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841Y1 -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 Google Patents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41Y1
KR200323841Y1 KR20-2003-0015212U KR20030015212U KR200323841Y1 KR 200323841 Y1 KR200323841 Y1 KR 200323841Y1 KR 20030015212 U KR20030015212 U KR 20030015212U KR 200323841 Y1 KR200323841 Y1 KR 200323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d steel
parent material
belt
hopper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규
Original Assignee
김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규 filed Critical 김헌규
Priority to KR20-2003-0015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02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 B24D13/1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ir periphery comprising assemblies of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홈형강에 모들을 식재한 채널형 브러시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스트립을 홈형강으로 성형하여 제조라인으로 공급하는 홈형강 성형공급장치와, 홈형강 성형공급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형강의 홈에 모들의 모소재들을 반으로 접어서 삽입하는 삽입장치를 구비한다. 홈형강 성형공급장치와 삽입장치 사이에 모소재들을 다량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호퍼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소재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제조라인의 하방을 따라 설치되고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한쌍의 벨트를 갖는 제1 벨트컨베이어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호퍼로부터 모소재들을 배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제조라인의 상방을 따라 설치되며 제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와 대응하여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한쌍의 벨트를 갖는 제2 벨트컨베이어와,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를 연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삽입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형강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들의 끝부분을 절단하는 모 절단장치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홈형강, 심선과 모들의 공급, 식재 등 일련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들의 모소재들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모들의 끝부분을 제조라인상에서 균일하게 절단하여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MACHINE FOR PRODUCING CHANNEL FORMED BRUSH}
본 고안은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형강에 모들을 심선에 의하여 식재한 채널형 브러시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청소용구로 사용되고 있는 브러시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도료, 녹, 피막 등의 제거용으로 원형의 브러시롤(Brush roll)이 개발되어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1082호의 브러시롤을 살펴보면, 다수의 채널형 브러시들이 롤본체의 둘레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브러시들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ㄷ"자형 홈형강(Channel steel)을 가지며, 홈형강의 홈에는 반으로 접힌 다수의 모(毛)들이 삽입되어 심선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채널형 브러시를 제조하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1083호의 제조기에는, 홈형강의 소재로 스트립(Strip)을 가이드롤링유닛에 의하여 공급하고, 공급되는 스트립은 복수의 성형롤링유닛들에 의하여 홈형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홈형강의 홈에 반으로 접힌 모들의 뿌리부분을 삽입하며, 모들의 뿌리부분은 심선에 의하여 홈형강의 홈에 고정하여 브러시를 제조한 후, 브러시를권취기에 의하여 원형으로 감아 브러시롤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모들의 공급이 자동화되어 있지 못하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생산비가 상승되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홈형강의 홈에 반으로 접혀 식재되는 모들의 끝부분은 불균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바, 모들의 끝부분은 후공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균일하게 절단해야 한다.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모들의 절단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모들의 공급과 절단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홈형강, 심선과 모들의 공급, 식재 등 일련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들의 모소재들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들의 끝부분을 제조라인상에서 균일하게 절단하여 브러시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스트립을 홈형강으로 성형하여 제조라인으로 공급하는 홈형강 성형공급수단과, 홈형강 성형공급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형강의 홈에 모들의 모소재들을 반으로 접어서 삽입하는 삽입수단을 구비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있어서, 홈형강 성형공급수단과 삽입수단 사이에 모소재들을 다량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모소재들의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소재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제조라인의 하방을 따라 설치되고,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한쌍의 벨트를 갖는 제1 벨트컨베이어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호퍼로부터 모소재들을 배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제조라인의 상방을 따라 설치되며, 제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와 대응하여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한쌍의 벨트를 갖는 제2 벨트컨베이어와;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를 연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삽입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형강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들의 끝부분을 절단하는 모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 의하여 제조되는 채널형 브러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서 홈형강 성형공급장치에 의한 홈형강의 성형공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 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와 배출롤러,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 공급장치의 제1 벨트컨베이어와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 공급장치의 제2 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서 삽입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서 홈형강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 제조기에서 모 절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채널형 브러시 11: 홈형강
12: 모 13: 심선
20: 홈형강 성형공급장치 21: 스트립 공급릴
22: 가이드롤링유닛 23, 24, 25: 성형롤링유닛
30: 심선 공급장치 31: 심선 공급릴
40: 모 공급장치 41: 호퍼
43: 제1 벨트컨베이어 43c, 43d: 벨트
44: 제2 벨트컨베이어 44c, 44d: 벨트
46: 배출롤러 47: 벨트전동장치
50: 구동장치 51: 모터
52: 벨트전동장치 53: 기어전동장치
60: 삽입장치 61: 삽입롤러
70: 제어장치 71: 광센서
72: 컨트롤러 73: 센서
80: 홈형강 성형장치 90: 모 절단장치
91: 고정날 92: 회전날
93: 모터 100: 홈형강 전단기
101: 고정날 102: 가동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에 의하여 제조되는 채널형 브러시(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ㄷ"자형 홈형강(11)의 홈(11a)에 다수의 모(12)들이 반으로 접혀져 삽입되어 있고, 홈형강(11)의 홈(11a)에 삽입되어 있는 모(12)들의 뿌리부분(12a)은 심선(1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홈형강 (11)의 개방단부(11b)는 홈(11a)으로부터 심선(1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측으로 오므려져 있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홈형강(11)의 소재인 스트립(11′)을 홈형강(11)으로 성형하여 제조라인(L)을 따라 공급하는 홈형강 성형공급장치(20)를 구비하며, 홈형강 성형공급장치(20)에 의하여 공급되는 홈형강(11)의 상면은 제조라인(L)에 정렬되어 있다. 홈형강 성형공급장치 (20)의 스트립 공급릴(21)에는 스트립(11′)이 다량으로 감겨져 있으며, 가이드롤링유닛(22)의 가이드롤러(22a, 22b)들은 구름운동에 의하여 스트립 공급릴(21)로부터 풀려나는 스트립(11′)의 이송을 안내한다. 가이드롤링유닛(22)의 하류에는 복수의 성형롤링유닛(23, 24, 25)들이 제조라인(L)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롤링유닛(22)의 가이드롤러 (22a, 22b)들과 성형롤링유닛(23, 24, 25)들 각각의 성형롤러(23a, 23b, 24a, 24b, 25a, 25b)들은 구름운동에 의하여 스트립(11′)을 단계적으로 성형하여 홈형강(11)으로 만든다. 가이드롤링유닛(22)의 가이드롤러(22a, 22b)들과, 성형롤링유닛(23, 24, 25)들 각각의 성형롤러(23a, 23b, 24a, 24b, 25a, 25b)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가이드롤러(22a)와 성형롤러(23a, 24a, 25a)는 통상적인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성형롤링유닛(25)의 하류에는 제조라인(L)을 따라 홈형강(11)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제조라인(L)을 따라 이송되는 홈형강(11)의 홈(11a) 위에 심선(13)을 공급하는 심선 공급장치(30)를 구비한다. 심선 공급장치(30)의 심선 공급릴(31)에는 심선(13)이 다량으로 감겨져 있으며, 심선 공급릴 (31)로부터 풀려나는 심선(13)은 홈형강(11)의 홈(11a) 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홈형강 성형공급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되는 홈형강(11)의 홈(11a) 위에 다수의 모(12)들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40)를 구비한다. 모 공급장치(40)의 호퍼(41)에는 가늘고 긴 다량의 모소재(12′)들이 투입구(41a)를 통하여 수용된 후 배출구(41b)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구(41b)는 모소재(12′)들의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안내면(41c)과 연결되어 있다. 호퍼(41)의 투입구(41a)에는 모소재(12′)들을 가압하여 호퍼 (41) 내에 정렬하기 위한 피스톤(42)이 장착되어 있다.
모 공급장치(40)의 제1 벨트컨베이어(43)와 제2 벨트컨베이어(44)는 제조라인(L)의 상하에 모소재(12′)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호퍼(41)의 배출구(41b)를 통하여 배출되는 모소재(12′)를 배출하여 제조라인(L)을 따라 이송한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모소재(12′)들은 홈형강 (11)의 상면에 지지되고, 심선 공급장치(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심선(13)은 모소재 (12′)들의 상방에 위치된다.
도 2,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원동풀리(43a)와 종동풀리(43b)는 제조라인(L)의 하방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원동풀리(43a)와 종동풀리(43b)에는 모소재(12′)들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벨트(43c, 43d)가 감아걸려 있다. 도 2, 도 4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벨트컨베이어(44)는 원동풀리(44a)와 종동풀리(44b)는 제조라인(L)의 상방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원동풀리(44a)와 종동풀리(44b)에는 모소재(12′)들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벨트(43c, 43d)와 정렬되는 한쌍의벨트(44c, 44d)가 감아걸려 있다.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는 호퍼(41)의 내측에 부분적으로 몰입되어 호퍼(41)의 배출구(44b)를 통하여 모소재(12′)들을 배출하며,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벨트(43c, 43d)와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벨트(44c, 44d) 사이에는 모소재(12′)들이 하나씩 개재되어 벨트 (43c, 43d, 44c, 44d)들의 주행에 따라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는 타이밍벨트컨베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벨트(43c, 43d, 44c, 44d)들의 외면에는 모소재(12′)들이 하나씩 삽입될 수 있는 홈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5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5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1)와, 모터(51)의 구동력을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원동풀리(43a)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52)와,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종동풀리(43b)의 회전력을 제2 벨트컨베이어 (44)의 원동풀리(44a)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53)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52)는 모터(51)의 축(51a)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52a)와, 원동풀리(43a)의 축(43e)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52b)와, 원동풀리(52a)와 종동풀리(52b)에 감아걸리는 벨트(52c)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전동장치(53)는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종동풀리(43b)의 축(43f)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기어(54a)와,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의 축(44e)에 원동기어(54a)와 맞물리도록 장착되어 있는 종동기어(54b)로 구성되어 있다. 원동풀리(43a, 44a)의 축(43e, 44e)과 종동풀리(43b, 44b)의 축(44f, 44f)은 베어링(43g, 44g)에 의하여 프레임(45)에 지지되어 있다.그리고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와 종동풀리(44b)의 외면 중앙에는 심선 공급장치(30)의 심선 공급릴(31)로부터 풀려나는 심선(13)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홈(44h, 44i)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이송홈(44h, 44i)을 따라 이송되는 심선(13)은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원동풀리(43a)와 종동풀리(44b)의 외면에 지지되어 이송된다.
도 2와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 공급장치(40)의 배출롤러(46)는 호퍼(41)의 내측에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호퍼(41)의 배출구(41b)를 통한 모소재(12′)의 배출을 보조하며, 배출롤러(46)의 외면에는 배출롤러(46)의 회전에 의하여 호퍼(41) 내의 모소재(12′)들을 배출구(41b)로 밀어낼 수 있도록 톱니(46a)들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롤러(46)는 원동풀리(44a)의 회전력을 벨트전동장치(47)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된다. 벨트전동장치(47)는 원동풀리(44a)의 축(44e)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47a)와, 배출롤러 (46)의 축(46b)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47b)와, 원동풀리(47a)와 종동풀리(47b)에 감아걸려 있는 벨트(47c)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의 하류에 설치되며 심선(13)을 매개로 모소재(12′)들이 반으로 접혀져 그 뿌리부분(12a)이 홈형강(11)의 홈(11a)에 심선(13)과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심선(13)을 홈형강(11)의 홈(11a)에 삽입하는 삽입장치(60)로 삽입롤러(61)를 구비한다.
도 2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제1 및제2 벨트컨베이어(43, 44)의 작동을 제어하여 모소재(12′)들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70)를 구비한다. 제어장치(70)는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와 삽입롤러(61) 사이에 설치되어 모소재(12′)들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광센서(71)와, 광센서(7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2)로 구성되어 있다. 광센서(51)는 광신호를 발신하는 발광센서(71a)와, 발광센서 (71a)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72)에 입력하는 수광센서(71b)로 구성되어 있다. 광센서(71)의 발광센서(71a)와 수광센서(71b)는 제조라인(L)을 따라 공급되는 모소재(12′)들의 공급량이 과다하여 적층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조라인(L)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72)는 수광센서(72b)로부터 입력되는 모소재(12′)들의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51)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는 삽입롤러(61)의 하류에 설치되어 홈형강(11)의 개방단부(11b)를 오므려 심선(13)을 고정하는 홈형강 성형장치(80)를 구비한다. 홈형강 성형장치(80)의 성형롤러(81a, 81b)들은 홈형강(11)의 양쪽 상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개방단부(11b)를 오므려 주며, 성형롤러(81a, 81b)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성형롤러(81a)는 잘 알려진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형강 성형장치(80)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모 절단장치(90)는 모(12)들의 끝부분(12b)을 균일한 높이로 절단한다. 모 절단장치(90)의 고정날(91)은 홈형강(11)의 홈(11a)에 식재되어 제조라인 (L)을 따라 이송되는 모(12)들의 끝부분(12b)이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날(91)에 대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날(92)들은 모(12)들의 끝부분(12b)을 절단한다. 회전날(92)은 모터(93)의 구동력을 벨트전동장치(94)에 의하여 전달받아 회전된다. 벨트전동장치(94)는 모터(93)의 축(93a)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94a)와, 회전날(92)의 축(92a)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94b)와, 원동풀리(94a)와 종동풀리(94b)에 감아걸려 있는 벨트(94c)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날(92)의 축(92a)은 베어링(95)에 의하여 고정날(91)이 고정되는 브래킷(96)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모 절단장치(90)의 하류에 홈형강(11)과 심선(13)의 이송방향후단을 전단하는 홈형강 전단기(100)가 설치되어 있다. 홈형강 전단기(100)는 제조라인(L)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날(101)과, 이 고정날(101)에 대하여 운동하여 홈형강(11)과 심선(13)을 전단하는 가동날(102)을 갖는다. 홈형강 전단기 (100)의 하류에는 홈형강 전단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홈형강(11)의 이송방향선단을 감지하여 컨트롤러(72)에 입력하는 센서(73)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73)는 근접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72)는 센서(7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홈형강 전단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컨트롤러(72)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홈형강 전단기(100)는 홈형강(11)과 심선(13)의 이송방향후단을 전단한다. 따라서, 센서(73)와 홈형강 전단기(100) 사이에 위치되는 홈형강(11)은 소요의 길이를 갖는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41)의 투입구(41a)를 통하여 다량의 모소재(12′)들을 수용한 후, 호퍼(41) 내의 모소재(12′)들은 피스톤(42)에 의하여 가압하여 밀도 있게 정렬한다. 홈형강 성형공급장치(20)의 스트립 공급릴(21)에 감겨진 스트립 (11′)을 풀어내어 가이드롤링유닛(22)의 가이드롤러(22a, 22b)들 사이에 통과시키고, 심선 공급장치(30)의 심선 공급릴(31)에 감겨진 심선(13)을 풀어내어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와 종동풀리(44b)의 외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홈(44h, 44i)에 통과시키면, 본 고안의 브러시 제조기에 의하여 채널형 브러시(10)를 제조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도 2와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장치(50)의 모터(51)가 구동되면, 모터 (51)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52)의 원동풀리(52a), 종동풀리(52b)와 벨트(52c)에 의하여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원동풀리(43a)에 전달되고, 원동풀리(43a)의 회전에 의하여 종동풀리(43b)에 감아걸려 있는 벨트(43c, 43d)가 주행된다.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종동풀리(43b)가 벨트(43c. 43d)의 주행에 의하여 회전되면, 종동풀리(43b)의 회전력은 기어전동장치(53)의 원동기어(53a)와 종동기어(53b)에 의하여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에 전달되고, 원동풀리(44a)의 회전에 의하여 종동풀리(44b)에 감아걸려 있는 벨트(44c, 44d)가 주행된다. 이와 같은 제1 벨트컨베이어(43)의 벨트(43a, 43b)와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벨트(44a, 44b)가 주행하는 것에 의하여 호퍼(41) 내의 모소재(12′)들은 배출구(41b)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벨트(43a, 43b, 44a, 44b) 사이에 개재되어 이송된다.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의 회전력은 벨트전동장치(47)의 원동풀리(47a), 종동풀리(47b)와벨트(47c)에 의하여 배출롤러(46)에 전달되고, 회전되는 배출롤러(46)의 톱니(46a)들은 호퍼(41) 내의 모소재(12′)들을 배출구(41b)로 밀어내어 모소재(12′)들의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시킨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모소재(12′)들의 공급동작과 병행하여 홈형강 성형공급장치(20)의 스트립 공급릴(21)로부터 풀려나는 스트립(11′)은 가이드롤링유닛(22)의 가이드롤러(22a, 22b)들과 성형롤링유닛(23, 24, 25)들의 성형롤러(23a, 23b, 24a, 24b, 25a, 25b)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홈형강(11)으로 성형되어 공급된다. 이때,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모소재(12′)들의 중앙부분은 홈형강(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심선 공급장치(30)의 심선 공급릴(31)로부터 풀려나는 심선(13)은 제2 벨트컨베이어(44)의 원동풀리(44a)와 종동풀리(44b)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홈(44h, 44i)을 따라 홈형강(11)의 상면에 지지되어 이송되는 모소재(12′)들의 위에 공급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를 지난 제조라인(L)에 모소재(12′)가 과다하게 공급되어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면, 광센서(71)의 발광센서(71a)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는 적층된 모소재(12′)들에 의하여 차단되면서 수광센서(71b)에 수신되지 못한다. 수광센서(71b)의 오프신호(Off signal)는 컨트롤러(72)에 입력되고, 컨트롤러(72)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 (5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모터(51)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 (43, 44)와 배출롤러(46)가 정지되어 모소재(12′)들의 공급이 중지된다. 모소재 (12′)들의 공급 중지에 따라 모소재(12′)들의 적층이 해소되면, 광센서(71)의 발광센서(71a)로부터 발신되는 광신호는 수광센서(71b)에 수광된다. 수광센서(71b)의 온신호(On signal)는 컨트롤러(72)에 입력되고, 컨트롤러(72)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51)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43, 44)의 작동에 의한 모소재(12′)들을 정량으로 정확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선(13)은 삽입롤러(61)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모소재(12′)들을 반으로 접어 제조라인(L)을 지나는 홈형강(11)의 홈(11a)에 삽입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롤러(61)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홈형강 성형장치(80)의 성형롤러(81a, 81b)는 홈형강(11)의 양측 상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오므려 주게 된다. 따라서, 홈형강(11)의 홈(11a)에 심선 (13)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모(12)들의 뿌리부분(12a) 역시 심선(13)의 고정에 의하여 홈형강(11)의 홈(11a)에 견고하게 식재된다.
도 2와 도 10을 참조하면, 홈형강(11)의 홈(11a)에 식재되어 제조라인(L)을 따라 이송되던 모(12)의 끝부분(12b)은 모 절단장치(90)의 고정날(91)에 접촉되며, 모터(93)의 구동력을 벨트전동장치(94)의 원동풀리(94a), 종동풀리(94b)와 벨트 (94c)에 의하여 전달받아 고정날(91)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날(92)은 모(12)들의 끝부분(12b)을 절단한다. 따라서, 홈형강(11)의 홈(11a)에 식재되어 있는 모(12)들은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홈형강(11)의 이송방향선단이 센서(73)에 감지되면, 센서(73)의 신호는 컨트롤러(72)에 입력된다. 컨트롤러(72)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홈형강 전단기(100)의 고정날(101)에 대하여 가동날(102)을 운동시켜 홈형강(11)과 심선(13)의 이송방향후단을 전단하며, 전단된 홈형강(11)은 원형으로 성형하여 예를 들어 브러시롤의 제조에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의하면, 홈형강, 심선과 모들의 공급, 식재 등 일련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들의 모소재들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모들의 끝부분을 제조라인상에서 균일하게 절단하여 브러시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트립을 홈형강으로 성형하여 제조라인으로 공급하는 홈형강 성형공급수단과, 상기 홈형강 성형공급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홈형강의 홈에 모들의 모소재들을 반으로 접어서 삽입하는 삽입수단을 구비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홈형강 성형공급수단과 삽입수단 사이에 상기 모소재들을 다량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소재들의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모소재들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조라인의 하방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한쌍의 벨트를 갖는 제1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모소재들을 배출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조라인의 상방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와 대응하여 상기 모소재들의 양측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벨트를 갖는 제2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를 연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삽입수단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홈형강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모들의 끝부분을 절단하는 모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원동롤러의 회전력을벨트전동장치에 의하여 전달받아 상기 호퍼 내의 상기 모소재들을 상기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롤러와, 상기 모 절단수단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모들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홈형강의 이송방향후단을 전단하는 전단기를 더 구비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삽입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조라인을 따라 적층되어 이송되는 상기 모소재들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는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KR20-2003-0015212U 2003-05-16 2003-05-16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KR200323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12U KR200323841Y1 (ko) 2003-05-16 2003-05-16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12U KR200323841Y1 (ko) 2003-05-16 2003-05-16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41Y1 true KR200323841Y1 (ko) 2003-08-21

Family

ID=4941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12U KR200323841Y1 (ko) 2003-05-16 2003-05-16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76A1 (en) * 2021-03-17 2022-09-22 Fook Yuen Lee A brush manufactur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76A1 (en) * 2021-03-17 2022-09-22 Fook Yuen Lee A brush manufacturing machine
GB2618260A (en) * 2021-03-17 2023-11-01 Yuen Lee Fook A brush manufactur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142B1 (ko) 수하물 포장방법 및 장치
CN211073857U (zh) 一种书皮裁切装置
US6881289B2 (en) Strip splicing device and method
US469471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anging reels in connection with packaging machines
US6607082B2 (en) Device for removal of trimmings in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CN109987434B (zh) 一种高速垫纸机
JPH10500074A (ja) 包装材料製造装置
FR2497782A1 (fr) Machine automatique de coupe, de pliage et de conditionnement des feuilles de materiaux souples, debitees en bandes enroulees
CN105858289B (zh) 复卷机
KR200323841Y1 (ko) 채널형 브러시 제조기
KR20230000793U (ko) 각종 재료를 기야 톱니 벨트로 자동이동
CN210029427U (zh) 一种高速垫纸机
US7302781B2 (en) Band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ITFI20110102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rimuovere rifili da una serie di prodotti ottenuti dal taglio di semilavorati allungati"
EP3439861B1 (en) A cornet bending machine with independent motion control system from mechanics
EP0447367A1 (en) A ravioli making machine
US20060199719A1 (en) Roll stand paper guide
US20170129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string material from waste
EP1798148A1 (en) Machine for applying partially adhesive bands to respective products
EP1799553B1 (en) Band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5857731B (zh) 糖块成型装置
CN210276131U (zh) 一种鞋套制造机的护边部剪切折叠装置
US3776541A (en) Cloth folding machine
US2673578A (en) Machine for making barbed wire
CN110406162A (zh) 一种快递行业使用的制作筒状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