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424Y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424Y1
KR200323424Y1 KR20-2003-0016437U KR20030016437U KR200323424Y1 KR 200323424 Y1 KR200323424 Y1 KR 200323424Y1 KR 20030016437 U KR20030016437 U KR 20030016437U KR 200323424 Y1 KR200323424 Y1 KR 200323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abinet body
speaker
aluminum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운상
Original Assignee
안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운상 filed Critical 안운상
Priority to KR20-2003-0016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캐비닛을 사용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배플을 목재로 구성하여 알루미늄재 캐비닛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재 캐비닛에 의한 소리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실현시킨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캐비닛 몸체를 알루미늄 재로서 전면 개방된 평단면상 대략 'ㄷ' 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전면 개방부에 배플을 결합하되 상기 배플은 목재로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기 장홈에 끼워지는 상하 길이방향의 삽지부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끼워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알루미늄재와 목재의 조합으로 캐비닛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저부에는 목재 인너 커버판이 삽입 결합된 후 그 하부로 상면 평탄한 스탠드가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상부에는 목재 인너 커버판이 삽입 결합된 후 그 상부로 하면 평탄한 톱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캐비닛 몸체(20)는 후방측 좌우 횡폭이 전방측 좌우 횡폭보다 작게 하여 스피커 공기실 내부의 정재파가 배플(30)을 지향하여 반사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알루미늄 캐비닛을 사용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배플을 목재로 구성하여 알루미늄재 캐비닛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재 캐비닛에 의한 소리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실현시킨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위상반전형 등의 스피커 시스템의 캐비닛 재질은 우드, 플라스틱, 도자기 류를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스피커 캐비닛을 제작하기도 한다.
가장 보편적인 목재 스피커는 디자인의 한계와 가공처리 방법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을 받게 된다.
최근의 성형 및 가공처리 기술의 발달과 신소재 개발을 접목하여 제작하는 것이 알루미늄 스피커라 할 수 있다. 알루미늄 스피커는 디자인과 가공방법에 있어서 목재로 만드는 스피커에 비해 쉽게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스피커가 가진 단점은 알루미늄 소재의 자재비용이 높다는 것과, 스피커의 치명적인 노이즈 발생이 크며 이로 인한 소리의 왜곡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일반적으로 우퍼, 스코커, 트위터의 유닛 앞면으로 방사되는 음이 스피커 뒷면의 위상반전된 음에 의해 감쇠되는데, 알루미늄 스피커는 소재 자체의 특성상 음의 입사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정재파를 억제하기 어렵고 나무 소재에 비해 진동 및 음파의 전달력이 크므로 캐비닛 내의 스피커 뒷면으로 방사되는 음과 정재파가 알루미늄 캐비닛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결국 소리의 왜곡이 커지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알루미늄 캐비닛의 두께를 증대시켜 정재파를 줄일 수 있으나 고출력음에서는 이또한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바, 대용량의 출력파워를 요구하는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알루미늄 캐비닛이 진동으로 인해 소리왜곡이 커지므로 알루미늄 소재의 사용이 더욱 어렵다.
이와 같은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홈씨어터 시스템 등 실내 인테리어를 고려한 디자인 때문에 알루미늄 소재의 스피커를 점차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종래의 알루미늄 스피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스피커 전면의 배플을 목재로 구성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의 왜곡에 가장 영향하는 방향으로의 위상반전 감쇠를 최소화하고 알루미늄 캐비닛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재파를 억제하여 기존 알루미늄 스피커에 비해 내츄럴한 음질을 재생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이 가능한 구조의 스피커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캐비닛 몸체 22 - 장홈
24 - 돌기 30 - 배플
32 - 삽지부 42 - 톱커버
44 - 인너커버판 52 - 스탠드
54 - 인너커버판 62 - 삼각목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알루미늄 캐비닛을 구비하는 통상의 스피커에 있어서, 캐비닛 몸체를 알루미늄 재로서 전면 개방된 평단면상 대략 라운딩된 'ㄷ' 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전면 개방부에 배플을 결합하되 상기 배플은 목재로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기 장홈에 끼워지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삽지부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끼워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알루미늄재와 목재의 조합으로 캐비닛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의 저부에는 상면 평탄한 목재 스탠드가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톱커버가 결합되어 캐비닛의 스피커 인클로우저 구조를 이룬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관련된 스피커는 외형적 미관을 부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알루미늄 소재를 캐비닛 몸체(20)로 사용하되, 캐비닛 몸체(20)의 전면부에 목재의 배플(30)이 배치되게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상기 알루미늄재 캐비닛 몸체(20)의 전면부는 개방하여 평단면상 라운딩된 대략 'ㄷ'형태가 되게 하고, 상기 전면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사아 길이방향으로 장홈(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된 캐비닛 몸체(20)의 전면 개방부에 배플(30)을 결합하되 상기 배플(30)은 목재로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기 장홈(22)에 끼워지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삽지부(3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캐비닛 몸체(20)의 전면 개방부 양측단의 장홈(22)에 배플의 양측단 삽지부(32)가 끼워지게 하여 배플(30)을 상하방향으로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캐비닛 몸체(20) 상하부는 알루미늄 압출시에 상하부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되도록 개방시켜 다음과 같이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캐비닛 몸체(20) 하부는 스탠드(52)가 결합되며, 목재 스탠드(52)의 내측에는 목재 인너 커버판(54)이 캐비닛 몸체(20) 내부로 끼워 결합된다. 상기 스탠드(52)와 인너커버판(54)은 타카핀에 의해 결합되고 나사(56) 결합에 의해 보강된다. 상기 인너커버판(54)의 고정은 삼각목(62)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삼각목(62)은 핫멜트 수지 접착제에 의해 인너커버판(54)과 캐비닛 몸체(20) 내벽 및 배플(30)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스탠드(52)의 재질은 타카핀 결합을 위해 목재를 사용하나, 몰드물(Decoration Mold)이나, 유리소재, 철판소재, 알루미늄 소재의 적용도 가능하며, 이러한 재질은 스탠드(52) 몸체 전체 뿐 아니라 일부, 즉 테두리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
캐비닛 몸체(20) 상부는 톱 커버(42)가 결합되며, 톱 커버(42) 내측에는 목재 인너커버판(44)이 캐비닛 몸체(20) 내부에 끼워 결합된다. 상기 톱 커버(42)와 인너커버판(44)은 타카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인너커버판(44)의 고정은 역시 삼각목(24)에 의해 이루어지며, 삼각목(24)은 핫멜트 수지 접착제에 의해 인너커버판(44)과 캐비닛 몸체(20) 내벽 및 배플(30) 후면에 부착된다.
상기 톱커버의 재질은 목재(MDF)나 몰드물(Decoration Mold) 적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몸체(20) 상하부에 끼워지는 인너커버판(44,54)은 각각홈(44a,54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은 캐비닛 몸체(20) 내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돌기(24)에 끼워 맞춤시켜 인너커버판이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 몸체(20) 내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돌기(24)는 도시된 바와같이 별도로 형성되거나, 상하로 길게 연결되어 보강구조를 위한 비드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배플(30)에는 우퍼, 스코커, 트위터 유닛을 삽입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시된 스피커 구조에서는 우퍼(74) 및 트위터(72)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홀(36,34)과, 덕트 부재(76)를 삽입 장착하기 위한 홀(38)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배플(20)을 목재로 형성하는 경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덕트 부재(76)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캐비닛 몸체(20)의 전면에 목재의 배플(30)로 조립하는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스피커(1)는 캐비닛 내부의 공기실로 백로드되는 음향에 의한 캐비닛 몸체(20)의 진동을 목재의 배플(30)에서 흡수할 수 있어 유닛(72,74) 구동시에 발생하는 알루미늄 특유의 정재파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재인 관계로 배플(30)의 두께를 두껍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 파워에서도 일반적인 알루미늄 스피커에 비해 유닛(72,74) 전,후면으로 방사되는 음의 간섭에 의한 음의 감쇠를 줄일 수 있어 특히 중저역에서 음질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캐비닛 몸체(20)는 후방측 좌우 횡폭이 전방측 좌우 횡폭보다 작게 하여 공기실 내부의 정재파가 배플(30)을 지향하여 반사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배플(30)을 목재로 구성함에 따라 배플(30) 전면에 각종 인쇄된 모양지를 부착하거나 원목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어, 기존 알루미늄 스피커의 재질상 일관될 수 밖에 없던 재질적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장홈(22)과 삽지부(22)의 형합구조에 의해 배플(30)과 캐비닛 몸체(20)가 결합하는 구조를 작업공정상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양호하다.
또, 상술한 바와같이 전면의 배플(30)에 의해 음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하면서도 캐비닛 몸체(20) 측면 및 후면의 형태를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다양하게 성형 가능하므로 공기실의 모양에 여러 가지 변화를 추구할 수 있어 음질특성을 다양하게 설계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피커 전면의 배플에 의해 진동을 흡수 완충하여 기존 알루미늄 스피커에서 발생되던 정재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왜곡된 음을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캐비닛 측,후면 형태를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서 공기실을 설계하여 음질 특성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고, 알루미늄 스피커의 차가운 느낌을 주던 디자인을 탈피하여 목재와의 조합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느낌의 수려한 디자인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알루미늄 캐비닛을 구비하는 통상의 스피커에 있어서, 캐비닛 몸체를 알루미늄 재로서 전면 개방된 평단면상 대략 'ㄷ' 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전면 개방부에 배플을 결합하되 상기 배플은 목재로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기 장홈에 끼워지는 상하 길이방향의 삽지부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끼워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알루미늄재와 목재의 조합으로 캐비닛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저면과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저부에는 목재 인너 커버판이 삽입 결합된 후 그 하부로 상면 평탄한 스탠드가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 몸체의 상부에는 목재 인너 커버판이 삽입 결합된 후 그 상부로 하면 평탄한 톱커버가 결합되어 캐비닛의 스피커 인클로우저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몸체와 상기 상하부 각각의 인너 커버판에는 서로 형합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캐비닛 몸체(20)는 후방측 좌우 횡폭이 전방측 좌우 횡폭보다 작게 하여 스피커 공기실 내부의 정재파가 배플(30)을 지향하여 반사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20-2003-0016437U 2003-05-27 2003-05-27 스피커 KR200323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37U KR200323424Y1 (ko) 2003-05-27 2003-05-27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37U KR200323424Y1 (ko) 2003-05-27 2003-05-27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424Y1 true KR200323424Y1 (ko) 2003-08-19

Family

ID=4941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37U KR200323424Y1 (ko) 2003-05-27 2003-05-27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4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71B1 (ko) * 2008-04-15 2010-06-24 정종기 스피커 인클로져
KR101012894B1 (ko) 2004-06-14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시어터의 이동 가능한 스피커시스템
US9008335B2 (en) 2008-09-08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directional speaker arra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94B1 (ko) 2004-06-14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시어터의 이동 가능한 스피커시스템
KR100965871B1 (ko) * 2008-04-15 2010-06-24 정종기 스피커 인클로져
US9008335B2 (en) 2008-09-08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ection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directional speaker arra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733B1 (ko) 텔레비젼수신기의 스피커장치
US5932850A (en) Speaker system
US4640381A (en) Wall-mounted resin speaker cabinet
US6431309B1 (en) Loudspeaker system
US20160360312A1 (en) Dynamic acoustic waveguide
CN102131137A (zh) 自动增(半)音的喇叭口
EP2834992B1 (en) Loudspeaker enclosure
WO1991008657A1 (en) Speaker enclosure
US5975236A (en) Speaker assembly
KR200323424Y1 (ko) 스피커
US6625292B2 (en) Ported loudspeaker enclosure
CN107948850B (zh) 一种防共振金属音箱
CN210641068U (zh) 扬声器箱
JP3480223B2 (ja) スピーカボックス装置
KR102635776B1 (ko) 원-피스 플라스틱 쉘을 갖는 음향 스피커
CN206061097U (zh) 音箱箱体及高音质音箱
CN212850980U (zh) 一种立式二分频音箱结构
CN213754725U (zh) 一种多用途电视家具一体机
CN211974143U (zh) 一种可用于增强视听环境效果室内背景墙
CN210469729U (zh) 带有显示屏的电子产品的后壳和带有显示屏的电子产品
KR100372265B1 (ko) 스피커
JP2006287310A (ja) スピーカーキャビネ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200371550Y1 (ko) 스피커 캐비넷
JPH018065Y2 (ko)
JPH10322787A (ja) 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