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61Y1 -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 Google Patents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61Y1
KR200326561Y1 KR20-2003-0016935U KR20030016935U KR200326561Y1 KR 200326561 Y1 KR200326561 Y1 KR 200326561Y1 KR 20030016935 U KR20030016935 U KR 20030016935U KR 200326561 Y1 KR200326561 Y1 KR 20032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mantling
formwork
concrete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기
Original Assignee
이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기 filed Critical 이흥기
Priority to KR20-2003-0016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사방에 형성된 프레임에 다수개의 해체구멍을 형성하여, 이 해체구멍을 이용해 콘크리트 양생후 콘트리트와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후 콘크리트와 단단하게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은 이를 분리 해체하기 위하여 해체핀(wedge-pin)을 거푸집 프레임에 형성된 해체핀끼움구멍에 끼운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해체구의 걸이부를 해체핀에 걸고 해체구를 밀어 거푸집을 분리 해체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매번 해체핀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잡업중 해체핀이 해체핀구멍에서 이탈 할 경우 작업자가 부상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푸집(1)의 프레임(2) 사방에 다수개의 해체구멍(4)을 형성한 것으로 콘크리트(12) 양생이 끝나 거푸집(1)을 분리 해체 할때 프레임(2)에 형성된 해체구멍(4)에 해체구(8)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부(9)를 걸고 해체구(8)의 받침부(10)를 양생된 콘크리트(12)에 맞댄 후 해체구(8)의 또 다른 일측단에 형성된 손잡이(11)를 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거푸집(1)이 콘크리트(12)에서 떨어져 이탈 되도록 한 것으로, 양생된 콘크리트(12)에서 거푸집(1)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분리 이탈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A Mold Separation hole}
본 고안은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사방에 형성된 프레임에 다수개의 해체구멍을 형성하여, 이 해체구멍을 이용해 콘크리트 양생후 콘트리트와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을 손쉽게 분리 해체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다수개의 거푸집을 연결핀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틀을 만들고 틀 안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양생하는데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12) 양생이 끝난 거푸집(1)을 해체하기 위하여,
거푸집(1)의 프레임(2) 사방에 형성된 다수개의 해체핀끼움구멍(3)에 해체핀(wedge-pin)(7)을 끼운후 해체구(8)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부(9)를 해체핀(7)에 걸고 해체구(8)에 형성된 받침부(10)를 양생된 콘크리트(12)에 맞댄 후 해체구(8)의 다른 일측단에 형성된 손잡이(11)를 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걸이구(9)에 걸린 해체핀(7)에 거푸집(1)이 콘크리트(12)에서 떨어져 나가도록 큰 힘이 가해져 양생된 콘크리트(12)에 밀착된 거푸집(1)이 분리 해체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해체핀(7)을 해체핀끼움구멍(3)에 매번 끼워 거푸집(1)을 분리 해체 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작업속도가 느리고, 해체핀(7)이 작업중 이탈될 경우 작업자가 부상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에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을 분리 해체 할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하면서도 작업중 부상 위험을 방지하는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해체핀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해체구멍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분리 해체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해체구멍이 형성된 또다른 거푸집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고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거푸집
2: 프레임
3: 해체핀끼움구멍
4: 해체구멍
7: 해체핀(wedge-pin)
8: 해체구
9: 걸이부
10: 받침부
11: 손잡이
12: 콘크리트
13: 모서리거푸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12)를 양생할때 사용되는 프레임(2)이 구비된 거푸집(1)에 있어서,
거푸집(1)의 프레임(2) 사방에 해체구(8)의 걸이부(9)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해체구멍(4)을 형성하여 해체구멍(4)에 끼워진 해체구(8)를 밀면 해체구멍(4)에 외력이 가해져 거푸집(1)이 양생된 콘크리트(12) 면에서 분리 해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방에 프레임(2)이 형성된 거푸집(1)에 있어서,
거푸집(1)의 프레임(2) 사방에 다수개의 해체구멍(4)을 형성하여 콘크리트(12) 양생이 끝나 거푸집(1)을 분리 해체 할때 프레임(2)에 형성된 해체구멍(4)에 해체구(8)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부(9)를 걸고 해체구(8)의 받침부(10)를 양생된 콘크리트(12)에 맞댄 후 해체구(8)의 또 다른 일측단에 형성된 손잡이(11)를 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걸이구(9)에 걸린 해체구멍(4)에 거푸집(1)이 콘크리트(12)에서 떨어져 나가도록 큰 힘이 가해져 거푸집(1)이 양생된 콘크리트(12)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분리 해체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해체구멍(4)은 모서리거푸집(13)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1)에 모두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1)의 프레임(2)에 해체구(8)의 걸이부(9)가 끼워지도록 해체구멍(4)을 형성한 것으로,
콘크리트(12)가 양생된 후 거푸집(1)을 해체 할 때 작업시간이 대폭 절감되고, 거푸집(1)의 파손을 줄이며, 해체핀(7)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중 해체핀(7)의 이탈로 인한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방지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크리트(12)를 양생할때 사용되는 프레임(2)이 구비된 거푸집(1)에 있어서,
    거푸집(1)의 프레임(2) 사방에 해체구(8)의 걸이부(9)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해체구멍(4)을 형성하여 해체구멍(4)에 끼워진 해체구(8)를 밀면 해체구멍(4)에 외력이 가해져 거푸집(1)이 양생된 콘크리트(12) 면에서 손쉽게 분리 해체 되도록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KR20-2003-0016935U 2003-05-30 2003-05-30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KR200326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35U KR200326561Y1 (ko) 2003-05-30 2003-05-30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35U KR200326561Y1 (ko) 2003-05-30 2003-05-30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61Y1 true KR200326561Y1 (ko) 2003-09-19

Family

ID=4941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935U KR200326561Y1 (ko) 2003-05-30 2003-05-30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01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20180089805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801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20180089805A (ko) * 2017-02-01 2018-08-09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KR101966226B1 (ko) * 2017-02-01 2019-04-05 박한웅 거푸집 패널 벽체
KR102022239B1 (ko) * 2017-02-01 2019-09-19 박한웅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6561Y1 (ko) 해체구멍이 형성된 거푸집
JP2008188978A (ja) 穴明形セメントレンガ用成形型枠
KR20090000525U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1135359B1 (ko) 블록용 거푸집
KR19990035156U (ko) 건축용거푸집고정장치
JP4026685B2 (ja) 固定具およびスラブ型枠の解体方法
CA2984737C (en) Forming apparatus
US7549616B1 (en) Molding device for molding parts
JP2710749B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底型枠脱型方法
KR100371057B1 (ko) 유로폼용 탈형공구
KR200326545Y1 (ko) 거푸집 탈형 공구
CN113202309A (zh) 拆卸工具
KR100820218B1 (ko) 거푸집판 체결구
KR100916807B1 (ko)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KR200410980Y1 (ko) 탈형홈을 갖는 유로폼
JP2001073555A (ja) 凹部埋め具
JP3629846B2 (ja) 成形型
CN214272903U (zh) 一种建筑混凝土用便于拆卸的塑形模板
KR102503259B1 (ko) 슬라브형틀 분리기구
CN208578826U (zh) 一种固定销结构
KR200355787Y1 (ko) 거푸집 체결구조
KR200342269Y1 (ko) 거푸집 체결구조
JP2003184305A (ja) 型枠組立て用のフックボルト
JP2011045440A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530231A (zh) 拆模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