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321Y1 -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321Y1
KR200325321Y1 KR20-2003-0016386U KR20030016386U KR200325321Y1 KR 200325321 Y1 KR200325321 Y1 KR 200325321Y1 KR 20030016386 U KR20030016386 U KR 20030016386U KR 200325321 Y1 KR200325321 Y1 KR 200325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case
heat
hole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용대
Original Assignee
곽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용대 filed Critical 곽용대
Priority to KR20-2003-0016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1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맥주의 온도를 차게 유지하면서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맥주의 온도를 차게하여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에서 맥주등과 같은 음료를 먹거나 야외에서 먹을 때에 맥주의 온도를 가장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가장 맛있는 상태에서 맥주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관통공(4)이 형성된 비교적 작은 크기인 케이스(5)와, 차가운 음료를 담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컵(C)과, 상기한 케이스(5)의 관통공(4)과 컵(C)의 관통공(12)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가 면접촉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열전도 수단과, 상기한 케이스(5)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열판(6)의 저면에 냉각되는 부분이 밀착되어 열의 전도가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전류의 인가에 따라 일측은 뜨거워지고 타측이 차가워지는 열전소자(7)와, 상기한 열전소자(7)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원부(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MOVABLE BEVERAGE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음료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맥주의 온도를 차게 유지하면서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맥주의 온도를 차게하여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등과 같이 차게 해서 먹는 음료수는 별도의 냉장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맥주집등과 같이 전문적으로 냉장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먹게 된다.
상기한 전문적인 맥주판매점등에서는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는 맥주 저장고에서 즉시 맥주를 따라서 주기 때문에, 매우 적당한 온도의 맥주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맥주를 냉장 설비가 없는 장소에서 먹게 되면, 비교적 빠른 시간에 따뜻하게 되면서 맥주 본연의 맛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기가 설치되어 있는 맥주 판매점등과 같은 소정 장소에서만 적당한 온도의 맥주를 먹을 수 있게 되면, 가정에서 소량의 맥주를 먹을 때에는 냉장고에 맥주를 보관한 후 일일이 꺼내서 먹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족 또는 친구들끼리 야외에 나가서 맥주등과 같은 음료수를 먹을 때에는 별도의 냉장 설비가 없기 때문에 뜨뜻한 맥주를 먹어야 하게 됨으로써, 매우 맛없는 맥주를 먹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에서 맥주등과 같은 음료를 먹거나 야외에서 먹을 때에 맥주의 온도를 가장 최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가장 맛있는 상태에서 맥주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비교적 작은 크기인 케이스와, 차가운 음료를 담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컵과, 상기한 케이스의 관통공과 컵의 관통공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가 면접촉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열전도 수단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열판의 저면에 냉각되는 부분이 밀착되어 열의 전도가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전류의 인가에 따라 일측은 뜨거워지고 타측이 차가워지는 열전소자와, 상기한 열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열전달부재가 밀착된 상태인 맥주컵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판 2: 하판
3: 수직 부재 4, 11: 관통공
5: 케이스 6: 전열판
7: 열전 소자 8: 전원부
9: 냉각핀 10: 방열공
11: 냉각판 C: 맥주컵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상판(1)파 하판(2)의 사이에 수직 부재(3)가 배치되어 박스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관통공(4)이 형성된 비교적 작은 크기인 케이스(5)와, 상기한 관통공(4)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전열판(6)과, 상기한 전열판(6)의 저면에 밀착되어 열의 전도가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전류의 인가에 따라 일측은 뜨거워지고 타측이 차가워지는 열전소자(7)와, 상기한 열전소자(7)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원부(8)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열전소자(7)의 뜨거워지는 부분에는 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방열핀(9)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5)에는 열 방출을 위해 다수의 방열공(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전열판(6)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열의 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된 냉각판(11)이 맥주컵(C)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2)에 결합되는 바, 상기한 냉각판(11)이 맥주컵(C)의 내부로 노출되어 맥주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케이스(5)의 상부에 설치된 전열판(6) 및 이와 면접촉하여 열의 전도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구성되고 맥주컵(C)의 저면에 결합된 냉각판(11)이 열전도 수단을 이루게 됨으로써, 맥주를 가정 또는 실외에서 먹을 때에도 차갑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맥주컵(C)의 관통공(12)과 냉각판(11)의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링재가 설치되어 맥주의 유출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케이스(5)를 실외에서 사용할 때는 상기한 전원부(8)가 차량의 전원 소켓(차량용 DC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고, 열전 소자(7)를 반대 방향(뜨거워지는 부분이 전열판에 밀착되도록) 부착하면 겨울철에 더운 음료를 먹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야외에서 또는 가정집에서 맥주등과 같이 매우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맛이 보존되는 음료를 먹을 때, 상기한 맥주컵(C)에 맥주를 붓고 케이스(5)의 상면에 위치된 전열판(6)에 맥주컵(C)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전열판(6)과 냉각판(11)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전열판(6)과 냉각판(11)이 매우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는 바, 상기한전열판(6)과 냉각판(11)의 형상이 요철 형상으로 구성되어 최대한 많은 면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전열판(6)자 냉각판(11)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한 열전 소자(7)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한 전열판(6)이 열전 소자(7)에 의해 냉각된다.
전열판(6)이 열전 소자(7)에 의해 냉각되면 상기한 전열판(6)과 밀착되어 있는 냉각판(11)도 함께 냉각되고, 상기한 맥주컵(C)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는 냉각판(11)에 의해 맥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냉각판(11)이 맥주컵(C)의 내부 저면에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맥주를 냉각시키는 것이 매우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이 원래 차가운 맥주가 더워지는 것을 막는데 탁월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열전 소자(7)에 의한 전열판(6) 및 냉각판(11)의 온도는 맥주가 가장 맛있는 온도가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맥주가 맥주컵(C)에서 찬 온도로 유지되면 상기한 맥주를 먹을 때에만 상기한 맥주컵(C)을 들어서 맥주를 따라 먹고 다시 올려놓으면, 맥주의 온도가 차게 항상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이동이 가능한 케이스(5) 및 맥주컵(C)을 맥주집등과 같은 영업 장소에서 사용할 때에도, 테이블에 다수의 케이스(5)를 올려 놓고 사용하여도 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테이블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게 되고 설비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작은 케이스에 열전 소자를 내장한 후, 상기한 열전 소자에서 열이 전도되도록 전열판을 케이스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와 접촉되도록 냉각판을 맥주컵에 설치함으로써, 어디에서나 항상 찬 맥주를 먹을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비교적 작은 크기인 케이스와, 차가운 음료를 담도록 형성되고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컵과, 상기한 케이스의 관통공과 컵의 관통공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도가 면접촉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열전도 수단과, 상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전열판의 저면에 냉각되는 부분이 밀착되어 열의 전도가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전류의 인가에 따라 일측은 뜨거워지고 타측이 차가워지는 열전소자와, 상기한 열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전도 수단은 상기한 케이스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전열판과, 상기한 전열판에 매우 큰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컵의 저면 관통공에 결합되어 컵 내부로 많은 면적이 노출된 냉각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스의 다수 부분에 형성되어 열전 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방열공과, 상기한 열전 소자의 뜨거워지는 부분에 설치되어열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방열핀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KR20-2003-0016386U 2003-05-26 2003-05-26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KR200325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86U KR200325321Y1 (ko) 2003-05-26 2003-05-26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386U KR200325321Y1 (ko) 2003-05-26 2003-05-26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321Y1 true KR200325321Y1 (ko) 2003-09-02

Family

ID=4941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386U KR200325321Y1 (ko) 2003-05-26 2003-05-26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3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311B2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at food serving stations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US4320626A (en) Portable beverage chiller/warmer
US6308519B1 (e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JP2001208465A (ja) 飲料用保温保冷器
KR101756376B1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JP2007113805A (ja) 容器入り飲料の保温保冷装置
KR200325321Y1 (ko) 이동이 가능한 음료 냉각 장치
KR20100009599U (ko) 휴대용 쿨링 및 히팅 장치
KR100785271B1 (ko) 냉/온 조절식탁
US20120266609A1 (en) Can heating and cooling device
JPH0791796A (ja) 電子冷凍式冷蔵庫
EP1666816B1 (en) Bottle cooling and warming device
US20050274119A1 (en) Thermoelectric chiller/warmer of contained substance
JP2003072897A (ja) 冷温蔵タンク
US11079175B2 (en) Retrofit Peltier device for cooler
US20100043451A1 (en) Thermoelectric hot/cold pans
JPH08205999A (ja) 冷温水器
KR20050090661A (ko) 보온 용기
KR200325322Y1 (ko) 음료 냉각컵
CN102755113B (zh) 加热及冷却装置
JPH08117115A (ja) 冷温水ポット
KR200171141Y1 (ko) 식탁용 음식냉각장치
CN213687424U (zh) 一种冰酒装置
JPH08126567A (ja) コ−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