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70Y1 -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70Y1
KR200323070Y1 KR20-2003-0014464U KR20030014464U KR200323070Y1 KR 200323070 Y1 KR200323070 Y1 KR 200323070Y1 KR 20030014464 U KR20030014464 U KR 20030014464U KR 200323070 Y1 KR200323070 Y1 KR 200323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side wall
block
holes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명
Original Assignee
이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명 filed Critical 이환명
Priority to KR20-2003-0014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위쪽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 전후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로용 블록을 서로 연결시킬 때에 돌기가 형성된 이음부재를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을 형성시킨 각각의 수로용 블록에 끼워 넣고 이를 볼트와 너트로 조여 줌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하여 누수현상의 방지 및 수로의 방향이 꺽이는 구간에도 결착력을 높여 견고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로용 블록들을 연속 연결하여 시공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수로용 블록(1)들의 측벽(2) 및 밑판(3)의 이음면부(20)에 볼트(16)와 너트(17) 체결을 위한 결합공을 이루는 반원형상의 요홈(5)이 형성된 것과; 상기 측벽(2) 및 밑판(3)에서 상기 요홈(5)과 연접한 전,후면에 각각 일정깊이의 삽입공(10)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하로 볼팅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 및 밑판(3)의 내면측 삽입공(10)에 대응하여 상하 양측으로 각각 돌기(13)가 형성된 내측이음부재(14)(14-1)들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볼팅홀(15)(15-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 및 밑판(3)의 외면측 삽입공(10)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각각 돌기(13-1)가 형성된 외측이음부재(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waterway block linking}
본 고안은 수로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로 공사시에 사용되는 수로용 블록을 서로 연결시킬 때에 돌기가 형성된 이음부재를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을 형성시킨 각각의 수로용 블록에 끼워 넣고 이를 볼트와 너트로 조여 줌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하여 누수현상의 방지 및 수로의 방향이 꺽이는 구간에도 결착력을 높여 견고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공사는 비가 내릴 때 빗물이 도로에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도로의 중앙부분을 측면보다 높게 공사하여, 비가 내리면 빗물이 도로의 경사면을 따라 좌우의 측면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면에 흘러내린 빗물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도로측면의 지반에 흡수되어 도로를 지지하는 토층을 붕괴시키는 위험의 요소를 갖게 된다.
그래서, 도로를 건설할 때에는 도로의 좌우측면에 도로에서 흘러내린 물을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해서 일정한 깊이를 갖는 수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수로는 수로용 블록들을 다단계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수로용 블록들을 서로 연결시킬 때에 수로용 블록의 연결부가 끼움 방식으로 되어 있어(널리 공지공용되고 있는 기술수단이므로 미도시함.) 각각의 블록을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연결함으로서,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우며, 또한 연결부의 누수요인은 궁극적으로 방지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상부가 개방된, 대략 위쪽으로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 전후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로용 블록을 서로 연결시킬 때에 돌기가 형성된 이음부재를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을 형성시킨 각각의 수로용 블록에 끼워 넣고 이를 볼트와 너트로 조여 줌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하여 누수현상의 방지 및 수로의 방향이 꺽이는 구간에도 결착력을 높여 견고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b는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 수로용 블록 2(2-1)(2-2)(2-3)(2-4): 측벽
3 : 밑판 5 : 요홈
7 : 단턱 10 : 삽입공
12(22-1) : 외측이음부재 13(13-1) : 돌기
14(14-1)(24-1)(24-2) : 내측이음부재 16 : 볼트
17 : 너트 20 : 이음면부
30 : 배수구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수로용 블록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로용 블록들을 연속 연결하여 시공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수로용 블록들의 측벽 및 밑판의 이음면부에 볼트와 너트 체결을 위한 결합공을 이루는 반원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것과; 상기 측벽 및 밑판에서 상기 요홈과 연접한 전,후면에 각각 일정깊이의 삽입공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하로 볼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및 밑판의 내면측 삽입공에 대응하여 상하 양측으로 각각 돌기가 형성된 내측이음부재들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볼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 및 밑판의 외면측 삽입공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각각 돌기가 형성된 외측이음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로용 블록들의 밑판 전,후측에는 일정깊이의 단턱이 형성되어서 수로용 블록들을 당접할 경우, 상기 단턱들이 일정깊이의 요부를 형성하고, 이 요부에 내측이음부재가 고정결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로용 블록의 일측 측벽이 다른 측벽보다 높게 형성되고, 높게 형성된 측벽에는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결합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1)은 그 단면형상이 상부가 개방되고 상층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수로용 블록(1)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수로용 블록(1)은 밑판(3)으로부터 상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측벽(2)이 양측에 일체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수로용 블록(1)의 이음면부(20)에는 측벽(2) 및 밑판(3)에 걸쳐 각각 반원형상의 요홈(5)이 복수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로용 블록(1)의 밑판(3)에서 전후단에는 일정깊이의 단턱(7)이 형성되어 있는 바,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수로용 블록(1)들의 이음면부(20)를 맞대게 되면, 상기 측벽(2)과 밑판(3)에 각각 형성된 요홈(5)들이 맞물려 결합공(도면부호 미부여)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밑판(3)의 단턱(7)들은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요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로용 블록(1)에서 이음면부(20)에 형성된 요홈(5)들과 근접한 측벽(2) 및 밑판(3)에는 각각 일정깊이를 갖는 삽입공(10)이 측벽(2)의 내,외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수로용 블록(1)들의 이음면부(20)를 맞대어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삽입공(10)과 결합공에 대응하여 고정체결되기 위한 볼트(16),너트(17) 및 내·외측이음부재(12)(14)(14-1)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내측이음부재(14)(14-1)는 서로 연접하는 수로용 블록(1)의 측벽(2) 및 밑판(3)의 단턱(7) 내면에 형성된 삽입공(10)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13)가 상하 양측으로 형성되고, 볼트(16)가 삽입되기 위한 볼팅홀(15)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이음부재(12)는 서로 연접하는 수로용 블록(1)의 측벽(2) 및 밑판(3)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공(10)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13-1)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볼트(16)가 삽입되기 위한 볼팅홀(15-1)이 중앙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각각의 수로용 블록(1)들을 연결하여 고정결합시킬 경우에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접되는 수로용 블록(1)들의 이음면부(20)를 당접시킨다.
이와 같이, 서로 연접되는 수로용 블록(1)들의 이음면부(20)를 당접시키게 되면, 각각의 측벽(2) 및 밑판(3)에 형성된 요홈(5)들이 서로 맞대어져서 결합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공의 좌우측에는 각각 내,외면에 걸쳐 일정깊이의 삽입공(10)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내,외측이음부재(12)(14)(14-1)의 돌기(13)(13-1)들을 상기 삽입공(10)에 삽입시킨다.
즉, 상기 내,외측이음부재(12)(14)(14-1)의 돌기(13)(13-1)를 수로용 블록(1)의 삽입공(10)에 대하여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내,외측이음부재(12)(14)의 볼팅홀(15)(15-1)들은 서로 당접하여 생성된 결합공과 동일선상으로 일치되는 바, 이때 볼트(16)들을 상기 내측이음부재(14)의 볼팅홀(15)과 수로용 블록(1)의 결합공 및 외측이음부재(12)의 볼팅홀(15-1)로 삽입시킨 후, 외측에서 너트(17)로서 조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수로용 블록(1)의 밑판(3)에 형성된 단턱(7)들은 서로 당접됨에 따라 요부를 형성하게 되는 바, 밑판(3)을 고정결합시키는 내측이음부재(14-1)는 결합시 밑판(3)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됨으로써, 물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며, 각각의 내,외측이음부재(12)(14)(14-1)들의 돌기(13)(13-1)들이 연접하는 수로용 블록(1)들의 삽입공(10)에 삽입되어 고정시킴으로써, 이탈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로용 블록(1-1)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수로의 진행 방향이 꺽이는 구간에 설치하기 위한 수로용 블록(1-1)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수로용 블록(1-1)의 측판(2-1)(2-2)의 길이달리 하여 수로의 방향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경우, 내측이음부재(22-1)(22-2)와 외측이음부재(24-1)는 그 중심이 길이방향으로 꺽인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밑판(3)의 요부에 체결되는 내측이음부재(22-2)의 형상은 단턱(7)요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대략 평면에서 본 양 끝단 형상이 "> >"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적용함으로써, 수로용 블록(1-1)의 이음면부(20)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누수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4는 수로의 일 측이 산 등과 같은 측방이 경사진 구간에 시공하기 위한 수로용 블록(1-2)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한쪽 측판(2-3)의 길이를 다른 한쪽의 측판(2-4)보다 높게 형성하여 높이가 큰 측판(2-3)을 경사진 구간에 향하게 하고 높이가 낮은 측판(2-4)을 낮은 쪽에 향하게 하여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높이가 큰 측판(2-3)에는 배수구(30)를 형성하여 장마로 인한 토압의 증가에도 배수가 잘 이뤄지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수로용 블록들을 종래에서와 같이 단순히 끼워 맞추고 이음면부를 고착하여 연결하는 시공방법을 배제하고, 내,외측이음부재와 볼트 및 너트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하였는 바, 그 시공이 간단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연결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수로용 블록이 파손될 경우에는 파손된 부분만 일부교체하여 주면 됨으로써,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수로용 블록들의 연결상태가 견고해지고 결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음면부가 볼트로 결합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외측이음부재에 형성된 돌기들이 당접되는 수로용 블록들의 각 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잡아줌으로써, 특히 장마철에 흔히 발생하는 수로용 블록간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해주고 또한 평상시에도 누수현상을 예방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로의 진행방향이 꺽이는 구간에서는 수로용 블록 양 측벽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되, 누수가 없도록 서로 맞닫게 연결하여 이를 역시 볼트와 너트 및 내,외측이음부재로 고정 체결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직선구간에 설치되는 수로와 같은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측이 산과 같이 경사진 곳에 수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로용 블록의 일측 측벽을 높게 형성하고, 높게 형성된 측벽에는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장마로 인한 토압의 증가에도 지지가 이루어짐은 물론 배수가 잘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다 할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수로용 블록의 연결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시키거나 일부수정하는 정도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함이 명백한 것이므로 이러한 정도로 변형 또는 수정 실시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로용 블록들을 연속 연결하여 시공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수로용 블록(1)들의 측벽(2) 및 밑판(3)의 이음면부(20)에 볼트(16)와 너트(17) 체결을 위한 결합공을 이루는 반원형상의 요홈(5)이 형성된 것과;
    상기 측벽(2) 및 밑판(3)에서 상기 요홈(5)과 연접한 전,후면에 각각 일정깊이의 삽입공(10)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상하로 볼팅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 및 밑판(3)의 내면측 삽입공(10)에 대응하여 상하 양측으로 각각 돌기(13)가 형성된 내측이음부재(14)(14-1)들과;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중앙에 볼팅홀(15)(15-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 및 밑판(3)의 외면측 삽입공(10)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각각 돌기(13-1)가 형성된 외측이음부재(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용 블록(1)들의 밑판(3) 전,후측에는 일정깊이의 단턱(7)이 형성되어서 수로용 블록(1)들을 당접할 경우, 상기 단턱(7)들이 일정깊이의 요부를 형성하고, 이 요부에 내측이음부재(14-1)가 고정결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용 블록(1)의 일측 측벽(2-3)이 다른 측벽(2-4)보다 높게 형성되고, 높게 형성된 측벽(2-3)에는 복수개의 배수공(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KR20-2003-0014464U 2003-05-10 2003-05-10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KR200323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64U KR200323070Y1 (ko) 2003-05-10 2003-05-10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64U KR200323070Y1 (ko) 2003-05-10 2003-05-10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70Y1 true KR200323070Y1 (ko) 2003-08-14

Family

ID=4933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464U KR200323070Y1 (ko) 2003-05-10 2003-05-10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0519A2 (en) Reinforced sectional gutter
KR200323070Y1 (ko) 수로용 블록의 연결구조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272596Y1 (ko) 조립식 암거블럭
KR20140136687A (ko) 조립식 하수관
KR100281458B1 (ko) 조립식 암거
KR200398132Y1 (ko) 배수로용 블록
JP4596177B2 (ja) 路面用水路施設の形成方法及びその中継用水路ブロック、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100465463B1 (ko) 피씨 침수옹벽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KR200236765Y1 (ko) 조립식암거
KR200193603Y1 (ko) 암거설비
KR200275109Y1 (ko) 조립식암거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226490Y1 (ko) 조립식 라이닝
KR200341897Y1 (ko) 피씨 침수옹벽
KR200435838Y1 (ko) 도수로용 측구
KR100468227B1 (ko)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KR200281596Y1 (ko) 조립식 배수플륨
AU2003203407B2 (en) A Framing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Curved Block Walls, And An Interconnecting Web Member Therefor
JP5002785B2 (ja) 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100201490B1 (ko) 조립식 암거 및 조립식 암거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