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156Y1 -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156Y1
KR200325156Y1 KR20-2003-0015821U KR20030015821U KR200325156Y1 KR 200325156 Y1 KR200325156 Y1 KR 200325156Y1 KR 20030015821 U KR20030015821 U KR 20030015821U KR 200325156 Y1 KR200325156 Y1 KR 200325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ling
accelerator
weigh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8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옥
Original Assignee
이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옥 filed Critical 이경옥
Priority to KR20-2003-0015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1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15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유낙하되는 파일(10)의 내부에 가속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지반에 접촉하는 1차 충격 순간 파일 내부 가속장치에 고정된 중량추(11)가 분리되어 2차 충격을 유도하는 구조로 되어 자유낙하 파일링 공법을 보완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apable of double filing, in particular, an accelerator is included in the pile (10) that is freely dropped by using the potential energy is fixed to the internal accelerator of the first impact moment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weight (11) is separated to have a structure to induce a secondary impact has the advantage of complementing the free fall filing method.

또한, 가속장치로 인하여 일정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아도 되며, 동일한 환경에서는 2중의 파일링 효과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ccelerator does not need to rise above a certain he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double piling effect in the same environment.

Description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Dual filing file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위치에너지 기반 자유낙하 방식으로 파일링하는 공법에 있어서 자유낙하되는 파일 내부에 가속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파일링 공정을 견고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that can firmly perform the filing process by including an accelerator in the free fall file in the method of filing with a position energy-based free fall method using a helicopter.

개선된 파일의 가속장치로 인하여 헬리콥터를 일정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아도 되며, 동일한 높이 환경에서 2차 타점이상의 파일링 효과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The improved pile accelerator does not require the helicopter to rise above a certain he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piling effect of more than a second RBI in the same height environment.

이에 관한 다른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유사한 기술로 지반 천공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법으로 파일 시공을 위한 항타작업시 케이싱만을 물고 회전시켜 천공하는 케이싱오거가 있으며, 또한, 지반구조에 관계없이 천공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 스크류함마를 이용하여 천공을 행하는 싱글오거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85602호 '스크류함마를 이용한 파일 시공장치'에서는 상기 두가지를 병행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Looking at the other 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this, there is a casing auger which is punched by biting and rotating only the casing during the rudder work for pile construction as a method used for the ground drilling work with similar technology, and also possible to drill regardless of the ground structure There is a single auger for drilling using a screw hammer having a.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85602 'File construction device using a screw hammer' introduces a technology of the two in parallel.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고정된 공사현장에서 천공장비를 갖춘 다음 시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지고 있으며, 제방이 유실되는 긴급한 상황하에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파일링 시공이 되어야 하므로 헬리콥터로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의 파일링이 적합한 시공공법이다.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a process of carrying out the next construction with the drilling equipment at a fixed construction site, and in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the dike is lost, filing construction regardless of the place should be a free fall method using a position energy as a helicopter Piling is a suitable construction method.

하지만 자유낙하 방식의 파일링 공법은 지반에 단지 1회의 타격만을 가할 수 있어서 이는 지반에 따른 파일링 깊이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확실한 파일링 시공을 위해 지반에 박힌 파일을 한번더 파일을 타격하여 지반에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는 공법이 필요하다.However, the free-fall filing method can apply only one blow to the ground, which can cause a difference in the filing depth according to the ground. For more reliable filing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method that can be firmly placed on the ground by hitting the file once again.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방 유실과 같은 긴급상황에 적합한 자유낙하 방식 파일링을 행할때 1회 타점 파일방식을 가속장치를 포함한 파일을 이용하여 적어도 2회 이상의 타점을 만들어 지반에 삽입되는 파일을 개선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e containing an accelerator device to the one-hit file method when performing the free-fall type filing suitable fo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the loss of the embankment This is to improve the file inserted into the ground by making at least two RBI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속장치가 포함된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ile including an ac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속장치가 포함된 파일을 이용하여 유실제방을 복구하는 시공 공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a lost embankment using a file containing an ac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파일(PILE) 11: 2차 충격용 중량추10: PILE 11: Weight for 2nd impact

12: 중량추 통로 13: 중량추 고정장치12: Weight passage 13: Weight fixing device

14: 중량추가 낙하되어 2차 충격받는 파일 내부 단면14: Internal section of pile subjected to secondary impact with weight drop

20: 유실제방 30: 파일 운반 및 낙하 기능의 헬리콥터20: Lost embankment 30: Helicopter with file carrying and dropping

40: 유실제방으로 흘러나오는 강물40: River flowing to the Lost Dyke

50: 지반50: ground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유낙하 방식 파일링에 사용되는 파일(10)에; 2차 충격을 만들기 위한 중량추(11)와; 상기 중량추의 자유낙하 통로(12)와; 시공전에 중량추를 일정높이에서 고정하고 있는 중량추 고정장치(13)와; 상기 고정장치의 풀림으로 낙하되어 중량추가 파일내부 타격하는 단면(14)로 구성된 가속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e 10 used for free-fall type filing; A weight 11 for making a secondary impact; A free fall passage 12 of the weight; A weight fixing device 13 for fixing the weight at a predetermined height before construction; It includes an accelerator composed of a cross-section (14) that falls to the release of the fixing device to strike the weight added to the pile.

또한, 본 고안은 파일(10)의 일반적인 형태 뿐만 아니라 파일(10) 구조를 기본으로 다수개 파일로 구성된 파일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ile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le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pile 10 as well as the general form of the pile (10).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가속장치가 포함된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1회 타점을 적어도 2회 이상의 타점을 가지는 파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roved to a file having at least two RBIs once the existing RBI by using a file including the accelerato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속장치가 포함된 자유낙하 방식 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ee-fall file including an ac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장치가 포함된 파일(10)은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으로 지반에 파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파일(10)이 지반에 접촉하는 순간 1차 타점이라 하며, 1차 타점이 일어나는 순간 파일 내부 가속장치의 일부인 중량추 고정장치(13)가 풀리게 되어 다시 중량추(11)의 자유낙하로 인하여 파일 자체 타격이 한번더 이루어지면서 파일이 지반에 박힌 것을 견고히 파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here, the pile 10 including the accel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is piled on the ground by the free fall method using the potential energy, and the pile 10 is called the first RBI when the pile 10 contacts the ground. The weight fixing device 13 which is a part of the internal acceleration device of the pile is released at the moment of hitting, and the pile itself is hit by the free fall of the weight 11 again, and the pile is firmly piled on the ground. It is done.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속장치가 포함된 파일을 이용하여 유실제방을 복구하는 시공 공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a lost dike using a file containing an ac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 유실초기에 가속장치가 포함된 중량의 파일(10)을 일정높이 이상 들어 올리는 기능과 자유낙하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헬리콥터(30)를 이용하며, 자유낙하되는 중량의 파일(20)에 의해 1차 지반에 삽입이 되며, 이와 동시에 파일내부 가속장치의 동작으로 2차 파일링이 이루어지면서 유실된 제방의 지반(50)에 깊숙히 파일링됨으로써 빠른 유속에 쓸려나가지 않게 되어 제방 복구용 토석이나 구조물로 막을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파일링 시공 공법이다.As shown here, using the helicopter 30 having a function of lifting the pile 10 of weight including the accelerator in the initial stage of the embankment loss more than a certain height and the function of free-falling, the pile of free falling weight ( 20) is inserted into the primary gr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ile is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pile internal accelerator, and is piled deeply on the ground of the lost dike 50 so that it is not washed out at a high flow rate. It is a piling construction method that provides a foundation that can be prevented by building structur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위치에너지 기반 자유낙하 방식으로 파일링하는 공법에 있어서 자유낙하되는 파일 내부에 가속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파일링 공정을 견고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속장치로 인하여 헬리콥터를 일정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아도 되며, 동일한 환경에서는 2중 타격의 파일링 효과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rmly performing a filing process by including an accelerator in a free fall file in a method of filing with a potential energy-based free fall method using a helicopter. By doing so, it is not necessary to lift the helicopter more than a certain height due to the accelerator, and in the same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a double impact piling effect.

Claims (3)

2차 충격용 중량추(11)와;A secondary impact weight 11; 상기 중량추가 자유낙하가 이루어지는 통로(12)와;A passage 12 through which the weight addition free fall is made; 상기 중량추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3)와;A fixing device (13) for fixing the weight; 상기 중량추가 자유낙하하여 충격을 주는 파일내부단면(14);A pile inner cross section 14 in which the weight addition falls freely and gives an impact;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Dual filing fil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e is 다수개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물Pile structure consisting of multiple files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The dual filing possible f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device 자유낙하된 파일이 지반에 1차 접촉으로 인한 충격으로 고정장치가 해제되는 구조Structure in which the free-falling pile is released by the impact of primary contact with the ground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파일링이 가능한 파일.Double filing possible f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20-2003-0015821U 2003-05-22 2003-05-22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KR2003251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21U KR200325156Y1 (en) 2003-05-22 2003-05-22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821U KR200325156Y1 (en) 2003-05-22 2003-05-22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156Y1 true KR200325156Y1 (en) 2003-09-02

Family

ID=4941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821U KR200325156Y1 (en) 2003-05-22 2003-05-22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15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25U (en) * 2017-09-12 2019-03-20 박상호 Floating pile-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25U (en) * 2017-09-12 2019-03-20 박상호 Floating pile-plate
KR200490066Y1 (en) * 2017-09-12 2019-09-18 박상호 Floating pile-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86285A (en) A kind of novel steel tube pile foundation rock borehole anchorage method
Briaud et al. Static capacity prediction by dynamic methods for three bored piles
KR200325156Y1 (en)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CN102409978B (en) Rotary drilling hole forming method by using multi-stage alloy pilot roller bit in complex stratum cast-in-place pile construction
Van Dorp et al.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installation of offshore foundation monopiles for windfarms
KR20040099517A (e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pile with accelation apparatus
JPS59161516A (en) Fixing of anchor for sheet pile wall in rock layer
CN100557144C (en) A kind of method of removing the bored pile construction obstacle
CN208152019U (en) For coastal double steel pile casting structures across riprap layer drilled pile drilling construction
CN115493467B (en) Underwater loose blasting construction method for bored pile
Jones et al. Design of large twin-wall cofferdams for ship impact
van Dorp et al. The installation of a monopile for an offshore platform using a vibrohammer
US20240068790A1 (en) Piston-type explosive loading and blas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hard rock cable pit
Moriyasu et al. Development of new type of breakwater reinforced with steel piles against a huge tsunami
Zhang et al. Numerical Analysis of Lateral Behaviour of Large-diameter Monopile in Saturated Clay
Dechiron et al. Prelude FLNG driven anchor piles in Australian carbonate soils: free-fall risk management by design
Seidel et al. The instantaneous liquefaction of silty soils during installation of displacement piles
Davidson et al. The evaluation of current pile driving prediction methods for driven monopile foundations in London clay
Murthy et al. PILE DRIVING INSTRUMENTATION OF 54-INCH PILES IN GRAVELS AT THE WIRIAGAR DEEP PLATFORM IN BERAU BAY, INDONESIA
CN114892649A (en) Water-resisting bolt of cast-in-place pile and use method thereof
Chin Installation of 1.2 m Diameter Closed-Ended Steel Tubular Piles into Kings Park Formation
Brown Learning From Pile Driving Failures: Out of Sight Can't be Out of Mind
Fox et al. Pile driving into North Sea boulder clays
Afolayan et al. Stochastic Modelling of Dynamic Pile Capacity using Hiley, Janbu and Gates Formulae
Man et al. Performance of Driven Piles in Gravelly Sands With Cob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