수단(300)이 상기 상측가이드부재(27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될 경우 이동하지 못하도록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재(320)와, 상기 반칼작업왕복부재(3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스티커의 형상에 따라 절단작업을 하게 되는 반칼부재(350)와, 스티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절단하게 되는 칼날부(355)와, 상기 칼날부 (355)의 외측을 지지하면서 절단작업시 압축되는 쿠션지지부(356)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KR20-2003-0020539U 2003-06-27 2003-06-27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KR20032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39U KR200327327Y1 (ko) 2003-06-27 2003-06-27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39U KR200327327Y1 (ko) 2003-06-27 2003-06-27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327Y1 true KR200327327Y1 (ko) 2003-09-19

Family

ID=4933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39U KR200327327Y1 (ko) 2003-06-27 2003-06-27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080289A (zh) 动力工具
KR200327327Y1 (ko) 반칼작업의 상하이동장치
CN212763909U (zh) 按动锁轴式电木铣
CN212469812U (zh) 一种用于机械设备非标件加工的钻孔装置
US10286515B2 (en) Slug retention groove form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and operation thereof
CN111842958A (zh) 一种用于薄壁形板类的打孔装置
EP1520638B1 (en) Pierce cam
CN1128033C (zh) 台式键槽插床
KR200327326Y1 (ko) 반칼작업의 경사각조정장치
EP3487662B1 (en) Improved slug retention groove forming machine
CN212634708U (zh) 一种激光加工装置
KR20120001182A (ko) 전동톱
CN219379736U (zh) 一种钢材加工用定位打孔装置
CN212551208U (zh) 冲压床螺杆调整式传动装置
CN219901392U (zh) 一种磨刀模具
CN217195728U (zh) 一种调刀滑块机构和模切刀座
CN219563387U (zh) 一种瓦楞纸板打孔装置
CN217967332U (zh) 操场橡胶便携式开孔装置
CN220426510U (zh) 一种冲孔装置
CN219276283U (zh) 一种晶片切割装置
CN219562977U (zh) 一种防变形可调式把手
JP2503208Y2 (ja) 両面開先取り機
CN219649260U (zh) 一种钻床锁紧机构
CN217799426U (zh) 一种五金件加工用可调节的内螺纹加工装置
CN221087122U (zh) 一种弹簧生产用具有定位机构的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