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773Y1 -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3773Y1 KR200323773Y1 KR20-2003-0017548U KR20030017548U KR200323773Y1 KR 200323773 Y1 KR200323773 Y1 KR 200323773Y1 KR 20030017548 U KR20030017548 U KR 20030017548U KR 200323773 Y1 KR200323773 Y1 KR 2003237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cooking vessel
- cooking
- support
- suppor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가열조리에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걸어서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몸체(10)는 일단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지지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내측 지지부(20)는 지지부(14)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외측 지지부(30)는 지지부(1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내측 지지부(20) 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내측 지지부(20)와의 사이에 삽입부(40)를 형성한다.
이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가열조리로 인하여 뜨거워진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걸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이 제공된다. 또한, 지름이 큰 조리용기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가열조리에 사용되는 각종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걸어서 운반할 수 있게 하여 가열로 인하여 뜨거워진 조리용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기구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가열조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과 함께 가열되어 뜨거워져서 운반시 주의를 하였다.
종래의 조리용기에는 가열조리로 뜨거워진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외부에 고정식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손잡이도 가열조리시에 발생되는 고열로 조리용기와 함께 가열되어 운반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고정식 손잡이가 부착된 조리용기를 운반할 때는 사용자가 두손으로 각각의 손잡이를 잡고 조리용기를 운반하게 되는데 가열조리로 인해 뜨거워진 손잡이를 잡고 조리용기를 운반할 때에는 별도의 장갑을 착용하고 운반하였고, 이러한 장갑을 착용하였다 하더라도 손잡이의 열기가 손으로 전달되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또한 장갑의 착용으로 조리용기의 손잡이를 손으로 강하게 파지하지 못하여 운반도중 조리용기를 떨어뜨려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뚝배기와 같은 손잡이가 없는 특수한 조리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조리용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집게를 사용하여 조리용기를 운반하였으며, 식당 등에서 조리용기를 자주 운반하다 보면 집게를 잡고 있는 손의 악력이 저하되어 조리용기를 자주 떨어뜨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뜨거워진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면서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지름이 큰 조리용기를 운반할 때 집게로 조리용기의 테두리를 강하게 잡았다 하더라도 조리용기를 잡는 집게의 접촉면적이 작아 운반할 때 흔들림이 발생되면서 조리용기의 내용물이 넘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테두리 내/외측면을 견고히 지지하여 가열조리로 뜨거워진 조리용기를 편리하고, 신속히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이 쉬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름이 큰 조리용기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의 사용태도로서, 도 3a은 일반적인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특수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손잡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손잡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손잡이
14 : 지지부 16 : 연장부
20 : 내측 지지부 22, 32 : 보조 지지판
24, 34 : 확장 지지부 30 : 외측 지지부
40 : 삽입부 50 : 보조 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지지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상기 내측 지지부 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와의 사이에 삽입부를 형성하는 외측 지지부;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조리용기의 테두리를 삽입부로 결합시키고,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로 조리용기의 내/외측면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손쉽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일단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경사진 지지부(14)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지지부(14)의 끝단에 형성된 내측 지지부(20)와, 상기 내측 지지부(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삽입부(40)를 형성하는 외측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일단에 손잡이(12)가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손잡이(12)의 연장선상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지지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2)는 몸체(10)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2)의 연장선상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각은 35°∼45°이다.
즉, 조리용기(60)를 운반할 때 손잡이(12)와 조리용기(6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손잡이(12)의 연장선상에서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각이 35°이하가 되면 손잡이(12)가 수평상태 일때 조리용기(60)는 수평상태에서 손잡이(12) 쪽으로 기울게 되므로 조리용기(60)의 내용물이 넘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손잡이(12)의 연장선상에서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각이 45°이상이 되면 손잡이(12)가 수평상태 일때 조리용기(60)는 수평상태에서 손잡이(12)의 반대쪽으로 기울게 되어 조리용기(60)의 내용물이 넘칠뿐만 아니라 조리용기(60)의 내·외측면(62,64)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판(22,32)의 지지력이 약해져 조리용기(60)가 삽입부(4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손잡이(12)의 연장선상 중간부에서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각은 4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지지부(20)는 지지부(14)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측 지지부(30)는 내측 지지부(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부(1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활형상처럼 만곡지게 형성되고, 내측 지지부(20) 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40)는 내측 지지부(20)와 외측 지지부(30)의 사이에서 만곡지게 형성되고, 삽입부(40)로 조리용기(60)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상기 내/외측 지지부(20,30)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조 지지판(22,32)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지지판(22,32)은 조리용기(60)의 내/외측면(62,64)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어 조리용기(60)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금속으로 제작되지만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3b는 본 고안의 사용태도로서, 도 3a은 일반적인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특수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가열기구로 부터 가열조리된 조리용기(60)를 운반할 때에는 손으로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리용기(60)의 테두리 상단으로 삽입부(40)를 결합시킨다.
이때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은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에 접촉되고,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은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에 접촉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2)를 하방으로 살짝 내리면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은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을 밀면서 강하게 밀착되고,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은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을 밀면서 강하게 밀착된다.
즉,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은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을 손잡이(12)쪽으로 당기면서 지지되고,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은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 하부를 손잡이(12) 반대쪽으로 밀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조리용기(60)의 중력이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조리용기(60)도 같이 들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이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을 손잡이(12) 쪽으로 당기고,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이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을 손잡이(12) 반대쪽으로 밀며, 조리용기(60)의 중력이하방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조리용기(60)가 견고히 지지된다.
이때, 손잡이(12)와 조리용기(60)는 수평상태이고, 손잡이(12)의 연장선상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지지부(14)의 경사각은 35°∼45°가 된다.
즉, 손잡이(12)가 수평상태에서 상방이나 하방으로 치우친다면 조리용기(60) 역시 손잡이(12)의 각도에 따라서 기울어지기 때문에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되어야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리용기(60)를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하면 된다.
한편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하고 난 후에는 조리용기(60)를 바닥에 내려놓는다.
그리고 조리용기(60)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손잡이(12)를 상방으로 살짝 들어올리면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에 강하게 작용되었던 지지력이 소멸되면서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이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에 강하게 지지되었던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도 지지력이 소멸되면서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조리용기(60)의 테두리에서 삽입부(40)가 이탈되게 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리용기(60)를 반복적으로 운반하면 된다.
도 3b는 뚝배기와 같은 특수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조리용기(60)의 테두리 상단으로 삽입부(4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조리용기(60)의 테두리 상단부가 삽입부(40)로 완전히 결합되면 손잡이(12)를 하방으로 살짝 내린다.
이때, 내측 지지부(20)의 보조 지지판(22)은 조리용기(60)의 내측면(62)에 밀착되면서 조리용기(60)를 손잡이(12)쪽으로 당기게 되고, 외측 지지부(30)의 보조 지지판(32)은 조리용기(6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66)의 하측으로 밀착되면서 손잡이(12) 반대쪽으로 조리용기(60)를 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조리용기(60)의 중력이 하방으로 작용하면서 조리용기(60)가 들려지게 된다.
즉, 조리용기(60)는 내/외측 지지부(20,30)의 보조 지지판(22,32)과 조리용기(60)의 중력에 의해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견고히 지지된다.
이렇게 들려진 조리용기(60)를 손잡이(12)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하면 된다.
한편, 원하는 장소까지 조리용기(60)를 운반하고 난 후에는 위에서 설명한 도 3a와 같은 방법으로 조리용기(60)를 내려 놓으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측 지지부(20)와 외측 지지부(30)의 양측에는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확장 지지부(24,34)가 각각 더 구비된다.
상기 외측 지지부(30)의 하단은 내측 지지부(20)의 하단 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져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을 더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여 준다.
상기 확장 지지부(24,34)는 조리용기(60)의 내·외측면(62,64)을 더 넓은 면적으로 잡아주므로 조리용기(60)를 운반할 때 좌/우로 발생되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준다.
위와 같은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14)의 양측으로 연장부(16)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16)의 끝단 저면으로 외측 지지부(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조 지지부(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6)는 외측 지지부(30)의 상단에 지지부(14)와 교차되게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지지부(50)는 외측 지지부(30)와 함께 지름이 큰 조리용기(60)의 외측면(6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어 조리용기(60)를 흔들림 없이 운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가열조리로 뜨거워진 조리용기의 테두리에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간편하게 걸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 편리성이 제공된다. 또한, 지름이 큰 조리용기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 일단에 손잡이(12)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지지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10);상기 지지부(14)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20); 및상기 지지부(1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상기 내측 지지부(20) 보다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20)와의 사이에 삽입부(40)를 형성하는 외측 지지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의 경사각은 35°∼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20)와 상기 외측 지지부(30)의 끝단에는 보조 지지판(22,32)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20)와 상기 외측 지지부(30)는 상측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확장 지지부(24,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30)의 상단에 상기 지지부(14)와 교차되게 연장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6)의 끝단 저면에 상기 외측 지지부(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조 지지부(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7548U KR200323773Y1 (ko) | 2003-06-04 | 2003-06-0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7548U KR200323773Y1 (ko) | 2003-06-04 | 2003-06-0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3773Y1 true KR200323773Y1 (ko) | 2003-08-19 |
Family
ID=4933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7548U KR200323773Y1 (ko) | 2003-06-04 | 2003-06-0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3773Y1 (ko) |
-
2003
- 2003-06-04 KR KR20-2003-0017548U patent/KR20032377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11039B2 (en) | Cooking utensil with stab and catch detachable handle | |
KR200323773Y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JP2620041B2 (ja) | 煮鍋の蓋 | |
US5884883A (en) | Bowl lifting apparatus | |
KR200264123Y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KR200215679Y1 (ko) |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 |
JP2010131261A (ja) | 食器持ち上げ用補助器具 | |
KR20110007035U (ko) |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 |
KR200383876Y1 (ko) | 뚜껑 겸용 후라이팬 | |
KR200288135Y1 (ko) |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 |
KR200478961Y1 (ko) | 다중구조냄비 | |
US20080011164A1 (en) | Cooking pan | |
KR102484110B1 (ko) | 프라이팬 | |
KR200253260Y1 (ko) |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구조 | |
KR102489365B1 (ko) | 다용도 조리용기용 뚜껑 | |
CN106473584A (zh) | 一种汤锅 | |
KR20090007233U (ko) | 손잡이가 있는 급식도시락 | |
KR200329313Y1 (ko) | 탈 부착되는 조리용기 손잡이 | |
KR200319811Y1 (ko) |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 |
KR101262197B1 (ko) | 조리용기용 집게 | |
KR101852717B1 (ko) | 그릇 | |
KR200264464Y1 (ko) | 취사용기 손잡이 | |
KR200196992Y1 (ko) | 종이용기(컵)에 끼워 용기를 안전하게 들수있게 구성된 손잡이 | |
JPS6323017Y2 (ko) | ||
KR20240109741A (ko) |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그릇 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