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216Y1 -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216Y1
KR200326216Y1 KR20-2003-0019053U KR20030019053U KR200326216Y1 KR 200326216 Y1 KR200326216 Y1 KR 200326216Y1 KR 20030019053 U KR20030019053 U KR 20030019053U KR 200326216 Y1 KR200326216 Y1 KR 200326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food
sauce
food proces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2003-0019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5/00Apparatus for mix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력공기를 매개로 다수개의 홀(11-1)을 통해 소스(S)를 식품가공물(A)에 주입하게 되는 소스주입기구(11)와, 소스가 저장되는 소스저장구(12)와, 저장된 소스(S)가 공기압에 의해 분무호스(14)를 통해 소스주입기구(11)로 배출하게 되는 소스분무기(13) 및 작동스위치(14)로 이루어져, 식품가공물(A)에 소스를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주사침과 같은 소스주입기구를 이용해 음식물의 내부로 소스를 주사함에 의해, 소스가 음식물 속까지 골고루 침투하여 음식물의 맛을 가일층 좋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리시 소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스가 타지않아 조리된 음식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food processing device}
본 고안은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스가 음식물 속까지 골고루 침투하여 음식물의 맛을 가일층 좋게 하면서도 굽거나 익힐때 소스가 타지않아 조리된 음식물의 상품성이 향성되도록 한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은 소스(양념)를 첨가하여 굽거나 익혀서 먹게 되는데, 이 경우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소스 속에 음식물을 담근 후 일정시간이 지난후 즉 약념이 골고루 침투한후에 구워서 먹거나, 소스를 음식물 외표면에 바른후에 즉석에서 굽거나 익혀서 먹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소스가 음식물 내면까지 골고루 침투하지 못하여 소스를 통한 음식물의 맛이 일정하지 못하거나 최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스를 절이거나 소스를 외표면에 발라서 굽게 되면, 강한불로 인해 소스가 타게 되고, 이것을 섭취하게 되면 건강에 이롭지 못한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주사침을 이용해 음식물의 내부로 소스를 주사함에 의해, 소스가 음식물 속까지 골고루 침투하여 음식물의 맛을 가일층 좋게 하면서도 굽거나 익힐때 소스가 타지않아 조리된 음식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된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의 구성요소인 소스주입기구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스주입장치, 11 --- 소스주입기구,
12 --- 소스저장구, 13 --- 소스분무기,
14 --- 소스분무호스, 15 --- 작동스위치,
20 --- 이송수단, 30 --- 훈제장치,
40 --- 절단기, 50 --- 포장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압력공기를 매개로 다수개의 홀을 통해 소스를 식품가공물에 주입하게 되는 소스주입기구와, 소스가 저장되는 소스저장구와, 저장된 소스가 공기압에 의해 분무호스를 통해 소스주입기구로 배출하게 되는 소스분무기 및 작동스위치로 이루어져, 식품가공물에 소스를 주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가공장치의 구성요소인 소스주입기구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스주입장치(10)는 소스저장구(12)에 저장된 소스(S)가 소스분무기(13)에서 발생된 공기압에 의해 분무호스(14)를 통과하여 내려오는 압력공기를 매개로 소스주입기구(11)를 통해 식품가공물에 주입되는 것이다. 즉 소스주입기구(11)가 식품가공물을 관통하여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 형성된 홀(11-1)을 통해 소스(S)가 식품가공물에 골고루 주입되는 것이다.
상기 소스주입기구(11)는 통상 주사기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외벽에 다수의 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소스주입기구(11)는 소스저장구(12)의 바닥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소스저장구(12)에 저장된 소스(S)가 소스주입기구(1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스주입기구(11)의 간격은 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 소스(S)가 주입된 상태에서 식품가공물(A)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더욱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먼저 미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식품가공물(A)이 콘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수단(20)에 올려진 다음, 작동스위치(15)를 누르게 되면 상기 소스주입장치(10)를 통과하면서 식품가공물(A)에 소스(S)가 골고루 주입된다. 이어 식품가공물(A)은 이송수단(20)을 통해 진행방향으로 진행되면서 훈제장치(30)에 도착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식품가공물(A)이 훈제되면서 상기 소스주입시 형성된 주입홀이 닫혀지면서 주입된 소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식품가공물(A)은 이송수단(20)을 통해 통상의 절단기(40)에 도착하게 되고, 여기서 식품가공물(A)이 포장단위 만큼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된 식품가공물(A)은 다시 포장장치(50)를 통해 개별포장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개별포장된 식품가공물(A)은 유통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완성된 식품가공물(A)은 주사기와 같은 소스주입기(11)를 통해 소스가 주입된 상태이고, 소스주입기(11)의 간격이 조밀함에 따라 소스(S)는 식품가공물(A)에 골고루 양념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조리된 식품가공물(A)의 맛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공된 식품가공물(A)은 조리시 외부에 소스가 노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쉽게 타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식품가공물(A)은 생선,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와 같은 육류, 야채등이 될 수 있다. 즉 양념을 할 수 있는 모든 음식물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주사침을 이용해 음식물의 내부로 소스를 주사함에 의해, 소스가 음식물 속까지 골고루 침투하여 음식물의 맛을 가일층 좋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시 소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스가 타지않아 조리된 음식물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력공기를 매개로 다수개의 홀(11-1)을 통해 소스(S)를 식품가공물(A)에 주입하게 되는 소스주입기구(11)와, 소스가 저장되는 소스저장구(12)와, 저장된 소스(S)가 공기압에 의해 분무호스(14)를 통해 소스주입기구(11)로 배출하게 되는 소스분무기(13) 및 작동스위치(14)로 이루어져, 식품가공물(A)에 소스를 주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KR20-2003-0019053U 2003-06-17 2003-06-17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KR200326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53U KR200326216Y1 (ko) 2003-06-17 2003-06-17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53U KR200326216Y1 (ko) 2003-06-17 2003-06-17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107A Division KR101019760B1 (ko) 2003-06-17 2003-06-17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216Y1 true KR200326216Y1 (ko) 2003-09-17

Family

ID=4933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53U KR200326216Y1 (ko) 2003-06-17 2003-06-17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2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18B1 (ko) * 2011-06-15 2011-12-05 정우용 타공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018B1 (ko) * 2011-06-15 2011-12-05 정우용 타공식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1390A1 (en) Pet food treats, pet food treats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the pet food treats
US6045841A (en) Method of pre-cooking sliced bacon
WO1999004654A1 (en) Continuous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pre-cooked bacon
KR20150114263A (ko) 훈제 막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포장막창
US2021024405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ous vide cooking and enzyme tenderization
KR20210119820A (ko) 소스주입을 통해 상품성이 향상된 식품가공방법 및 식품가공장치
KR20050081914A (ko) 쌀피로 감싼 꼬치 및 그 조리방법
KR200326216Y1 (ko)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US67434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oned pork products
KR101019760B1 (ko) 소스주입을 통한 식품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0676380B1 (ko) 육류의 소스 주입장치
US7666075B1 (en) Rib meat product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1413003B1 (ko) 스팀가공 및 훈연가공 처리된 편육의 제조방법
CN109363102A (zh) 一种鱼骨海鲜烤肠的风味调制方法
KR102317294B1 (ko) 풍미가 개선된 돼지막창 제조방법
JP3178786B2 (ja) 容器入り冷凍食品の調理方法
KR101266960B1 (ko) 모듬전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듬전
US20230276837A1 (en) Process for preparing battered food
US20220287353A1 (en) Process for preparing battered food
US20050118315A1 (en) Method of cooking a frozen turkey
US20150342239A1 (en) Method for smoking meat
JP2003033162A (ja) 食材の加熱方法、蒲焼の加工方法、蒲焼装置及び蒲焼用のスモ−ク原料の製造方法
Pearson et al. Meat cookery and cooked meat products
JP2020078258A (ja) ステーキ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72013A (ko) 요리가 빵 안에 상당히 밀봉되어 있는 햄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