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61Y1 -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 Google Patents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61Y1
KR200324861Y1 KR20-2003-0018439U KR20030018439U KR200324861Y1 KR 200324861 Y1 KR200324861 Y1 KR 200324861Y1 KR 20030018439 U KR20030018439 U KR 20030018439U KR 200324861 Y1 KR200324861 Y1 KR 20032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optical reading
reading card
ligh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국
Original Assignee
백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국 filed Critical 백영국
Priority to KR20-2003-0018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오엠알 또는 오씨알과 같은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일정표시를 함으로써 시험장 또는 기타의 장소에서 지정된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외에 다른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가 사용될시에는 이를 적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데이타입력열을 표시하는 타이밍마킹부와,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일정부위에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코드부와, 상기 투광코드부와 조합배열되어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비투광코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투광코드부와 비투광코드부의 조합에 의해 상기 광학식판독카드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투광코드부는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반사잉크를 이용하며, 상기 타이밍마킹부는 상기 투광코드부와 상기 비투광코드부를 조합하여 배열형성됨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Optical interpretation card and sheet for sensing to be changed and copyed by injustice conduct}
본 고안은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오엠알 또는 오씨알 카드 및 쉬트에 일정표시를 함으로써 시험장 또는 기타의 장소에서 지정된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외에 다른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가 사용될시에는 이를 적발할 수 있도록 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관한 것이다.
오엠알(Optical Mark Reader)과 오씨알(Optical Character Reader) 같은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Optical interpretation card and sheet)는 국가자격시험, 운전면허 또는 기업체의 입사지원서, 적성검사 및 각종지로등의 데이타 입력용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즉. 예를들면, 시험답안지로 사용된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의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일정영역에 컴퓨터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정답을 표시하게 되고, 이를 채점하기 위해서는 광학식판독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답안지의 정답 및 오답을 비교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광학식판독장비는 상기 광학식판독카드등에 광을 투과시키고, 그리고 투과된광을 수광하여 광이 투과된 위치와 광량을 조합하여 정답 및 오답을 판단한다. 즉, 수험생이 컴퓨터용 필기도구를 이용하여 답안지에 마킹한 일정영역에 광을 조사하면, 입사된 광은 상기 마킹영역을 투과하여 수광부에 수신된다. 그리고 수광부에서는 수신된 광신호의 위치와 광량을 조합하여 설정된 데이타와 비교하여 일정위치에서 일정레벨이상의 광신호가 투과되었을 경우에만 이를 인지한다.
따라서 인지된 광신호가 투과된 위치 및 투과된 광량과 내부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답데이타와 비교하여 정답 또는 오답인지를 판단하여, 정답위치에서 투광된 광신호만을 연산하여 사용자의 점수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오엠알카드 및 쉬트는(Optical Mark Reader )는 주로 적외광을 사용하고, 오씨알카드 및 쉬트(Optical Character Reader)는 가시광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오엠알과 오씨알과 같은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는 시행기관에서 공급하지 아니한 동일한 답안지를 몰래 가지고 들어와 시험 등을 치루고, 시험이 끝날 때 몰래 답안지를 바꾸거나, 또는 채점과정에서 답안지를 몰래 바꾸어도 이 답안지가 시행기관에서 공급한 것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는 프로그램과 동시 개발되어야만 데이타입력 및 판독이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제작업체는 판독프로그램과 카드 또는 쉬트를 함께 개발하여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를 대량으로 인쇄하는 인쇄업체의 과열경쟁으로 인하여, 카드 및 쉬트의 판매가격에 프로그램 개발비용을 반영하여 판매하는 제작업체의 입장에서는 프로그램개발비용의 보전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광학식카드 및 쉬트의 기술개발이 제한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오엠알 또는 오씨알카드 및 쉬트에 시행기관이 부여한 코드를 부가함으로써 해당기관이 인정하고 발행한 광학식판독카드를 식별함으로써 제작업자의 동의없는 무단복제 및 시행기관이 인정하지 않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시트가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광학판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투과된 광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학식판독카드 11 : 인입부
12 : 인입감지센서 13 : 급지롤러
14 : 용지수량감지센서 15 : 이송롤러
16 : 판독부 17 : 배출롤러
1, 3, 5, 7, 9 : 투광코드부 2, 4, 6, 8 : 비투광코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구성은 사용자가 마킹표시하는 데이타 입력열에 광을 투과시켜 입력된 데이타를 판독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입력열을 표시하는 타이밍마킹부와,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일정부위에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코드부와, 상기 투광코드부와 조합배열되어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비투광코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투광코드부와 비투광코드부의 조합에 의해 상기 광학식판독카드 및 시트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투광코드부는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반사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이밍마킹부는 상기 투광코드부와 상기 비투광코드부를 조합하여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광이 투과되는 투광코드부와 조합된 비투광코드부의 위치와 숫자에 따라서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제작날짜, 사용날짜등의 관리자가 각각의 광학식판독카드 및 시트를 분류할 수 있는 관리번호를 인지할 수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부호 1, 3, 5, 7, 9는 투광코드부, 2, 4, 6, 8은 비투광코드부, 10a는 타이밍마킹부이다.
투광코드부(1, 3, 5, 7, 9)는 조사되는 광을 투과키기고, 비투광코드부(2, 4, 6, 8)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며, 타이밍마킹부(10a)는 광학식판독카드 또는 쉬트에서 사용자가 마킹표시하는 입력열을 표시한다.
투광코드부(1, 3, 5, 7, 9)는 광투과성잉크를 이용하여 마킹되고, 비투광코드부(2, 4, 6, 8)는 광반사잉크를 사용되어 마킹된다. 여기서 광투과성 잉크는 마크나 심볼 또는 문자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백반사율에 인쇄된 부분의 반사율인 흑반사율을 뺀 결과치에 인쇄안된 부분의 반사율로 나눈 인쇄영역 대비 비인쇄영역의 비율인 인쇄반사율(Printed contrast signal)이 0.15이하인 광투과성 잉크를 사용한다.
아울러 비투광코드부(2, 4, 6, 8)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잉크는 상기 인쇄반사율이 0.15이상인 광반사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광이 입사되면 표면에서 반사된다.
광학식판독기구(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예를들면, 상기 광학식판독카드를데이타처리하기 위하여 인입시키면, 먼저 광학식판독기구는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하면에 마킹표시된 타이밍마킹부(10a)를 판독하여 데이타입력열이 존재함을 판단한다. 그리고, 타이밍마킹부(10a)가 인지되면, 광학식판독기구는 상기 타이밍마킹부(10a)와 동일선상의 데이타입력열에 광을 조사하고, 각각의 데이타입력항에서 투과된 광량과 위치를 비교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타입력열이란 예를들면, 수험생이 시험지의 답안을 번호가 표시된 행에 따라서 마킹표시하는 입력열을 말한다.
따라서 코드부(1~9)의 하면에 표시된 타이밍마킹부(10a)를 인지한 후, 코드부의 D열(D)의 투광코드부(1, 3, 5, 7, 9)와 비투광코드부(2, 4, 6, 8)의 배열을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투광코드부(1, 3, 5, 7, 9)와 비투광코드부(2, 4, 6, 8)를 조합하여 배열함으로써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발행기관 또는 사용날짜등, 시험기관의 관리자가 각각의 시험답안지를 구분해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예를들면 상기 광학식판독카드가 사용되는 시험 또는 기타 장소의 관리번호가 2468이면, 측면여백의 D열(D)의 2번째, 4번째, 6번째, 8번째 코드를 비투광코드(2, 4, 6, 8)로 인쇄를 하고 나머지 코드를 투광코드(1, 3, 5, 7, 9)로 제작한다.
또는 좀더 세밀하게 상기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상기 D열(D)의 측면에 E열(E)의 코드부를 추가하여 상기와 같은 코드부(1~9)를 추가형성함으로써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광학식판독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3은 수광된 광신호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들면, 국가자격시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를 답안지로 채택할 경우에 시험관리자가 상기 답안지에 시험시행일 또는 상기 시험의 관리번호등을 상기 답안지에 표시되도록 제작한다. 즉, 시험의 관리번호가 2468이면 2번째, 4번째, 6번째, 7번째 코드부를 비투광코드부(2, 4, 6, 8)로 제작하여 시험답안지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수험자가 배포된 답안지에 정답을 기재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관리자가 이를 수거하여 채점관리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채점관리자는 전달된 답안지를 도 2에 도시된 광학식판독기구에 상기 답안지를 투입하여 채점한다.
도 2에 표시된 도면번호 11은 인입부, 12는 인입감지센서, 13은 급지롤러, 14는 용지수량감지센서, 15는 이송롤러, 16은 판독부, 17은 배출롤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점관리자가 상기의 답안지(10)가 전달되면 관련절차를 거친후 상기 광학식판독기구를 이용하여 채점을 하게된다. 먼저 채점관리자는 인입부(11)에 상기 답안지를 인입시키면, 인입감지센서(12)는 인입부(11)에 용지가 안착되었음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용지의 인입감지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인입감지신호가 인가되면 급지롤러(13)를 구동시켜 인입부(11)의 용지를 이송한다. 따라서 답안지는 급지롤러(11)에 의해 이송되며, 용지수량감지센서(14)는 상기 급지롤러(13)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수량을 감지한다. 즉, 이송되는 답안지가 각각 1장씩 이동되는 지를 감지하여 여러장의 답안지가겹쳐서 또는 동시에 이송시에는 에러신호를 인가하여 이송롤러(15)를 정지시키고, 각 1장씩 정상적으로 이송시에는 이송롤러(15)를 구동시켜 답안지를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롤러(15)에 의해 이송된 답안지는 판독부(16)에 전달되고, 판독부(16)는 상기 답안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답안지에서 투과된 광을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된 데이타와 수신된 광신호를 비교하여 정답 또는 오답에 따른 각각의 값을 연산한다.
이때, 답안지의 코드부(1~9)를 투과하여 수신된 광신호는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A는 광투과신호이고, B는 비투과신호, C는 기준레벨을 표시한다.
상술한 예에서 1, 3, 5, 7, 9 코드는 광투과잉크로 제작되었고, 2, 4, 6, 8코드를 비투과성잉크로 제작함에 따라서, 1, 3, 5, 7, 9코드는 광이 투과됨에 따라서 투광된 광량에 비례한 광투광신호(A)를 발생시킬 수 있고, 2, 4, 6, 8코드는 비투과성잉크로 제작됨에 따라서 기준레벨(C)에서 일정범위 이하의 비투광신호(B)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코드부(1~9)외의 하얀여백을 투과하는 광은 기준레벨(C)이하의 광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비투과성코드부(2, 4, 6, 8)에서 수신된 비투과신호에 따라서 판독부(16)는 시험지관리번호가 2468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번호는 시험기관의 관리자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코드부의 D열(D)을 대분류, E열(E)은 소분류를 표시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학식판독카드를 사용하는 기관과 시험과목등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고, 또는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한 코드방법에 따라서 광학식판독카드를 분류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판독부(16)는 각각의 답안지에 광을 조사하고, 답안지에 서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내부저장된 2468번의 관리번호와 동일하면 배출롤러(17)를 구동시켜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나 다른 관리번호가 감지되면 즉각 이를 표시하고, 경고음등으로 통하여 관리자에 경고를 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정행위자를 적발 할 수 있게 되며, 시험시행기관에서는 사전에 이러한 사항을 널리 홍보함으로써 부정행위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제 1 실시예에서 예시된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 외에도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요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광학식판독카드(10) 및 쉬트의 측면여백에 별도의 코드부를 형성하지 않고 타이밍마킹부(10a)에 투광코드부(21~32)와 비투광코드부(33~38)를 조합하여 배열한다.
즉, 도면부호 21 내지 38의 타이밍마킹부(10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투광코드부(21~32)와 비투광코드부(33~38)를 형성하여 상기 광학식판독카드(10) 또는 광학식판독쉬트에 고유의 관리번호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비투광코드부(33~38)가 형성된 타이밍마킹부(10a)와 동일선상의 데이타열의 입력데이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투광코드부(33~38)에서 투과된 광량의 일정범위를 상향조정하고, 일반여백에서의 광투과율과 대비될 수 있도록 상기 비투광코드부(33~38)의 광반사율을 조정하여 일반여백을 투과시에 발생되는 수광신호와 상기 비투광코드부(33~38)를 투과시에 발생되는 수광신호를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비투광코드부(33~38)를 타이밍마킹부(10a)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예시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달리 단순한 마킹표시가 아니고 도형 또는 문자로서 투광코드부(41, 42)와 비투광코드부(43, 44)을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광학식판독카드 또는 광학식판독쉬트가 광학식판독기구에 인입되면, 먼저 첫번째 열의 코드부(41)(42)를 인지하여, 인지된 데이타를 일시저장토록하고, 마지막 열의 코드부(43)(44)가 인지되면 저장된 첫번째 열의 코드부 (41)(42)의 감지데이타와 조합하여 상기 광학식판독카드(10) 또는 쉬트의 고유번호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를 조합한 구성으로서 상기의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를 좀더 상세히 분류하기 위한 구성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측면여백에 1~9까지의 숫자로 투광코드부(1, 3, 5, 7, 9)와 비투광코드부(2, 4, 6, 8)를 제작하고, 타이밍마킹부(A~R)에도 투광코드부와 비투광코드부를 형성한다.
즉, 타이밍마킹부(A~R)에서 B를 광반사잉크로 제작하고, 이후 2, 4, 6, 8 역시 광반사잉크로 제작하여, 예를들면, 2월 14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행된 전기공사 자격증시험의 답안지로 분류하고, 또는 C를 광반사잉크로 제작하고, 2, 4, 6, 8, 역시 광반사잉크로 제작하면 같은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행된 무선통신기사 자격증시험의 답안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는 수험자 또는 기타의 사용자가 해당 답안지 또는 관련서류를 해당기관에서 발행된 답안지등을 미리준비한 답안지로 대체하여 제출하거나 또는 시행기관에서 남몰래 답안지를 교체할시에 이를 정확히 적발 할 수 있어 부정행위로 인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되지 않고, 또는 사전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널리 홍보함으로써 부정행위를 예방할 수 있어 해당기관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해당시험 또는 관련문서의 시행기관에서 발행되는 각각의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에 각각의 관리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제조업체와 프로그래머중 어느 한쪽의 동의없이 타 업자에게 제작을 의뢰하는 무단복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마킹표시하는 데이타 입력열에 광을 투과시켜 입력된 데이타를 판독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입력열을 표시하는 타이밍마킹부와;
    상기 광학식판독카드의 일정부위에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코드부와;
    상기 투광코드부와 조합배열되어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비투광코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투광코드부와 비투광코드부의 조합에 의해 상기 광학식판독카드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광코드부는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반사잉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마킹부는
    상기 투광코드부와 상기 비투광코드부를 조합하여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KR20-2003-0018439U 2003-06-12 2003-06-12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KR20032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439U KR200324861Y1 (ko) 2003-06-12 2003-06-12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439U KR200324861Y1 (ko) 2003-06-12 2003-06-12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637A Division KR20040024906A (ko) 2002-09-17 2002-09-17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61Y1 true KR200324861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439U KR200324861Y1 (ko) 2003-06-12 2003-06-12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7559B2 (ja) 光学コード、光学コードの作成方法、光学コードの真贋判定方法、光学コードの読取装置、及び読取補助装置
US6419157B1 (en) Methods for processing security documents
US5213373A (en) Mark position independent form and tallying method
US8066184B2 (en) Optically readable marking sheet an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130040230A (ko) 연성 기판에 대한 보안 개선
CA2585956A1 (en) Game card, game card system, game card reader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and fraud prevention
US7984856B2 (en) Cheat preventing OMR cardcheat preventing OMR card
WO2017104856A1 (ja) 光学コード、光学コードの作成方法、光学コードの真贋判定方法、光学コードの読取装置、及び読取補助装置
KR200324861Y1 (ko)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 판독카드 및 쉬트
CN108875854A (zh) 二维码生成系统以及识别系统
KR20040024906A (ko) 복제 및 대체사용이 방지되는 광학식판독카드 및 쉬트
JP4334329B2 (ja) 記録媒体
JP3292863B2 (ja) 機械読取り方法及び機械読取り装置
JP2017001246A (ja) 光学読取帳票および該光学読取帳票の真贋判定方法
JP3636364B2 (ja) 不正変更と改変を自動的に検出するセキュリティ リーダ
AU7638098A (en) System for checking entrance tickets
JPH06187523A (ja) 情報記録媒体
JPH0235587A (ja) 自動改札方法
JP2009059177A (ja) 紙葉類の真贋判定システム及び真贋判定方法
JP3121410U (ja) デジタルペン用読み取り用紙
KR100717734B1 (ko) 광학 마크 또는 문자 판독기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
JP3069614U (ja) 換金用カ―ド
JP2020075434A (ja) 偽造防止帳票
JPS589251Y2 (ja) 値札
JP2011028491A (ja) 不可視マークを有する書籍、および書籍属性判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