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301Y1 - 빈그릇 보관함 - Google Patents

빈그릇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301Y1
KR200325301Y1 KR20-2003-0015565U KR20030015565U KR200325301Y1 KR 200325301 Y1 KR200325301 Y1 KR 200325301Y1 KR 20030015565 U KR20030015565 U KR 20030015565U KR 200325301 Y1 KR200325301 Y1 KR 200325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storage box
pres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철
Original Assignee
조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철 filed Critical 조문철
Priority to KR20-2003-0015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중 음식점 등에서 음식물을 배달시켜 먹은 후 빈그릇을 보관할 수 있는 빈그릇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빈그릇 보관함은 저면에 자석이 삽입되고, 측면에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자석과 부착 가능한 철판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 일측에 상기 본체 및 커버를 매달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홀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빈그릇 보관함은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을 형성하여 사출하므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 삽입된 다수의 자석과 이와 대응하는 커버에 삽입된 철판으로 보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손잡이 기능 및 보관함을 벽이나 가구 등에 있는 고리 등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도록 하여 실용적, 경제적으로 음식점, 사무실, 가정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잔반이 흘러 넘칠 염려가 없으며, 잔반으로 인한 악취도 없어지고, 상부에 형성된 광고판을 이용하여 음식점 등을 깨끗한 이미지로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빈그릇 보관함{Dishware case}
본 고안은 빈그릇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저면에 자석이 삽입되고 측면에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자석과 부착 가능한 철판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 일측에 상기 본체 및 커버를 매달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홀이 형성된 돌출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빈그릇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바쁜 직장인, 신세대 맞벌이 부부들이 점차 늘어남에 점심이나 저녁을 직장 및 집에서 주문하여 시켜먹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빈그릇은 음식을 먹은 후 밖에 내놓아야 하는데 신문지, 폐지 등으로 대충 포장한후 다시 빈그릇 수거시까지 음식물의 잔반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치된 빈그릇은 음식물이 넘쳐 흘러 악취가 나고, 미관상 좋지 않아 음식점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식사를 한 사람 입장에서도 나중에 청소를 다시 해야 하는 등의 뒤처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측면에 주름이 형성되도록 사출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 삽입된 다수의 자석과 이와 대응하는 커버에 삽입된 철판으로 보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손잡이 기능 및 보관함을 벽이나 가구 등에 있는 고리 등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회용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도록 하여 실용적, 경제적으로 음식점, 사무실, 가정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잔반이 흘러 넘치거나 잔반으로 인한 악취가 나지 않도록 하며, 상부에 형성된 광고판을 이용하여 음식점 등을 깨끗한 이미지로 홍보할 수 있도록 한 빈그릇 보관함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체형 결합으로 형성된 빈그릇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힌지 결합으로 형성된 빈그릇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자석에 의해 보관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홀더에 의해 보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타원형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팔각형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봉지형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자석
102 : 주름 103 : 결합부
103' : 힌지 104 : 홀더
105, 115 : 체결부 106 : 지지부
110 : 커버 111 : 철판
112 : 홀 113 : 돌출부
114 : 벨크로 115' : 묶음끈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저면에 자석(101)이 삽입되고, 측면에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102)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자석(101)과 부착 가능한 철판(111)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110), 상기 커버(110) 일측에 상기 본체(100) 및 커버(110)를 매달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홀(112)이 형성된 돌출부(113),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110)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빈그릇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본체(100) 및 커버(110)는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사출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하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는 다수의 주름(102)을 형성하여 보관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자석(101)을 삽입하되 빈그릇이 담겨지는 저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110)에는 상기 본체(100)의 자석(101)과 부착될 수 있는 철판(111) 또는 금속재를 삽입한다. 상기 다수의 주름(10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그릇 보관함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접혀지고, 상기 자석(101)과 상기 철판(111)이 부착되면 빈그릇 보관함을 납작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저면 하부의 측면 끝단에는 지지대(106)를 형성하여 빈그릇 보관함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106)의 내부에 상기 자석(101)을 삽입하여 1개의 자석과 이에 상응하는 철판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자석과 이에 상응하는 철판을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110)가 결합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결합부(103)로 형성하여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힌지(103')를 이용하여 회전식으로 열고 닫을 수도 있다. 상기 일체형 결합부(103)로 형성하면 제작비용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나 반복되는 굽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굽힘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힌지(103')을 사용하여 결합부를 구성하는 것은 제작비용은 증가하지만 사용기간을 반영구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105, 115)는 원터치 단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에는 원터치 단추의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110)에는 똑딱이 단추의 돌출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여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빈그릇 보관함은 음식을 시식한 후 그릇을 보관하는 것으로 냄새가 보관함 밖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이루어지면 가능하기 때문에 체결부의 체결력을 높이는 것 보다는 더욱 경제적으로 제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도 5는 벨크로(VELCRO) 또는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한쌍의 홀더(104)를 사용하여 용량이 크게 제작된, 즉 높이나 두께가 높고 두껍게 설정된 것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빈그릇 보관함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자석만으로는 압축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빈그릇 보관함을 상기 본체(100) 저면의 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홀더(104)와 상기 커버(110)에 상응하여 형성된 부착부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110)를 체결하도록 하며, 상기 홀더(10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빈그릇 보관함의 사용시 상기 벨크로 또는 매직테이프가 저면의 하부에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홀더를 다수 겹치게 하여 부착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1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113)는 상기 커버(110)를 열고 닫을때 손잡이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돌출부(113)에 홀(112)을 형성하도록 하여 보관함을 접어서 보관할 때 벽이나 가구 등에 형성된 고리 등에 상기 홀(112)을 걸어 편리하게 매달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10)의 상부에는 광고판을 부착하여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타원형과 팔각형의 빈그릇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빈그릇 보관함의 형상을 장방형의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식 종류에 따라 그릇의 크기 및 형상이 차이가 있어 타원형이나 팔각형 등 또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빈그릇 보관함의 경우에도 결합부나 체결부 등 기능면에서는 동일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 재질을 더욱 얇게 하여 마치 종래의 비닐봉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10)의 형상을 다수의 묶음끈(115')으로 형성한 봉지형 빈그릇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상기 다수의 묶음끈(115')으로 형성된 빈그릇 보관함은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비닐봉지는 그릇 등을 보관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주름을 형성하여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상부에 간단히 다수의 묶음끈을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상 간편하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여 본 고안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변화들 및 변형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보통의 사람들에게 명백히 쉬워질 것임이 자명하다. 본 고안의 그러한 변형들의 범위는 본 고안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고안의 빈그릇 보관함은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을 형성하여 사출하므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 삽입된 다수의 자석과 이와 대응하는 커버에 삽입된 철판으로 보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돌출부는 손잡이 기능 및 보관함을 벽이나 가구 등에 있는 고리 등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비용이 저렴하도록 하여 실용적, 경제적으로 음식점, 사무실, 가정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잔반이 흘러 넘칠 염려가 없으며, 잔반으로 인한 악취도 없어지고, 상부에 형성된 광고판을 이용하여 음식점 등을 깨끗한 이미지로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저면에 자석(101)이 삽입되고, 측면에 폴리프로필렌 계통의 합성수지 재질로 주름(102)이 형성된 본체(100);
    상기 자석(101)과 부착 가능한 철판(111)이 삽입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일체형 결합(103) 및 힌지부(103')중 어느 하나로 결합된 커버(110);
    상기 커버(110) 일측에 상기 본체(100) 및 커버(110)를 매달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홀(112)이 형성된 돌출부(113);
    원터치 단추로 형성된 상기 본체(100)의 체결부(105)와 상기 커버(110)의 체결부(115); 및
    상기 본체(100) 저면에 형성된, 끝단에 벨크로(114)가 부착된 홀더(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빈그릇 보관함.
KR20-2003-0015565U 2003-05-20 2003-05-20 빈그릇 보관함 KR200325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65U KR200325301Y1 (ko) 2003-05-20 2003-05-20 빈그릇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65U KR200325301Y1 (ko) 2003-05-20 2003-05-20 빈그릇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301Y1 true KR200325301Y1 (ko) 2003-09-02

Family

ID=4941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65U KR200325301Y1 (ko) 2003-05-20 2003-05-20 빈그릇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3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041B1 (ko) 2007-01-26 2008-06-03 정승호 광고용 잔반용기 커버
KR200453944Y1 (ko) 2011-03-08 2011-06-03 조명호 음식물 배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041B1 (ko) 2007-01-26 2008-06-03 정승호 광고용 잔반용기 커버
KR200453944Y1 (ko) 2011-03-08 2011-06-03 조명호 음식물 배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9694A (en) Refuse receptacle with renewable liners
US6199714B1 (en) Waste receptacle with swept debris pick up and features to maximize convenient use of receptacle liners
US7168591B1 (en) Trash bag dispenser
US6364147B1 (en) Waste can with concealed waste bag and swing-open lid
KR100965498B1 (ko)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상자
TW396138B (en) Decorating bag
US5377941A (en) Support frame for sink waste bags
US5806678A (en) Box for earplugs
KR200325301Y1 (ko) 빈그릇 보관함
US6012843A (en) Recycle plastic bag holder
US20090020533A1 (en)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36787A1 (en) Self-standing disposable bag
JP7213153B2 (ja) くず入れ
JP2527924Y2 (ja) 壁掛け用の入れ物
CN215884916U (zh) 一种垃圾桶
JP3853987B2 (ja) 商品収納容器
JP3003392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ケース
JP3052527U (ja) 蓋付きバケツ
TWI222417B (en) Case supporter and cases
KR200310196Y1 (ko) 일회용 컵 보관대
JPS6137307Y2 (ko)
JP3959514B2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収納箱
JPH0225695Y2 (ko)
KR200255584Y1 (ko) 분유스푼 보관부재
KR100434809B1 (ko) 분유스푼 보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