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82Y1 - 저장통 - Google Patents

저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82Y1
KR200324382Y1 KR20-2003-0017946U KR20030017946U KR200324382Y1 KR 200324382 Y1 KR200324382 Y1 KR 200324382Y1 KR 20030017946 U KR20030017946 U KR 20030017946U KR 200324382 Y1 KR200324382 Y1 KR 200324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plate
reservoir
upward convex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선
Original Assignee
송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선 filed Critical 송영선
Priority to KR20-2003-0017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5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판의 표면에 1단 상향 볼록부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 상에 2단 상향 볼록부를 다수 형성시키고, 하부판의 표면에 하향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도를 강화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상부판 및 하부판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저장통은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있어서, 일측부에 액체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이 결합되기 위해 1단 상향 볼록부(11)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2단 상향 볼록부(12)가 다수 형성된 상부판(10); 그리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과 결합되기 위해 표면에 상부판(10)의 1단 상향 볼록부(12)의 평면에 접촉하는 하향 볼록부(21)가 형성된 하부판(20)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저장통{Storage Can}
본 고안은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판의 표면에 1단 상향 볼록부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 상에 2단 상향 볼록부를 다수 형성시키고, 하부판의 표면에 하향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도를 강화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상부판 및 하부판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 페인트 등의 액체는 금속성의 저장통에 주입하여 보관, 운반하게 되는데, 보관 및 운반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하여 저장한다. 이 때,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과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이 쉽고, 견고하게 결합되어야만 많은 양의 저장통을 높이, 안전하게 쌓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저장통의 상부판과 하부판 표면에 간단한 1단 요철부를 형성시켜 적층시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과 하부저장통의 상부판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부를 어느 정도 견고하게 하였다. 그러나, 저장되는 내용물의 하중 및 다수의 저장통이 상하로 적층됨에 따라 상부 저장통들의 누적된 하중에 의해 저장통의 상부판 및 하부판이 쉽게 처지게 되었다.
또한, 상부판과 하부판 표면에 간단한 1단 요철부만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적층시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과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이 쉽게 결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그 결합깊이도 1mm 정도로 얕아서 상부로 적층해 올라갈수록 점점 더 균형을 잃어 쉽게 무너져 내리는 등 보관 및 운반상의 위험이 있어 아주 높은 곳까지는 적층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상부판의 표면에 1단 및 2단 볼록부를 다수 형성시키고, 하부판의 표면에도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도를 강화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적층할 때에도 상부판 및 하부판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시에 높은 곳까지 적층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쉽게 균형을 잃지 않아 매우 안전한 저장통의 제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판의 표면에 1단 상향 볼록부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 상에 2단 상향 볼록부를 다수 형성시키고, 하부판의 표면에 하향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도를 강화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는 저장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저장통은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있어서, 일측부에 액체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이 결합되기 위해 1단 상향 볼록부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상에 2단 상향 볼록부가 다수 형성된 상부판; 그리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과 결합되기 위해 표면에 상부판의 1단 상향 볼록부의 평면에 접촉하는 하향 볼록부가 형성된 하부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저장통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부판의 표면에 상향 볼록부가 X 자형으로 중심부에 형성된 것; 상기 상부판의 표면에 저장통의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하부판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부판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하부판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하부판 사용상태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판 11: 1단 상향 볼록부
12: 2단 상향 볼록부 13: 액체 주입구
14: 손잡이부
20: 하부판 21: 하향 볼록부
22: 상향 볼록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하부판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부판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하부판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의 상하부판 사용상태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장통은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있어서, 일측부에 액체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이 결합되기 위해 1단 상향 볼록부(11)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2단 상향 볼록부(12)가 다수 형성된 상부판(10); 그리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과 결합되기 위해 표면에 상부판(10)의 1단 상향 볼록부(11)의 평면에 접촉하는 하향 볼록부(21)가 형성된 하부판(2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의 표면에 상향 볼록부(22)가 X 자형으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판(10)의 표면에 저장통의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손잡이부(14)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판(10)의 표면에는 일측부에 저장되는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10)의 강도를 강화시키면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이 결합되기 위해 1단 상향 볼록부(1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10)의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는 상부판(10)의 강도를강화시키면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 표면의 하향 볼록부(21)가 밀착, 고정되기 위해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2단 상향 볼록부(12)는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과의 결합깊이를 깊게하기 위해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서 3mm 이상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10)의 표면에는 저장통을 운반할 때,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고,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에 밀착, 고정되면서 떠받치는 손잡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4)는 취부시에 손바닥으로 편안하고 부드럽게 감싸쥘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저장통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의 표면에는 하부판(2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 1단 볼록부(11)의 평면에 접촉하면서 2단 볼록부(12)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향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향 볼록부(21)는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과의 결합깊이를 깊게하기 위해 하부판(20) 표면에서 3mm 이상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판(20)의 표면에는 하부판(20)의 강도를 향상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적층할 때에도 하부판(20)이 쉽게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향 볼록부(22)가 X 자형으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저장통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부판(10) 일측부에 액체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1단 상향 볼록부(11) 평면은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저장통 하부판(2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와 접촉하고, 표면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판(10)의 강도를 향상시켜 상부판(10)이 쉽게 처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판(10)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형성된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2) 평면은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 표면과 접촉하고,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2) 측면은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와 밀착, 고정되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판(10)의 강도를 향상시켜 상부판(10)이 쉽게 처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부판(10)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부(14)는 취부시에 손바닥으로 편안하고 부드럽게 감싸쥘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고,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놓여지게 되어 상부판(10) 표면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생기므로, 저장통을 운반할 때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부드럽고 견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4)는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 표면에 밀착, 고정되어 하부판(20)을 떠받치므로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하부판(2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는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형성된 다수의 2단 상향볼록부(12) 측면에 밀착, 고정되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1단 상향 볼록부(11) 평면에 접촉하며, 표면에서 하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판(20)의 강도를 강화시켜 하부판(20)이 쉽게 처지지 않게 된다.
또한, 하부판(20) 표면은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에 형성된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0) 평면과 접촉하여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한편, 하부판(20) 표면에 X 자형으로 중심부에 형성된 상향 볼록부(22)는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표면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판(20)의 강도를 강화시켜 하부판(20)이 쉽게 처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부판(10) 표면에 형성된 1단 상향 볼록부(11),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형성된 2단 상향 볼록부(12), 손잡이부(14), 하부판 표면에 형성된 하향 볼록부(21) 및 X 자형 상향 볼록부(22)로 인해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강도가 강화되어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이 쉽게 처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판(1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1단 상향 볼록부(11) 평면이 일차적으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형성된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2) 측면이 부차적으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와 밀착, 고정되고, 상기 2단 상향 볼록부(12) 평면이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10) 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과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판(10) 표면의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형성된 다수의 2단 상향 볼록부(12) 및 하부판(20)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하향 볼록부(21)가 각각 3mm 이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결합깊이가 3mm 이상으로 깊숙이 결합되어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견고하게 적층되게 된다.
한편, 상부판(10)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부(14)는 상부판(10) 표면과의 사이에 생긴 일정한 공간을 이용하여 손쉽게 취부하고, 손잡이부(14)에 형성된 굴곡을 손바닥이 부드럽고 편안하게 감싸므로 저장통을 운반할 때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부드럽고 견고하게 되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서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에 밀착, 고정되면서 떠받치므로 하부판(20)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결론적으로, 상부판(10)의 표면에 1단 상향 볼록부(11),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 상에 2단 상향 볼록부(12), 손잡이부(14)를 형성시키고, 하부판(20)의 표면에 하향 볼록부(21) 및 상향 볼록부(22)를 형성시킴으로써, 저장통 상부판(10)과 하부판(20)의 강도가 강화되어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이 쉽게 처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부판(10)과 하부판(20)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고,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부드럽고 견고하여 보관 및 운반시에 높은 곳까지 적층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쉽게 균형을 잃지 않아 매우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저장통은 상부판의 표면에 1단 상향 볼록부 및상기 1단 상향 볼록부 상에 2단 상향 볼록부를 다수 형성시키고, 하부판의 표면에 하향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강도를 강화시켜 다수의 저장통을 상하로 적층할 때에도 상부판 및 하부판이 쉽게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쉬우면서도 정교하게 결합되며, 깊숙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적층되고,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부드럽고 견고하여 저장통의 보관 및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식용유, 페인트, 신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통에 있어서,
    일측부에 액체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상부 저장통의 하부판(20)이 결합되기 위해 1단 상향 볼록부(11) 및 상기 1단 상향 볼록부(11)상에 2단 상향 볼록부(12)가 다수 형성된 상부판(10); 그리고 하부 저장통의 상부판(10)과 결합되기 위해 표면에 상부판(10)의 1단 상향 볼록부(12)의 평면에 접촉하는 하향 볼록부(21)가 형성된 하부판(2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20)의 표면에 상향 볼록부(22)가 X 자형으로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의 표면에 저장통의 취부가 편리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는 손잡이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통.
KR20-2003-0017946U 2003-06-09 2003-06-09 저장통 KR200324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946U KR200324382Y1 (ko) 2003-06-09 2003-06-09 저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946U KR200324382Y1 (ko) 2003-06-09 2003-06-09 저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82Y1 true KR200324382Y1 (ko) 2003-08-25

Family

ID=4941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946U KR200324382Y1 (ko) 2003-06-09 2003-06-09 저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8469C (en) Nestable pallet
US5779051A (en) Two-plane stacking container for liquids
US20060237341A1 (en) Stacking container
US6805254B2 (en) Collapsible container
CA2397522A1 (en) Mutli-purpose container
KR200324382Y1 (ko) 저장통
DK1833728T3 (da) Palleteret beholderladning
MY135198A (en) Reinforcement plate for the bottom of a pallet-like support base supported on corner and center feet and on a base frame, especially for pallet containers
JP2004168424A (ja) 液体輸送兼貯蔵容器用のパレット状台座
CN207943297U (zh) 桶装矿泉水瓶的叉车托盘
CN101628639B (zh) 一种可重叠放置的瓶体
KR20040034181A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JP4271316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包装装置
CN213769411U (zh) 改良的叉车托盘结构
CN212196386U (zh) 一种可堆叠木托盘
CN211869998U (zh) 一种打包托盘
MXPA01010192A (es) Contenedor de material sintetico.
CN210527123U (zh) 一种仓储堆垛用托盘及与其配合的箱体结构
CN111153015A (zh) 一种打包托盘
CN209225623U (zh) 一种用于薄片型增强承受力的吸塑托盘
KR200304141Y1 (ko) 종이 파레트
CN202193268U (zh) 一种具有加强手柄的胶罐
CN217049431U (zh) 一种可重复使用的瓦楞纸箱
KR200391412Y1 (ko) 보강부가 구비된 계란재치판
JP3124271U (ja) 搬送容器の防塵手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