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683Y1 - 골프 스윙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683Y1
KR200325683Y1 KR20-2003-0019975U KR20030019975U KR200325683Y1 KR 200325683 Y1 KR200325683 Y1 KR 200325683Y1 KR 20030019975 U KR20030019975 U KR 20030019975U KR 200325683 Y1 KR200325683 Y1 KR 200325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te
fixing
ball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준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봉준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준, 이성훈 filed Critical 이봉준
Priority to KR20-2003-0019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윙시 공의 타점과 공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너비 조절이 가능한 회동판을 구비시켜 클럽헤드가 정확히 공을 가격하지 못하면 회동판을 건드리게 되므로 타격 방향을 정확히 알 수 있어서, 연습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매트 상에 일정 너비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으로 장착되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을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스프링; 상기 회동판이 초기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고정스토퍼; 및 상기 회동판이 회동영역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장치 {Apparatus for golf swing training}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윙시 공이 빗맞아서 훅이나 슬라이스가 생기지 않고 훈련할 수 있도록, 클럽 헤드가 타격면의 중앙을 가격하는지 안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퍼팅시 퍼터의 헤드와 공이 직선으로 진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럽헤드보다 약간 큰 회동판을 구비시킨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 타격시 공이 클럽헤드의 중앙에 맞지 않거나 타격후 클럽헤드가 직진하지 않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전되거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되면 원하지 않게 슬라이스 또는 훅이 생기게 된다. 즉, 슬라이스나 훅은, 타구시 공이 클럽헤드의 중앙에 맞지 않아서 회전이 들어가거나 타격후 타격자의 자세가 불안정하여 폴로스루를 완벽하게 해 내지 못하고 타격 직후 30cm 후방까지 클럽헤드가 직진하지 않고 내측에서 외측으로(슬라이스) 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훅) 회전이 들어가는 경우에 생긴다.
종래에는 인조잔디가 형성된 매트상에 골프공을 위치시키고 타격한 후, 원하지 않는 슬라이스나 훅이 생기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의 궤적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훈련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그러한 궤적을 정확히 식별하기 어렵고, 또한, 골프 클럽헤드가 공에 정확히 얼마만큼 빗맞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퍼팅 연습을 위한 경우에도, 퍼터의 헤드가 직진했는지 또는 퍼팅한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정확한 교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윙시 공의 타점과 공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너비 조절이 가능한 회동판을 구비시켜 클럽헤드가 정확히 공을 가격하지 못하면 회동판을 건드리게 되므로 타격 방향을 정확히 알 수 있어서, 연습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제3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에서 안내봉이 부착된 골프공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골프공 10 : 매트
20 : 회동판 22 : 회동스프링
30 : 베이스 플레이트 31 : 고정스토퍼
32 : 회동스토퍼 33, 34, 35 : 위치조절홈
130 : 제1연결부재 140 : 제2연결부재
240 : 연결부재 241 : 연결부재 수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트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매트 상에 일정 너비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으로 장착되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을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스프링; 상기 회동판이 초기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고정스토퍼; 및 상기 회동판이 회동영역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동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회동판의 축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 및 스토퍼는 매트 양측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수용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동판은 끝단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골프 클럽 샤프트의 회전각도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측에 공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바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회동판; 상기 회동판에 내측을 향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 및 상기 회동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공에는 공의 중심을 관통하여 공의 진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 자유롭게 연결되는 안내봉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측의 고정바 끝단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소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퍼터헤드의 너비와중심선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판이 고정되는 고정바 및 제2회동판이 고정되는 고정바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들은 상기 고정바들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구비하는 고정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에는 골프공의 충격을 인식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에 센서의 감지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회동스프링에 걸리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인조잔디가 형성되는 매트(10)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상기 매트(10)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판(20); 상기 회동판(20)이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22); 상기 회동판(20)이 회동스프링에 의해 회전하다가 초기 공이 놓인 초기 위치에서 멈출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부의 초기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스토퍼(31); 및 타격후 회전하는 회동판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의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스토퍼(32)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회동판(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동판 축 고정홈(33, 34, 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판(20)은 그 회전축이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축이 고정되는 고정홈을 소정간격으로 형성시켜, 회동판(20)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20)은 도면부호 (20a)와 같이 단순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부호(20b)와 같이, 끝단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타격자가 스윙을 하여 클럽헤드가 공을 타격할 때, 클럽이 수직으로 회전하여 공을 치는 것이 아니라 타격자의 어깨 방향을 향하는 각도를 가지고 회전하기 때문에 그 입사각을 임의로 설정해 주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성된 인조잔디 매트(10) 양측에 위치된 회동판(20) 사이에 공(1)을 놓고 스윙을 하는 경우 클럽헤드가 정확히 맞지 않게 되면, 클럽헤드가 상기 회동판(20)을 건드리게 되므로, 스윙이 치우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럽헤드가 공(1)의 중앙에 맞도록 하는 훈련이 끝나고 나면, 공을 상기 회동판으로부터 약 30cm 정도에 두고 스윙 연습을 하게되면 폴로 스루 후 30cm 정도 까지 클럽헤드가 직진하지 않으면 회동판을 건드리게 되며, 스윙이 치우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스나 훅이 생기지 않게 스윙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20)의 위치를 고정홈(33, 34, 35)을 이용하여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서, 그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인조잔디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판(120); 상기 회동판(120)이 내측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미도시); 상기 회동판(120)이 회동스프링에 의해 회전하다가 초기 공이 놓인 초기 위치에서 멈출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스토퍼(131); 타격후 회전하는 회동판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의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스토퍼(132); 및 상기 회동판(120) 및 각 스토퍼(131, 132)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130, 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130, 140)는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으며, 한 고정부가 다른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면, 그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동판(1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클럽헤드가 회동판(120)를 건드리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훈련의 정확도 및 집중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회동판(120)의 위치조절수단으로,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고정부(130, 140)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 제2고정부(140)가 제1고정부(130)에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그 삽입 정도를 조절하여, 고정부와 연결된 회동판(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판(120)의 간격조절작업이 제1실시예에 비해서 간단하고 쉬워지게 되었다. 또한, 전체장치의 부피도 작아질 수 있다.
도4는 본고안의 제3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퍼팅 연습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퍼팅후 공이 직진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습장치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 양측에 공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바(233); 상기 고정바(23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40); 상기 고정바 상부에 형성되는 두 회동판(220a, 220b); 상기 회동판(220)에 내측을 향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미도시); 및 상기 회동판(22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1, 232)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퍼팅시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5와 같이, 골프공(1)의 중심을 관통하여 공의 진행방향으로 평행한 두개의 안내봉(2a, 2b)을 설치하여 일정거리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공을 측면으로 타격할 경우 안내봉(2a, 2b)이 플레이트에 장착된 핀(3)의 주위를 회동하여 편향되게 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고정바(233) 끝단에는 상기 연결부재(240)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부(241)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두 고정바(23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40)에는 소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퍼터 헤드의 너비를 측정하고 공이 진행해야 될 중심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판(220a)가 고정되는 고정바 및 제2회동판(220b)가 고정되는 고정바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들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고정바 연결부(234)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회동판(220a, 220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짧은 거리 퍼팅 연습은 물론 좀더 긴 거리 퍼팅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220)의 회동스프링(미도시)에 힘이 걸릴때, 이를 인식하도록 센서(미도시)를 부착하고, 상기 고정바(233)에 표시등(235)을 구비시켜, 퍼터의 헤드가 직진하였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동판(220)의 회동을 확인하여 , 퍼팅시, 공을 타격한후 퍼터의 헤드가 직진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퍼팅시에는 공에 가해지는 힘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퍼터의 헤드가 회동판(220)을 건드렸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센서 및 표시등을 구비시켜 퍼터의 헤드와 회동판(220)의 접촉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제1회동판(220a) 및 제2회동판(220b)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서, 퍼팅의 난이도를 다르게 하여 연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23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재(240)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퍼터헤드의 너비를 측정하고 공이 진행해야 될 중심선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윙시 공의 타점과 공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너비 조절이 가능한 회동판을 구비시켜 클럽헤드가 정확히 공을 가격하지 못하면 회동판을 건드리게 되므로, 타격 방향을 정확히 알 수 있게하여 연습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난이도를 다르게 하여 연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매트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매트 상에 일정 너비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으로 장착되는 회동판;
    상기 회동판을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스프링;
    상기 회동판이 초기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고정스토퍼; 및
    상기 회동판이 회동영역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
    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회동판의 축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홈인
    골프 스윙 연습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 및 스토퍼는 매트 양측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에 고정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수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동판은 끝단이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골프 스윙 연습장치.
  7.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측에 공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고정바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회동판;
    상기 회동판에 내측을 향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스프링; 및
    상기 회동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
    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공에는 공의 중심을 관통하여 공의 진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 자유롭게 연결되는 안내봉이 부착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고정바 끝단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소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판이 고정되는 고정바 및 제2회동판이 고정되는 고정바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들은 상기 고정바들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구비하는 고정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에는 골프공의 충격을 인식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에 센서의 감지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구비되는
    골프 퍼팅 연습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회동스프링에 걸리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인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2003-0019975U 2003-06-24 2003-06-24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0325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75U KR200325683Y1 (ko) 2003-06-24 2003-06-24 골프 스윙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75U KR200325683Y1 (ko) 2003-06-24 2003-06-24 골프 스윙 연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767A Division KR20040084588A (ko) 2003-03-29 2003-03-29 골프 스윙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683Y1 true KR200325683Y1 (ko) 2003-09-06

Family

ID=4941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975U KR200325683Y1 (ko) 2003-06-24 2003-06-24 골프 스윙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57B1 (ko) * 2012-05-29 2014-04-04 이건녕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57B1 (ko) * 2012-05-29 2014-04-04 이건녕 골프 스윙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2146B2 (en) Pu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KR20220050145A (ko) 표시를 포함하는 골프공
WO2006062310A1 (en) Apparatus for putting correcting and training
US20220047931A1 (en) Golf club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golf club fitting
KR20060088949A (ko) 골프공 퍼팅용 퍼터
KR200325683Y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046790B1 (ko) 퍼팅 가이드 골프공
KR20040084588A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1224399B1 (ko) 편심웨이트가 구비된 골프퍼터
KR102085048B1 (ko) 퍼팅 훈련 보조 기구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KR20100026787A (ko) 수평계를 구비한 골프퍼터
KR200421770Y1 (ko) 골프스윙연습기의 센서장치 보호케이스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101683105B1 (ko) 골프 연습용 스틱
US20110244990A1 (en) Golf Training Tee
KR101863046B1 (ko) 퍼팅 가이드 장치
KR100629966B1 (ko) 퍼팅 연습용 골프공
KR200202470Y1 (ko) 좌우 수평측정 골프 퍼터 및 연습기구
KR200363332Y1 (ko) 골프퍼팅연습기
JP2017000726A (ja) ゴルフのパッティング練習装置
JP4430269B2 (ja) ヘッド速度測定装置
KR20060018725A (ko) 임팩트 포인트를 감지하는 골프채
KR100841788B1 (ko) 골프 연습용 스윙 교정장치
KR20160079550A (ko) 골프 스윙연습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