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017Y1 -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 Google Patents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017Y1
KR200326017Y1 KR20-2003-0003452U KR20030003452U KR200326017Y1 KR 200326017 Y1 KR200326017 Y1 KR 200326017Y1 KR 20030003452 U KR20030003452 U KR 20030003452U KR 200326017 Y1 KR200326017 Y1 KR 200326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hotochemical
tissues
arthritis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임원봉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20-2003-0003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화학적 생리 작용을 이용한 관절의 보호 및 치료기로서,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에서는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와 다수의 LED를 발광시켜 환부와 접촉하게 하면 관절 조직에 광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생리작용이 활성화되고, 관절 조직의 재생 및 일상적인 관절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관절염 치료제 혹은 치료기의 경우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복용으로 인한 만성적 위궤양이 발병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관절 보호대의 경우에서도 특정 치료 효과를 갖지는 못하고 단순히 보호 목적으로만 사용 되었다.
본 제품은 사용 시 관절 조직에 광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연골 조직 세포에 작용 하여 조직의 분열과 성장을 촉진 시키고 조직의 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여 손상된 조직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어레이 플렉시블 PCB가 내장된 보호대를 사용하여 착용 시 불쾌감이 없고 만성적인 관절염의 경우 연속적인 착용이 가능하여 관절의 치료 효과를 지속시켜 준다.
따라서 기존 관절염 치료제나 관절염 치료기의 사용시 불편함과 단점을 해소하여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한 획기적인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The portable therapeutic tool applied photochemical treatment for joint protection}
본 고안은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에 관한 발명이다.
광화학 요법이란 세포나 생체 조직에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600nm에서 890nm까지의 선택적 파장과 1~500mW 급의 저출력의 세기를 가진 빛이 조사되면 특정요소의 에너지 준위가 높아지고 세포나 조직 단위가 활성화 되어 에이티피(ATP) 합성 촉진, 세포분열 촉진, 조직 재생 촉진, 조직 대사 촉진 등의 생리적 결과를 갖는다. 이러한 광화학 반응을 이용한 생리작용은 광요법(Phototherapy)라는 이름으로 1989년 마요 클리닉(Mayo clinic)에서 연구되어져 왔다. 그에 따르면 광화학 요법은 특정 파장의 빛자체로서 직접적인 영향을 갖으며 레이저의 특징인 코히런스나 편광성의 특징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메이 클리닉의 물리치료와 재활치료부의 제퍼리(Jeffrey R. Basford, M.D)는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치료시 레이저의 코히런스 특성이 치료에 영향이 되지 못하고, 레이저가 아닌 빛의 조사 자체가 생체 자극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고, 피부에의 조사는 광섬유를 사용한 시스템의 경우 많은 실험에서 코히런스성이 낮아졌기 때문에 레이저에 의한 효과는 빛의 일반적인 효과에 따른 것이지 레이저의 코히런스 특성에 따른 영향은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Laser in Surgery and Medicine, 9:1-5, Mayo Clini, Rochester, Minnesota, 1989)
케네드릭 씨 스미스(Stanford Univ. School of Medicine)의 연구 결과 에서도 저출력 레이저 조사에 따른 광조사의 생물학적 영향에서 (Laser Therapy, Vol.3, No.1,Jan-Mar 1991) 저출력의 레이저 조사는 치료 효과가 있는 광 생물학적 또는 광 물리적 효과를 갖고, 조사된 빛은 생체 조직의 흡수에 의해 반드시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생물학적인 반응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해외 각 국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상처 치유를 위해 손상된 조직에 근 적외선 파장의 저에너지의 레이저로 자극을 가하여 세포내 활성을 촉진시켰다고 보고하였다.(Beauvoit, 1989, 1995; Eggert, 1993; Karu, 1989; Lubart, 1992, 1997; Salansky, 1998; Whelan, 1999; Yu, 1997)
이에 나사(NASA)에서는 실험실 단위로서 엘이디의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조직의 상처치유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미국 에프디에이(FDA)의 승인을 받아 실험을 수행하여 향상된 치료효과를 확인 하였다.(NASA light emitting diode medical applications from deep space to deep sea, 2001,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본 고안은 그에 따른 생리 작용을 응용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제품에 부착된 저출력 레이져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를 발광시켜 환부와 접촉하게 하면 관절 조직에 광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연골의 재생과 관절 조직의 대사가 촉진되어 관절염 등의 만성적 관절 조직의 질환의 치료를 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하여 관절 보호대의 형태로서 고안되어 평상시에도 지속적인 착용으로 꾸준한 치료를 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관절염 치료기 혹은 치료제의 경우 대부분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여 이로 인하여 초기 사용시에만 잠시 가뿐함을 느낄 뿐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의 통증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또한 복용으로 인한 만성적 위궤양이 발병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고 관절 보호대의 경우에서도 특정 치료 효과를 갖지는 못하고 단순히 보호 목적으로만 사용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관절염 치료기나 치료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광화학 반응을 발생시켜 관절염 치료 효과의 극대화와 꾸준한 착용으로 인한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위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해 착용시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평상시 관절의 보호를 위한 보호대의 역할까지도 가능한 관절 치료 보호 효과를 추구하는 데 있다.
도 1은 제품의 뒷면 평면도
도 2는 제품의 앞면 평면도
도 3은 제품의 단면도
도 4는 제품의 시스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탄력성 밴드 2: 벨크로 테이프
3: 반도체 레이저 또는 LED 소자 4: 플럭시블 지지대
5: 제어부 6: 표시부
7: 전원 공급부 8: 전원/기능 선택스위치
상기 본 고안의 목적,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들 내에서 서로 동일내지 유사한 부분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 내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기재하였다.
본 제품은 광화학적 관절 조직 활성을 위한 반도체 저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가 내장된 광 발생장치와 조사광의 순간출력과 조사시간을 설정해 주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제어시키는 전원의 공급과 기능 선택하는 제어장치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장치가 있으며 이에 각 장치가 부착된 탄성있는 지지대를 갖춘 관절 보호대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제품의 뒷면 평면도를 나타내었으며 외형상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3)가 다수 배열되고 이의 사이에 관절의 보호를 위한 플랙시블 지지대(4)가 탄성있는 보호대(1)에 설치되며 착용시 제품의 부착을 위해 벨크로 테이프(2)를 제품의 뒷면 가장자리 한쪽에 위치시킨다.
도 2는 제품의 앞면 평면도를 나타내었으며 탄성있는 보호대에 고정시킨 제어장치(5)의 상단에 제품의 상태를 나타내어주는 표시부(6)가 위치하며 좌측에는 휴대시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가 내장된 전원 공급부(7)를 두고 우측에는 제품의 조사광의 순간출력과 조사시간을 설정해 주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절환 점멸시키는 전원의 공급과 기능 선택하는 전원/기능 선택스위치(8)가 위치한다.
도 3은 제품의 단면도를 나타내었으며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엘이디(3)의 사이사이에 플렉시블 지지대(4)를 고정하여 관절의 보호와 일정한 광조사를 추구하였다.
도 4는 제품의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원(7)의 공급에 의해 스위치(8)를 통하여 제어부(5)에서 전원과 기능 및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6)의 점멸을 제어 하며 이에 제품의 현재 상태를 표시부(6)를 통하여 나타내게 된다.
본 제품은 관절 연골 세포의 분열과 관절 조직의 활성을 자극하여 손상된 조직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조직의 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여 효과적인 관절염 치료 효과를 갖게 하며 또한 일상적인 착용의 편리성으로 인한 만성적 관절 질환에 지속적으로 치료와 보호 효과로서 갖는다.

Claims (3)

  1. 본 고안은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에 관한 고안으로서
    a)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3)를 플럭시블 기판위에 위치시켜 척추 요골에 조사하고,
    b) 파장과 세기의 선택적 이용을 위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
    c)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을 하기 위한 전원/기능 선택스위치(8)
    d) 상기 제어부의 기능 표시를 위한 표시부(6)
    e)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7)
    로 구성된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3)는 광화학적 요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손목, 발목, 팔목, 무릎의 관절에 생리활성자극을 위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엘이디(3)가 플럭시블 기판위에 설치되어 휴대시 관절의 보호와 치료를 위해 환부에 광조사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파장과 세기의 선택적 이용을 위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는 활동 시에도 조사광의 순간출력과 조사시간을 설정해 주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사광을 제어 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KR20-2003-0003452U 2003-02-06 2003-02-06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KR200326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52U KR200326017Y1 (ko) 2003-02-06 2003-02-06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52U KR200326017Y1 (ko) 2003-02-06 2003-02-06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017Y1 true KR200326017Y1 (ko) 2003-09-13

Family

ID=4941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52U KR200326017Y1 (ko) 2003-02-06 2003-02-06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0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16Y1 (ko) * 2007-10-08 2012-06-15 이규준 발광소자를 이용한 물리치료기
KR101458415B1 (ko) * 2008-03-19 2014-11-07 주식회사 큐레이 헬스케어를 위한 광소자가 장착된 착용물
KR102401416B1 (ko) * 2021-10-01 2022-05-25 퓨리글로벌 주식회사 플렉서블 무릎 관절 통합관리 광선조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16Y1 (ko) * 2007-10-08 2012-06-15 이규준 발광소자를 이용한 물리치료기
KR101458415B1 (ko) * 2008-03-19 2014-11-07 주식회사 큐레이 헬스케어를 위한 광소자가 장착된 착용물
KR102401416B1 (ko) * 2021-10-01 2022-05-25 퓨리글로벌 주식회사 플렉서블 무릎 관절 통합관리 광선조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5273B2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JP5916609B2 (ja) ハンドヘルド式低レベルレーザー治療機器
US6860896B2 (en) Therapeutic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12411A1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US20030167080A1 (en) Joint / tissue inflammation therapy and monitoring device(s) JITMon device
WO2007047892A1 (en) External wearable light therapy treatment systems
US20170014640A1 (en) Portable, HANDS-FREE, PRE-CALIBRATED and WEARABLE Laser brace/wrap type clinical-strength medical device/apparatus, with embedded Low-Level-Laser-Therapy (LLLT), providing for a new method/modality for Pain relief in the form of orthopedic LASERWRAPS, from joint related musculoskeletal pain caused by joint related illnesses including - TENNIS ELBOW, CARPEL-TUNNEL, ARTHRITIS, OSTEOPEROSIS, PLANTAR FASCITIS, TENDONITIS (BACK PAIN, KNEE TENDONITIS, HAND TENDONITIS, ACHILLES TENDONITIS), SPORT INJURIES & BURSITIS
US20190126060A1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KR100725564B1 (ko) Lllt를 위한 범용 패치
KR200401329Y1 (ko) 허리 벨트용 및 관절 밴드용 레이저 치료기
KR200326017Y1 (ko)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휴대용 관절 보호 치료기
KR200371927Y1 (ko) 저출력 광 발생장치가 설치된 치료 보조대
JP2007000610A (ja) 発光ダイオード治療装置
KR200405265Y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광 조사 장치
KR200326026Y1 (ko)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척추디스크 교정 치료기
KR200320001Y1 (ko) 광화학적 요법을 이용한 피부 미용기
RU669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рескожного облучения крови оптическим излучением -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браслет"
KR101526696B1 (ko) 지지대조립체를 포함하는 관절치료장치
KR100768099B1 (ko) 광화학 방식의 관절 치료기
KR200326027Y1 (ko) 광화학적 생체 자극을 이용한 발자극기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EP4316577A1 (en) Device for supplying light and heat
KR200305857Y1 (ko) 광학 에너지를 이용한 저출력 생체 조직 치료용 벨트
CN113082547B (zh) 一种模块化可穿戴式光疗仪
CA2775529C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