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519Y1 -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519Y1
KR200325519Y1 KR20-2003-0019557U KR20030019557U KR200325519Y1 KR 200325519 Y1 KR200325519 Y1 KR 200325519Y1 KR 20030019557 U KR20030019557 U KR 20030019557U KR 200325519 Y1 KR200325519 Y1 KR 200325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ood waste
cylinder member
dehydration
dehyd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숙
Original Assignee
오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숙 filed Critical 오인숙
Priority to KR20-2003-0019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6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수의 효율성 증대와 제작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쓰레기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요철형 마찰부를 가진 타일형 실린더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실린더부재는 원통형 실린더의 원주와 길이를 등분한 실린더편에 탈수공도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의 배열상태는 겉에 둘러 붙인 금속링에 의해 유지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인접한 실린더 유닛의 금속링을 장축 보울트 등의 연결대로 연결하여 실린더를 구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Cylinder member for a cylinder of food waste dehydrator}
본 고안은 잔반 등이 포함된 음식쓰레기를 탈수하는 탈수기용 실린더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실린더로 유입되는 음식쓰레기를 이송스크류로 압송하여 탈수시키는 과정에서 실린더의 내주면에 대한 음식쓰레기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서 탈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에 관한 것이다.
음식쓰레기 전용 탈수기에서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물기를 효과적으로 탈수하려면 실린더 내에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에 음식쓰레기가 휩쓸려 돌지 않고 오로지 이송방향으로만 나아가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실린더의 내주면과 음식쓰레기와의 마찰력이 커야 한다.
그런데, 음식쓰레기용 일반 탈수기는 실린더의 내주면이 매끄럽다. 매끄러운 실린더의 내면은 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송되는 음식쓰레기에 대한 마찰력이 작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실린더 속의 음식쓰레기 대부분은 직진하기 보다는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에 휩쓸려 따라 돌면서 이송되는 현상이 빚어지기 일쑤다. 이렇게 되면 음식쓰레기가 제대로 압착되지 않아 탈수가 원활치 못하다.
이와 같이 탈수기에서 음식쓰레기의 탈수가 불완전하면 원하는 수준으로 탈수될 때까지 몇 번이고 반복해서 탈수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안되는 데, 반복 탈수는 처리지연과 탈수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개선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는 후강판제 단일체로서, 후강판에 탈수공을 천공하는 작업과 벤딩작업을 포함해 전반적으로 제작난이도가 너무 높다.
본 고안은 탈수의 효율성 및 제작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구현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는 내면에 음식쓰레기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요철형 마찰부를 가진 타일형 실린더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실린더부재는 원통형 실린더의 원주와 길이를 등분한 실린더편에 탈수공도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의 배열상태는 겉에 둘러 붙인 금속링에 의해 유지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인접한 실린더 유닛의 금속링을 장축 보울트 등의 연결대로 연결하여 실린더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쓰레기 탈수기용 실린더의 정면도
도 2는 실린더부재의 내측 사시도
도 3은 실린더부재의 외측 사시도
도 4는 탈수시 마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금속링의 사시도
도 6은 완성된 실린더(도 1)의 측면확대도
도 7은 실린더부재간 접속부의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의 내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린더 2,2a: 실린더부재
3: 금속링 4: 연결대
5: 마찰부 5a: 요홈
5b: 돌기 6: 탈수공
6a: 내측단 6b: 외측단
7: 암접속부 8: 숫접속부
9: 연결공 21,22: 분할편
23: 거치
도 1에서, 음식쓰레기 탈수기에 쓰이는 실린더(1)는 실린더부재(2)와 금속링(3) 및 연결대(4)와의 조합체다.
도 2 및 도 3에서, 실린더부재(2)는 내면에 마찰부(5)가 형성되어 있고, 살을 관통하는 탈수공(6)도 천공되어 있다. 마찰부(5)는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실린더(1)의 주면을 따라 이송되는 음식쓰레기의 마찰력을 높여 이송스크류를 따라 돌지 못하게 함으로서 탈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요홈(5a)을 형성함으로서 요홈(5a) 사이 부분이 돌기(5b)의 형태를 띄게 한 것이다. 요홈(5a)은 이송되는 음식쓰레기를 분산시키는 것이 탈수와 이송에 유리하다. 이것을 충족시키려면 요홈(5a)은 도시예와 같은 능형 망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요홈(5a)은 능형 망의 망사가 되고, 돌기(5b)는 그 망목에 상당한다.
도 4에서, 상기 실린더부재(2)로 조합된 실린더(1) 내에서 탈수가 이뤄지는 동안 음식쓰레기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기(5b)의 앞쪽 모서리에 접촉한다. 이때 그 음식쓰레기는 돌기(5b)의 위 아래 요홈(5a)을 타고 이송된다. 그렇지만 실린더(1)의 원주방향 D로는 이동하는 것은 억제된다. 돌기(5b)의 저항 때문에 음식쓰레기의 흐름이 지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돌기(5b)를 지나쳐 원주방향 D로 향하는 음식쓰레기가 있다면 그 다음 돌기(5b) 중의 어딘가에 의해 저지되어 요홈(5a)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이송스크류의 강력한 압송력에도 불구하고 음식쓰레기는 실린더(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은 원활하지만 이송스크류를 따라 도는 것은 억제되므로 음식쓰레기의 탈수도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요홈(5a)과 돌기(5b)는 능형 망의 형태 외에도 바둑판의 판목과 같은 형태도 가능하지만 요홈에 음식쓰레기가 끼어 정체현상을 빚는 경향이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에서, 실린더부재(2)에서 길이방향의 일측면에는 암접속부(7)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상기 암접속부(7)에 대응하는 숫접속부(8)가 형성되어 있어서 실린더부재(2)를 실린더(1)의 길이방향으로 잇대어 배열할 때 앞뒤로 인접 배열되는 실린더부재끼리 맞물림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실린더(1)의 완성은 다음 순서에 따른다. 먼저, 실린더(1)의 외경, 즉 실린더부재(2)를 인접한 것끼리 원주방향의 분할단(10)이 밀착되도록 배열했을 때 그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진 금속링(3)을 제작한다.
도 5에서, 금속링(3)에는 그 원주를 등분한 지점마다 연결공(9)이 천공된 것이다.
금속링(3)의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실린더부재(2)를 배열하면서 그 외면을 금속링(3)에 용접하여 실린더 유닛화한다. 이때, 암·수접속부(7,8)는 각기 같은 방향에 놓이게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실린더 유닛을 축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앞쪽 실린더 유닛의 후단에 위치하는 숫접속부(8)에 뒤쪽 실린더 유닛의 앞쪽에 위치하는 암접속부(7)를 접속하여 원통을 이루게 한 다음에 인접한 실린더 유닛의 금속링(3)간 연결공(9)을 연결대(4)로 연결한다.
연결대(4)는 일단 또는 양단에 리드가 형성된 장축 보울트, 또는 일단에 머리가 형성된 금속봉이다. 장축 보울트형 연결대(4)는 너트를 체결하여 실린더 유닛끼리 연결하고, 머리가 달린 금속봉형 연결대(4)의 경우에는 용접으로 연결한다. 금속링(3)과 연결대(4)가 합쳐서 실린더틀을 이루게 된다.
한편, 탈수공(6)의 내측단(6a)이 넓으면 음식쓰레기 중의 호분이 탈수되기 전에 빠져나가는 양이 많고 외측단(6b)이 좁으면 탈수된 물이 더디 빠져서 탈수가 비효율적이다. 다시 말해, 탈수공(6)의 내측단(6a)은 폭이 좁고 외측단(6b)은 넓을수록 탈수에 효과적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탈수공(6)은 원형공이든 빗공이든 불문하고 테이퍼공 또는 구배진 구배공의 형태를 띈다. 구배공이란 내측단(6a)을 기준으로 양측면이 외측단(6b)을 향해 점차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탈수공을 말한다.
원형 탈수공은 현재 국내에 알려진 기술로도 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공(6)이 구배공인 경우에는 천공이 여의치 못하다. 현재로선 정밀주조하는 것이 유일하다.
정밀주조로 실린더부재(2)를 제작하더라도 탈수공(6)의 내측단(6a)은 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정밀주조시 탈수공(6)은 코어로 형성하게 되는 데, 코어의 최소두께가 1mm 미만은 실용성이 극히 낮다. 주조과정에서 코어가 파손되어 양질의 탈수공이 얻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도 8은 내측단(6a)이 1mm 미만의 폭을 가진 탈수공(6)도 형성할 수 있는 실린더부재(2a)를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부재(2a)의 길이를 편의상 양분하여 2개의 분할편(21,22)으로 나누고 각 분할편(21,22)의 분할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거치(鋸齒. 23)를 형성하며, 거치(23)가 맞물리는 정도를 조정하여 탈수공(6)의 폭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실린더부재(2a)는 분할편(22,22)간의 거리를 멀리할수록 탈수공(6)의 폭이 넓어지고, 분할편(21,22)간의 거리를 단축하면 탈수공(6)의 폭도 좁아진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부재(2a)를 구성하면 탈수공(6)의 내측단(6a)의 폭을 1mm 미만으로도 간단히 형성할 수가 있다. 거치(23)의 중간 외면이 금속링(3)의 내면에 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하면 선택된 탈수공(6)의 폭도 조정된대로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실린더부재는 음식쓰레기 탈수기용 실린더의 원주와 길이를 등분한 타일형으로 하고, 그 내면에 이송되는 음식쓰레기에 대하여 마찰저항을 증대시키는 마찰부를 형성함으로서 이 실린더부재로 조합된 실린더 내에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음식쓰레기가 이송될 때 실린더의 내주면쪽 음식쓰레기가 실린더의 내주면에서 미끄러져 이송스크류를 따라 돌지 않고 직진 이동을 하게되므로 탈수가 효율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또, 단일 후강판제 실린더에 비해 조각맞춤형인 본 고안의 실린더부재는 실린더를 제작하기도 용이하다.
그리고 2개 1조의 거치형 분할편으로 된 실린더부재는 탈수에 이로운 1mm 미만의 내측단을 가진 탈수공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음식쓰레기용 탈수기의 실린더의 원주와 길이를 등분한 조각으로서, 내면에는 마찰부(5)를 갖고, 살을 관통한 탈수공(6)도 가지며, 선단에는 암접속부(7)를 그리고 후단에는 숫접속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길이를 양분한 분할편(21,22)의 분할단에 서로 맞물리는 거치(23)를 형성하고, 거치(23)들 사이에 남는 틈을 탈수공(6)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KR20-2003-0019557U 2003-06-20 2003-06-20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KR200325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7U KR200325519Y1 (ko) 2003-06-20 2003-06-20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557U KR200325519Y1 (ko) 2003-06-20 2003-06-20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519Y1 true KR200325519Y1 (ko) 2003-09-03

Family

ID=4941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557U KR200325519Y1 (ko) 2003-06-20 2003-06-20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5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820B1 (en) Rolling element chain
JP2006289496A5 (ko)
KR200325519Y1 (ko) 음식쓰레기 탈수기의 실린더용 실린더부재
CN101424293B (zh) 攻螺纹的螺钉
IT8821339A0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cuscinetti a rulli di ridottissimo ingombro assiale e di elevata capacita&#39; di carico, particolarmente adatti per le bielle ad eccentrico di ratiere rotative funzionanti ad altissime velocita&#39;, e cuscinetti cosi&#39; ottenuti.
CA2383964A1 (en) A metal member to be cast-wrapp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member to be cast-wrapped
KR100446034B1 (ko) 베니어 단판의 탈수 장치
RU2005126415A (ru) Подушка для установки цапфы валка
EP0479124A2 (en) Transmission chain structure
BR9912441A (pt)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 eixo de cames e eixo de cames fabricado segundo este processo
KR200337566Y1 (ko) 탈수기용 실린더부재
US3595097A (en) A chain including link plates having swaged portions
KR20050032024A (ko) 특히 차량용 윈도우 와이핑 장치 및 와이퍼 아암
JPS6313698A (ja) 複数のスクリユを備えたスクリユ−プレス脱水機
KR101326772B1 (ko) 수분물질 탈수기용 실린더
CN210463031U (zh) 一种新型炉排块
CN219449534U (zh) 一种深度脱水型叠螺机的动定环结构
ES398631A1 (e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dispositivos de acopla- miento de barras de perforacion.
RU2197875C2 (ru) Фильер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методом экструзии
RU2001128871A (ru)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RU2055291C1 (ru) Цепь скребк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ера колосникового холодильника
CN101483444B (zh) 一种可分离把手的射频模块
JP2005023658A (ja) 異形鉄筋の連結金具
RU2001102803A (ru) Пресс-экструдер
SU1103896A1 (ru) Футер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