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112Y1 -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 Google Patents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112Y1
KR200323112Y1 KR20-2003-0015277U KR20030015277U KR200323112Y1 KR 200323112 Y1 KR200323112 Y1 KR 200323112Y1 KR 20030015277 U KR20030015277 U KR 20030015277U KR 200323112 Y1 KR200323112 Y1 KR 200323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ving drum
drive shaft
protrus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03-0015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1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16H2055/306Chain-wheel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in chain sprocke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구동장치와 수동구동장치가 구동축을 구동하므로써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문구동장치의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문구동장치의 구동축은 이동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토록 하되, 상기 구동축에는 돌기를 구비하는 워엄기어가 헛돌도록 축착되어지며, 상기 워엄기어의 돌기에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지는 이동 드럼과, 상기 이동 드럼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맞물려 결합되어지되 역시 구동축에 헛돌도록 축착되어지는 체인스프라켓과, 상기 이동 드럼을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체인스프라켓 쪽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로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진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수문을 수동구동장치로 개폐하다가 악천후시 또는 수문을 긴급하게 구동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문까지 가지 않더라도 수문과 멀리 떨어지고 안전한 곳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만으로도 전동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Clutch structure for operating device of water gate}
본 고안은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과 전동(모터)을 겸해서 수문을 구동하는 수문구동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문구동장치는 수문을 구동시켜 여닫기 위한 장치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1) 또는 구동핸들(21)에 의해 구동축(50)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에 의해 수문구동부(40)를 구동시켜 수문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문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들에 의해 체인스프라켓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체인스프라켓은 결국 수문이 결합된 체인막대(B)를 승하강시키므로써 수문(A)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수문구동장치는 작업자들의 수작업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手動)장치를 사용하였으나, 대체로 수문이 설치되어지는 농촌 및 어촌지역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면서 수문개폐작업자들이 노령화 추세여서 최근에는 모터를 사용하는 전동(電動)장치로 변환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자동 수문구동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전혀 동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수동을 병행하여 수문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종래 수동과 전동을 겸하는 수문구동장치는 수동과 전동을 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선택 레버(lever)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레버를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서 조작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홍수나 태풍, 해일 등과 같은 악천후시에 수문을 긴급하게 구동하여야 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레버를 수동에서 전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그 위험한 상황에서도 작업자가 수문까지 가야만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들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수문구동장치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을 긴급하게 구동하여야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자가 수문까지 가지않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스위치의 온오프만으로도 수동구동과 전동구동을 선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수문구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2 - 수문구동장치에 있어서 본고안 클러치구조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
도.
도 3 -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 클러치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문구동장치 2: 하우징(housing)
10: 모터구동장치 11: 모터
12: 축 13: 체인스프라켓
20: 수동구동장치 21: 구동핸들
22: 워엄
30: 체인 40: 수문구동부
50: 구동축 51: 키
100: 수문구동용 클러치(이하 수문클러치라 한다)
200: 워엄기어 210: 돌기
300: 이동 드럼(drum) 310,320: 돌기
330: 오목홈 340: 키홈
400: 스프링
500: 체인스프라켓 510: 돌기
600: 솔레노이드 610: 구동로드
A: 수문 B: 체인막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수문구동장치(1)에 장착된 본 고안 클러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클러치(100) 부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본 고안 클러치(100)는 전동구동장치(10)와 수동구동장치(20)가 체인(30)으로 연결되어져 수문구동부(40)의 구동축(50)을 구동하므로써 수문(A)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수문구동장치(1)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클러치(100)는 구동축(50)에 헛돌도록 축착되고 돌기(210)를 구비하는 워엄기어(200)와, 상기 워엄기어의 돌기(210)와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320)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지며 타측면에도 돌기(310)가 형성된 이동 드럼(300)과, 상기 이동 드럼의 돌기(310)와 스프링(400)을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510)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동축(50)의 끝단부에 역시 헛돌도록 축착되어지는 체인스프라켓(500)과, 상기 이동 드럼(300)을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체인스프라켓(500) 쪽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로드(610)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6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워엄기어(200)와 체인스프라켓(500)은 구동축(50)의 외주면에서 헛돌도록 구성되어지고, 이동 드럼(300)의 회전에 의해서만 상기 구동축(50)이 회전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동 드럼(300)의 내측에는 키홈(3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드럼이 움직이는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구동축(50)에는 키(51)가 축 외주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진 상태이다.
상기 워엄기어(200)는 수동구동장치(20)의 구동핸들(21)의 워엄(22)에 축착되어지며, 상기 체인스프라켓(500)은 전동구동장치(10)의 모터(11) 축(12)에 축착된 체인스프라켓(13)에 체인(3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워엄기어(200)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리는 구동핸들(21)의 구동력을 이동 드럼(300)을 통해 구동축(5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로인해 수문(A)이 수동구동장치(20)에 의해 개폐되어진다.
또한 상기 체인스프라켓(500)은 체인(30)을 통해 전달되는 모터(11)의 구동력을 이동 드럼(300)을 통해 구동축(5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문(A)이 전동구동장치(10)에 의해 개폐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 클러치(100)는 수문구동장치(1)에 있어서 수동구동과 전동구동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워엄기어(200)와 체인스프라켓(500) 사이에 이동 드럼(300)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 드럼은 구동축(5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어지나 체인스프라켓(500)의 안쪽에 형성된 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항시 워엄기어(200)에 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워엄기어의 일측면에 돌출된 돌기(210)와 이동 드럼(300)의 일측면에 돌출된 돌기(320)는 항상 맞물려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인해 평상시에는 본고안 클러치(100)가 항상 수동구동장치(20)의 구동력만을 구동축(5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다가 전원이 온상태가 되면 솔레노이드(600)가 작동하면서구동로드(610)에 의해 이동 드럼(300)을 체인스프라켓(500) 쪽으로 당기게 되며, 이때 견인력은 스프링(400)의 탄발력보다 크게 설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이동 드럼(300)은 체인스프라켓(500)에 밀착하게 되고, 결국 이동 드럼(300)의 돌기(310)가 체인스프라켓(500)의 돌기(510)에 맞물리는 상태가 되어 모터(11)의 회전력이 구동축(50)에 그대로 전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경우 워엄기어(200)는 구동축(50)에서 헛돌게 되어 구동축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 드럼(300)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드럼(300)의 중간부에는 환형(環形)의 오목홈(330)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오목홈에는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동로드(610)의 끝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이동 드럼(300)의 회전은 원활하도록 하되 밀침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처럼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수문을 수동구동장치로 개폐하다가 악천후시 또는 수문을 긴급하게 구동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문까지 가지 않더라도 수문과 멀리 떨어지고 안전한 곳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시키는 것만으로도 전동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수문까지 직접 가지 않고서도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동구동장치와 수동구동장치가 구동축을 구동하므로써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문구동장치의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문구동장치의 구동축은 이동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토록 하되, 상기 구동축에는 돌기를 구비하는 워엄기어가 헛돌도록 축착되어지며, 상기 워엄기어의 돌기에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지는 이동 드럼과, 상기 이동 드럼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맞물려 결합되어지되 역시 구동축에 헛돌도록 축착되어지는 체인스프라켓과, 상기 이동 드럼을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체인스프라켓 쪽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로드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드럼의 중간부에는 환형의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에는 절곡된 구조를 갖는 구동로드의 끝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KR20-2003-0015277U 2003-05-17 2003-05-17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KR200323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77U KR200323112Y1 (ko) 2003-05-17 2003-05-17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77U KR200323112Y1 (ko) 2003-05-17 2003-05-17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09A Division KR100528025B1 (ko) 2003-05-17 2003-05-17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112Y1 true KR200323112Y1 (ko) 2003-08-14

Family

ID=4941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77U KR200323112Y1 (ko) 2003-05-17 2003-05-17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1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9141A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sun roof
US5222327A (en) Side mount garage door operator
JP4058895B2 (ja) 回路しゃ断器のハンドル操作機構
US4159598A (en) Door operator with instant reverse feature
KR102020925B1 (ko) 수동 강하제어가 가능한 수문권양기
US2621544A (en) Window operating device for vehicles
WO2006097020A1 (en) Clutch driving structure coupled to driving motor
KR100528025B1 (ko)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KR200323112Y1 (ko) 수문구동장치용 클러치 구조
KR101179213B1 (ko) 수문용 권양장치
CN2675803Y (zh) 一种密码锁
KR100605526B1 (ko) 다단변속이 가능한 수문구동장치
KR20100111078A (ko) 수동 변환 레버를 갖는 기어드 감속기
KR100303267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596036B1 (ko) 비닐하우스 개폐용 권취축 구동장치
KR100967638B1 (ko) 수문 권양기 조작장치
KR101031810B1 (ko)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KR100848895B1 (ko) 수문 개폐 장치
KR200214762Y1 (ko) 수문권양장치
JPH0624244A (ja) 窓のロック装置
JP2005330724A (ja) ドア開閉装置
CN220318678U (zh) 去水器
KR20090005319U (ko) 수문 개폐장치용 기어 박스
US3942073A (en) Motor operated garage door mechanism
KR200236019Y1 (ko) 권양기의 전동자동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