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082Y1 - 실험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실험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082Y1
KR200325082Y1 KR20-2003-0017027U KR20030017027U KR200325082Y1 KR 200325082 Y1 KR200325082 Y1 KR 200325082Y1 KR 20030017027 U KR20030017027 U KR 20030017027U KR 200325082 Y1 KR200325082 Y1 KR 200325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fastened
support arm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바다
Original Assignee
이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바다 filed Critical 이바다
Priority to KR20-2003-001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0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4Retort stands; Retort clamps

Abstract

본 고안은 실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와 서포트암이 여러개로 분리되고, 지지판은 접철되도록 구성하도록 한 실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면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구비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고, 일단에는 볼트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다수개가 일축상으로 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된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최상부에 체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세로대에 결합되는 나선이 형성되며, 일측 중앙부로 삽입공을 형성한 상부세로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포스트와; 일단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일축상으로 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된 가로대가 다수개 체결되어 상기 삽입공에 끼움되는 서포트암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해지는 효과와 더불어 높이와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실험용 스탠드{a stand for experiment}
본 고안은 실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와 서포트암이 여러개로 분리되고, 지지판은 접철되도록 구성하도록 한 실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용 스탠드는 학교의 실험수업 또는 실험실에서 스프링이나 기타 실험장비를 바닥보다 높은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상부에 포스트(200)와 서포트암(300)을 일체로 구비하여 서포트암(300)에 여러가지 실험도구들을 고정하거나 걸쳐놓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험용 스탠드는 포스트와 서포트암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크기가 커서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실험실의 테이블 위에 단순히 올려놓아 보관하므로 인해 실험실의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했으며, 이로 인해 실험실의 정리도 상당히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포스트와 서포트암이 지지부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다단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게 하며, 분리된 포스트와 서포트암을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판이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구비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고, 일단에는 볼트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다수개가 일축상으로 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된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최상부에 체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세로대에 결합되는 나선이 형성되며, 일측 중앙부로 삽입공을 형성한 상부세로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포스트와; 일단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일축상으로 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된 가로대가 다수개 체결되어 상기 삽입공에 끼움되는 서포트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보관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지지부의 접철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실험용 스탠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
11 : 제1지지판
111 : 결합공
12 : 제2지지판
121 : 서랍삽입구 122 : 서랍
13 : 힌지
20 : 포스트
21 : 세로대
22 : 상부세로대
221 : 삽입공
30 : 서포트암
31 : 가로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면으로 결합공(111)이 형성된 구비된 제1지지판(11)과, 상기 제1지지판(11)에 힌지(13)결합되는 제2지지판(12)으로 구성된 지지부(10)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공(111)은 내측면으로 나선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세로대(21)가 체결될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지지판(12)은 상기 제1지지판(11)과 서로 접철되도록 힌지(13)로 결합한다.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로는 상기 결합공(111)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볼트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다수개가 서로 체결가능하게 형성된 세로대(21)를 체결하여 포스트(20)를 형성한다.
상기 세로대(21)는 같은 형상이 여러개가 구비되어 연속으로 결합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합하는 세로대(21)의 수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세로대(21)의 최상부에는 상부세로대(22)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세로대(22)는 하부가 상기 세로대(21)에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일측 중앙부로 삽입공(221)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서포트암(30)이 삽입되도록 한다.
더불어, 일측에는 너트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볼트가 형성되어 다수개를 일축상으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가로대(31)를 다수개 체결하여 서포트암(30)을 형성한다.
상기 서포트암(30)은 상기 삽입공(221)에 끼움되어 포스트(20)와 직각을 이루면서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암(30)에 실험하고자 하는 장비들을 고정하여 실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2지지판(12)의 전면에는 서랍(122)삽입구(121)를 형성하고, 상기 서랍(122)삽입구(121)와 대응되는 크기로 서랍(122)을 형성하여 상기 가로대(31)와 세로대(21) 및 기타 실험 장비들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사시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3)를 중심으로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을 펼친 후 결합공(111)에 다수개의 세로대(21)를 차례대로 체결하여 포스트(20)를 형성한다.
또한, 다수개의 세로대(21)를 체결하여 서포트암(30)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세로대(22)에 형성된 삽입공(221)에 끼워 전체적인 실험용 스탠드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보관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먼서 가로대(31)와 세로대(21)를 모두 분해하여 제2지지판(12)의 전편에 구비된 서랍(122)에 수납하게 되며, 가로대(31)와 세로대(21) 뿐만 아니라 소형의 실험장비들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지지부의 접철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은 제2지지판(12)의 상부에 힌지(13)에 의해 접철되므로서 본 고안의 보관과 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스트가 지지판과 분리되고, 다단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세로대와 가로대로 분리되는 포스트와 서포트암으로 구성되며, 가로대와 세로대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서랍을 구비하므로 인해 스탠드의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해지는 효과와 더불어 높이와 길이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분리된 가로대와 세로대의 분실의 위험이 없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판이 접철되도록 구성하므로 인해 보관상태에서의 공간확보가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지지부(10)와 포스트(20)와 서포트암(30)으로 구성된 실험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는, 상면으로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서랍이 장착되는 서랍삽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20)는, 다단으로 나사결합되는 다수개의 세로대(21)와 상기 세로대(21)의 최상부에 구비되고, 일측 중앙부로 삽입공(221)을 형성한 상부세로대(2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결합공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암(30)은 다단으로 나사결합되는 다수개의 가로대(31)가 상기 삽입공(221)에 끼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는, 제1지지판(11)과 제2지지판(12)이 힌지(13)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접철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스탠드.
KR20-2003-0017027U 2003-05-30 2003-05-30 실험용 스탠드 KR200325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27U KR200325082Y1 (ko) 2003-05-30 2003-05-30 실험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027U KR200325082Y1 (ko) 2003-05-30 2003-05-30 실험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082Y1 true KR200325082Y1 (ko) 2003-08-27

Family

ID=4933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027U KR200325082Y1 (ko) 2003-05-30 2003-05-30 실험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0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28B1 (ko) 2011-09-07 2013-02-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계센서 설치장치
KR200470473Y1 (ko) * 2013-04-02 2013-12-20 최지혜 보관이 편리한 높이 조절 겸 접이용 실험 스탠드
KR20170008035A (ko) 2015-07-13 2017-01-23 조영모 온도계 걸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학 실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28B1 (ko) 2011-09-07 2013-02-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계센서 설치장치
KR200470473Y1 (ko) * 2013-04-02 2013-12-20 최지혜 보관이 편리한 높이 조절 겸 접이용 실험 스탠드
KR20170008035A (ko) 2015-07-13 2017-01-23 조영모 온도계 걸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학 실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094B2 (en) Table assembly
US6035962A (en) Easily-combinable and movable speaker case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US9364104B1 (en) Collapsing clothing display fixture
US6467109B1 (en) Hammock assembly
US6598753B2 (en) Foldable umbrella stand
US6283045B1 (en) Foldable table
US6224504B1 (en) Basketball practice assembly
US20090020528A1 (en) Box Assembly that is Assembled Easily and Quickly
JPH09168441A (ja) ラック
KR20180097589A (ko) 접이식 침대 베이스
US20040250739A1 (en) Extendable sectional table
KR200325082Y1 (ko) 실험용 스탠드
US5664267A (en) Base of a collapsible baby playing bed
KR20040031568A (ko) 지지 장치
EP1254619A1 (en) Combination rack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KR100781097B1 (ko) 등산용 절첩식 테이블
EP0226230A1 (en) Mobile structure for display purposes such as shows and exhibitions
KR200241273Y1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200301030Y1 (ko) 해먹 침대
KR200350479Y1 (ko) 이젤용 메인후레임 및 이를 포함한 이젤
KR200263869Y1 (ko) 조립 탁자
JPH11196939A (ja) テーブル
CN219813466U (zh) 一种折叠便携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