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311Y1 - 조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311Y1
KR200325311Y1 KR20-2003-0015970U KR20030015970U KR200325311Y1 KR 200325311 Y1 KR200325311 Y1 KR 200325311Y1 KR 20030015970 U KR20030015970 U KR 20030015970U KR 200325311 Y1 KR200325311 Y1 KR 200325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ipe
main pipe
bird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창
Original Assignee
고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창 filed Critical 고영창
Priority to KR20-2003-0015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조류퇴치장치는 과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영역 내로의 조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지지부재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유니트가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각 헤드부의 노즐유니트에 조류의 침투시 기능성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류 퇴치장치{drive birds out of apparatus}
본 고안은 조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수원의 열매에 피해를 주는 조류의 퇴치 및 농약을 분사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과수에서 열리는 과실은 병충해, 벌레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어린 열매를 종이봉지 등으로 감싸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확할 시기에는 봉지가 터져 과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노출된 과실은 까치, 비둘기, 참새 등과 같은 조류의 먹이 감이 되므로 조류들에 의해 쪼임을 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류들에 의해 쪼인 과실은 표면에 상처가 발생되어 상품적 가치가 떨어져 과수농가에 피해를 주게 된다. 특히 까치의 경우에는 과실이 잘 익어 당도가 높거나 상품성이 좋은 굵은 것만을 알아내 쪼기 때문에 과수농가의 피해는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배나 사과의 경우 전체 수확량의 4 내지 5% 정도가 까치의 유해조수(有害鳥獸)의 피해를 입고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방법 및 장치가 고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과실에 피해를 주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까치가 죽을 때 내는 비명이나 매 독수리의 울음 등 까치가 싫어하는 소리를 녹음한 버드 가드(bird gard)를 설치하여 5 내지 10분 간격으로 들려주거나 나프탈린, 크레졸 등 까치가 싫어하는 후각 기피제를 과수원 곳곳에 뿌려두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또한 과수원에 방조망을 설치하여 과실을 보호하고 있으나 이 경우 많은 설치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 민국 특허청에 따르면, 조류의 생태적 습성을 이용한 특허가 전체 특허 출원건 수의 41.3%, 천적 설치 등 시각적 방법이 16.3%, 초음파 출력 등 청각을 이용한 발명이 18.6%를 차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따라 과일별로도 유해 조류가 워낙 다양해 완벽하게 조류를 퇴치하기는 어렵다. 특히 까치의 경우에는 반복 학습능력이 있어서, 조류 퇴치 방법 및 장치에 쉽게 적응하여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수원으로 침입하는 조류를 물을 이용하여 퇴치함으로써 조류에 의해 과실이 쪼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추수기에 조류에 의한 과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류퇴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수원에 농약살포 또는 물 분사에 의한 과수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는 조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 또 다른 목적은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조류가 침투하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조류 퇴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조류 퇴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지지부재에 헤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헤드부의 노즐 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노즐 유니트의 노즐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승강수단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승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승강수단의 단면도,
도 9는 제1 지지부재에 헤드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류 퇴치장치. 20; 승강수단
30; 노즐 유니트
40; 기능성 액체 공급수단
50; 공기 공급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류 퇴치 장치는
과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영역 내로의 조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지지부재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노즐 유니트가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각 헤드부의 노즐유니트에 조류의 침투시 기능성 액체를 공급하는 기능성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선택된 헤드부의 노즐유니트로부터 기능성액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니트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물 또는 약재의 살포를 원활하게 하는 고압의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노즐 유니트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링형이 제1공급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노즐과, 상기 제1공급관과 인접되게 설치된 제2공급관과 노즐을 연결하는 분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 공급수단은 물 또는 약재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와 각 지지부재와 인접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메인관과, 상기 제1메인관과 노즐과 연결되는 제1공급관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한 제1보조 공급관과, 상기 제1보조 공급분기관 및 제1메인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밸브와, 상기 제1메인관에 설치되어 탱크의 물 또는 기능성 약재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1메인관을 따라 설치되는 제2메인관과, 상기 지지부재와 인접되는 제2메인관으로부터 상기 제2공급관을 연결하는 플랙시블한 제2보조 공급관과, 상기 공기 제2메인관과 연결되는 컴프레셔와, 상기 제2메인관과 제2보조 공급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가 찬넬 형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되며 헤드부와 연결된 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에어모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류 퇴치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수원의 조류 퇴치 장치(10)는 과수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1)와, 상기 각 지지부재(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영역 내로의 조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2)와, 상기 지지부재(11)에 승강수단(2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노즐 유니트(30)가 설치된 헤드부(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헤드부(13)의 노즐유니트(30)에 조류의 침투시 물의 공급 및 약재의 살포를 위한 기능성 액체 공급수단(40)과, 상기 노즐 유니트(3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물 또는 약재의 살포를 원활하게 하는 고압의 공기 공급수단(50)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조류 퇴치 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11)는 상기 헤드부(13)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노즐 유니트(30)가 설치된 헤드부(13)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찬넬 형상의 C 형강, 사각 튜브,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승강수단(20)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과수에 물, 약재 등과 같은 기능성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 유니트(30)는 링형의 제1공급관(31)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분기관(32)과, 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급관(31)과 인접되도록 제2공급관(34)이 설치되고 이 제2공급관(34)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분기관에 의해 제1분기관(32)과 연결된다. 상기 제1분기관(32)과 제2분기관(35)의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튜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제2분기관(35)의 출구가 제1분기관(32)의 내부에 유체의 흐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 공급수단(40)은 제1공급관(31)에 물, 약제 등과 같은 기능성 액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탱크(41)와, 이 탱크(41)로부터 각 지지부재(11) 측으로 연장되는 제1메인관(42)과, 상기 제1메인관(42)과 제1공급관(31)을 연결하는 플랙시블한 제1보조공급관(43)과, 상기 탱크(41)와 인접되는 제1메인관(42)로에 설치되어 탱크(41) 내의 기능성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제1메인관(42)에는 제1메인 밸브(45)가 설치되고, 각 제1보조 공급관(43)에는 각각 제1밸브(46)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1밸브(46)들은 후술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자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보조공급관(43)은 헤드부(13)의 승강시 충분한 굴신 작용으로 헤드부(13)의 승강에 간섭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보조 공급관(43)을 권취하는 별도의 권취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조류퇴치를 위한 물 또는 병충해 방지를 위한 약재를 상기 노즐유니트(30)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고압의 공기 공급수단(50)은 상기 액체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를 확포하거나 상대적으로 멀리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기 위한 압축기(51)와, 상기 압축기(51)의 토출측과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11) 측으로 연장되는 제2메인관(52)과, 상기 각 지지부재(11)와 인접되는 제2메인관(52)과 상기 제2공급관(34)을 연결하는 제2보조 공급관(5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메인관(5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메인 밸브(54)가 설치되고, 상기 제2보조 공급관(53)에는 제2밸브(5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55)는 제2공급관(34)과 인접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지지부재(11)에 대해 헤드부(13)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를 참조하면, 승강수단(20)은 상기 C 형강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이드 롤러(21)가 헤드부(13)로부터 연장되는 제1브라켓(22)에 의해 지지되고, 이와 대응되는 지지부재(11)의 외주면에는 제2가이드롤러(23)가 상기 헤드부(13)로부터 연장되는 제2브라켓(24)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 롤러(21)(23) 중 하나를 구동시키는 모터(25)를 구비한다상기 모터(25)는 제 2보조 공급관(53)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을 이용한 에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각 지지부재(1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헤드부(13)에 고정된 제1로프(61)를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가지는 감김릴(62)과, 상기 헤드부(13)와 일측이 연결된 제2로프(63)와, 이 제2로프(63)를 감거나 풀기 위한 윈치(64)와 상기 지지부재(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로프(63)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 지지부재(11)에 설치된 헤드부(13)와 연결되는 제2로프(63)들은 상기 윈치(64)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윈치(64)에 감기는 메인로프(65)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지지부재를 이용한 승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수들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치되며 관상의 제1지지부재(71)와, 상기 제1지지부재(7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부에 헤드부(13)가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71)의 상단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71)의 하단부에는 브라켓(74a)(75a)에 의해 지지되는 제1,2,3가이드 롤러(73)(74),(75)들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제2지지부재(72)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장공(7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롤러(73)가 상기 가이드 장공(71a)을 통하여 제1지지부재(71)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71)의 하단부에는 로프(76)의 단부가 고정되고, 이 로프(76)는 상기 제1,2,3가이드 롤러(73)(74)(75)에 가이드 되어 윈치(76)에 감긴다. 상기 윈치(76)에는 설정된 영역의 지지부재들에 장착된 로프들을 감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강수단이 구성되는 경우 헤드부(13)는 제1지지부재(72)의 단부에 고정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3)의 중앙부에 위치된 보스부(77)가 제1지지부재(72)에 설치된 고정축(78)에 베어링(미도시)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33)이 설치된 제1분기관(32)들이 헤드부의 원주방향에 대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78)에는 스프링(79)이 지지되는데, 스프링의 일측단부는 보스부(77)에 지지되고 타측단부는 고정축에 지지되어 상기 노즐(33)들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압력과 스프링(7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헤드부가 회동된다.
상기 감지센서(12)는 과수로 침투하는 조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과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류퇴치장치는 상기 감지센서(12)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액체 공급수단(40)과, 공기 공급수단(50) 및 승강수단(20, 60, 70) 및 밸브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조류가 침투하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되도록 하는 등의제어를 위한 제어수단(8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수단(80)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 각 수단 및 밸브를 제어하여 조류 퇴치, 약재 살포, 과수의 냉해 방지를 위한 물의 분무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가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류 퇴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확기에 과수원으로 조류가 침투하게 되면, 지지부재(11)의 상부에 위치되는 감지센서(12)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12)에 감지된 신호는 제어수단(80)으로 입력되고, 이 제어수단(80)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수단(40)의 펌프(44)와 압축기(51)가 작동되고, 조류가 침투된 영역의 지지부재(11)에 지지된 헤드부(13)의 노즐 유니트(30)와 연결된 제1,2보조 공급관((43)(53)의 제1,2밸브(46)(55)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펌프(44)에 의해 탱크(41)로부터 펌핑된 물은 제1메인관(42)과 제1보조공급관(43), 제1공급관(31), 제1분기관(32)을 통하여 노즐(33)로 공급되어 분사되고, 상기 압축기(51)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2메인관(52), 제2보조 공급관(53) 및 제2공급관(34) 제2분기관(35)을 통하여 제1분기관(32)으로 공급됨으로써 노즐(33)에 의한 물의 분사를 가속시켜 조류가 침투한 측으로 분사함으로써 조류를 퇴치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승강수단(20)에 상기 헤드를 승강시켜 까치가 과수에 앉아도 물의 세례를 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20)에 의한 헤드부(13)의 승강은 모터를 구동시켜 가이드 롤러가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64 또는 76)가 작동됨으로써 로프를 당겨 헤드부를 하강시키거나 지제2지지부재(72)를 제1지지부재(71)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헤드부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선택되지 않은 영역의 지지부에 위치되는 헤드부의 노즐유니트로부터는 상기 제1,2보조 공급관에 설치된 제1,2밸브가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과수의 수확기 또는 개화기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펌프(44)와 압축기(51)를 작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함으로써 과수의 동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류의 퇴치장치는 조류가 침투하는 영역에 고압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조류를 퇴치할 수 있으므로 학습력이 강한 까치 등에 효과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과수의 수확기에 과실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과수에 약재를 살포하는 경우 액체 공급수단의 탱크에 약재를 공급하여 노즐 유니트를 통하여 약재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약재의 공급에 다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과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각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설정된 영역 내로의 조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지지부재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유니트가 설치된 헤드부와,
    상기 각 헤드부의 노즐유니트에 조류의 침투시 기능성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공급수단과,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니트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링형이 제1공급관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분기관에 지지된 노즐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수단은 물 또는 약재가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와 각 지지부재와 인접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1메인관과, 상기 제1메인관과 노즐과 연결되는 제1공급관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한 제1보조 공급관과, 상기 제1보조분기관 및제1메인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들과, 상기 제1메인관에 설치되어 탱크의 물 또는 약재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니트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물 또는 약재의 살포를 원활하게 하는 고압의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각 지지부재와 인접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2메인관과, 상기 제1공급관과 인접된 위치되며 제1분기관과 연결된 제2분기관을 가지는 제2공급관과 상기 제2메인관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한 제2보조 공급관과, 상기 제2보조분기관 및 제2메인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들과, 상기 제2메인관에 설치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가 찬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되며 헤드부와 연결된 브라켓에 의해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제2보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부재가 제1지지부재와 이 제1지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헤드부가 설치된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단부와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들과, 상기 가이드 롤러들에 지지되며 단부가 제1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를 감거나 풀어 제1지지부재에 대해 제2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윈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퇴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위치된 보스부가 제1지지부재에 설치된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에 설치된 노즐이 설치된 제1분기관들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에는 일측단부가 보스부에 지지되고 타측단부가 고정축에 고정된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퇴치장치.
KR20-2003-0015970U 2003-05-23 2003-05-23 조류 퇴치장치 KR200325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70U KR200325311Y1 (ko) 2003-05-23 2003-05-23 조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70U KR200325311Y1 (ko) 2003-05-23 2003-05-23 조류 퇴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311Y1 true KR200325311Y1 (ko) 2003-09-03

Family

ID=4941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970U KR200325311Y1 (ko) 2003-05-23 2003-05-23 조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31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48B1 (ko) 2010-11-29 2011-05-16 주식회사 거창전력 광방향에 따른 집광효율을 높인 태양전지판
KR101312240B1 (ko) * 2011-08-29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KR101353261B1 (ko) * 2011-12-06 2014-01-22 임휘용 조류 퇴치기
KR101374685B1 (ko) * 2012-03-22 2014-03-17 (주)바이오디펜스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459928B1 (ko) * 2022-07-28 2022-10-27 (주)세영통신 도로 교통량 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48B1 (ko) 2010-11-29 2011-05-16 주식회사 거창전력 광방향에 따른 집광효율을 높인 태양전지판
KR101312240B1 (ko) * 2011-08-29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KR101353261B1 (ko) * 2011-12-06 2014-01-22 임휘용 조류 퇴치기
KR101374685B1 (ko) * 2012-03-22 2014-03-17 (주)바이오디펜스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459928B1 (ko) * 2022-07-28 2022-10-27 (주)세영통신 도로 교통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269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treatment of grass
US10448571B1 (en) Universal vineyard tillage and spray carrier
KR200325311Y1 (ko) 조류 퇴치장치
KR100847900B1 (ko)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KR102116506B1 (ko) 축산농가용 이동식 방제기
US6820571B2 (en) Manually operated animal training device
US20220346328A1 (en) Fixed spray application system
US6622935B1 (en) Articulated crop spraying apparatus
US5522544A (en) Orchard or grove sprayer
KR200264576Y1 (ko)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장치
CN105961369A (zh) 一种驱赶动物装置
US11874059B2 (en) Grain drying system with air injection and extraction
JPH11235542A (ja) 果樹等への液体散布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0074585A1 (en) Eradication apparatus
KR200254029Y1 (ko) 온실의 자동방제장치
KR102176308B1 (ko) 독립형 야생동물 퇴치기
KR20190001326U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EP1465483B1 (en) Repellent apparatus and method
KR200209412Y1 (ko) 농작물 방제용 피스톤식 스프링 클러
US20010019082A1 (en) Spraying apparatus for crops having unusually high trees
KR970002401Y1 (ko) 농약살포 및 관수 분무장치
CN2158172Y (zh) 果树防虫器
CN218007372U (zh) 一种树木防虫带
US20190059350A1 (en) Insect detachment system for upstanding vegetation
JP2011015631A (ja) 野獣類河川侵入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