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227B1 -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 Google Patents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227B1
KR100468227B1 KR10-2004-0027598A KR20040027598A KR100468227B1 KR 100468227 B1 KR100468227 B1 KR 100468227B1 KR 20040027598 A KR20040027598 A KR 20040027598A KR 100468227 B1 KR100468227 B1 KR 10046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side wall
channel
block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265A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2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50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수로의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할 정도로 깊고 대형인 구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부면 상에 탈출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대형인 수로에 빠졌을 때 빠진 사람 스스로가 탈출용 홈을 통해 수로를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농수로나 한천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 및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농수로, 한천수로, 도로측부 배수로 혹은 산비탈 배수로를 정비할 목적으로 시공되는 수로용 블럭에 있어서,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하나 이상 형성되어 사람이 수로 상에 빠졌을 때 이를 통해 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용 홈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Watercourse retaining wall of precast concrete having escape means}
본 발명은 탈출수단을 갖는 용·배수로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농수로나 한천수의 원활한 배수 및 개선을 위한 한천수로 등에 시공되어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에 탈출수단을 형성하여 사람이 물이 흐르는 수로에 빠졌을 때 탈출이 가능하도록 한 탈출수단을 갖는 용·배수로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라 함은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한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로는 농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수로와 한천수의 원활한 배수 및 개선을 위한 한천수로 등의 다양한 개수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는 현장에서 거푸집을 짠 후 콘크리트로 직접 타설하여 시공하는 형태와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미리 성형된 측벽블럭을 시공하는 형태 및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미리 성형된 "U"자 형태의 개수로형 블럭을 시공하는 형태 등이 사용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로의 시공형태 중에서 거푸집을 통한 현장 타설의 경우에는 많은 시공기간 및 인력이 투입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시공비의 상승 및 균열에 의한 여러 가지 재보수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현재는 거푸집을 통한 현장 타설로 수로를 시공하는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바닥체와 측벽체가 공장 등에서 이미 일체로 성형되어 농수로나 한천수로 등의 현장에서 시공되는 측벽블럭이나 "U"자 형태의 개수로형 블럭이 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수로용 블럭 중에서 측벽블럭은 수로의 양측에 연결 설치한 후 바닥을 콘크리트로 현장 타설하는 형태로 시공되고, 개수로형 블럭은 수로의 전후로 연결한 상태에서 전후의 두 블럭을 연결 고정시키는 형태로 시공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농수로나 한천수로 등은 많은 양의 물을 흘려보내야 하기 때문에 그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하는 대체적으로 2m 이상이 될 정도로 매우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로의 깊이를 2m 이상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측벽체 높이를 2m 이상으로 성형한 수로용 블럭을 사용하여 수로를 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수로용 블럭으로 시공한 수로는 그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하는 깊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이 수로에 빠졌을 때 빠진 사람 스스로 수로를 벗어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에 수로에 빠졌을 때 빠진 사람 스스로 수로를 탈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로의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할 정도로 깊고 대형인 구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부면 상에 탈출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대형인 수로에 빠졌을 때 빠진 사람 스스로가 탈출용 홈을 통해 수로를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한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수로의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할 정도로 깊고 대형인 구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부면 상에 탈출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후의 보다 안전한 구조의 수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1 실시예로써 배수로용 블럭을 보인 전후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을 통해 형성된 수로에빠진 사람이 탈출용 홈을 통해 수로를 벗어나는 것을 보인 적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2 실시예로써 용수로용 블럭을 보인 전후면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3 실시예로써 측벽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수로용 블럭 110, 210, 310. 바닥체
120, 220, 320. 측벽체 130, 230, 330. 보강리브
140, 240, 340. 탈출용 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농수로나 한천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 및 상기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농수로, 한천수로, 도로측부 배수로 혹은 산비탈 배수로를 정비하되, 상기 전후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수로용 블럭의 연결위치를 결정 및 고정하도록 상기 바닥체 전후의 상·하부 연결단턱에 상호 대응하여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형태의 경사구조가 형성된 암수의 위치고정돌기와 위치고정홈;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과 바닥체의 상부면이 이루는 사이의 전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체를 보강하되, 상기 보강리브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한편, 외측 방향에서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체에 대하여 상기 측벽체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보강리브; 및 상기 수로용 블럭을 전후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삽입 체결하여 체결너트와의 조임을 통해 연결된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 전후로 형성된 상기 보강리브 각각에 전후의 외측방향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 으로 이루어진 수로용 블럭에 있어서,상기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측면 일정 높이에는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탈출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로 상에 빠졌을 때 이를 통해 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1 실시예로써 배수로용 블럭을 보인 전후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을 통해 형성된 수로에빠진 사람이 탈출용 홈을 통해 수로를 벗어나는 것을 보인 적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탈출수단이 적용된 용수로용으로써의 수로용 블럭(100)을 보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100)은 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110), 바닥체(110)의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120), 측벽체(120)의 외측면과 바닥체(110)의 상부면이 이루는 사이의 전후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벽체(1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30)로 이루어진 구성은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200)은 바닥체(110)와측벽체(120) 및 보강리브(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로용 블럭의 측벽체(120)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탈출용 홈(140)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구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을 전후로 연결하여 수로를 시공하는 경우 전후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수로용 블럭(100)의 연결위치를 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체(110) 전후에 형성되는 연결단턱(114)과 전후의 연결단턱(114)에 상호 대응하여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는 암수의 위치고정홈(114a)과 위치고정돌기(114b)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체(110)의 전후에 형성되는 위치고정홈(114a)과 위치고정돌기(114b)은 이미 시공 완료된 수로용 블럭(100)의 후단에 다른 수로용 블럭(100)을 연결 시공시 연결 시공되는 다른 수로용 블럭(100)의 선단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114b) 하단의 협소한 부분이 이미 시공된 수로용 블럭(100)의 후단에 형성된 위치고정홈(114a)의 넓은 상부측의 경사면에 닿게 되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안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고정홈(114a)과 위치고정돌기(114b)를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위치고정돌기와 위치고정홈(114a)의 형성을 통해 수로용 블럭(100)의 시공시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100)이 어느 정도 일치된 상태에서 결합시키게 되면 위치고정돌기(114b)가 위치고정홈(114a)에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수로용블럭(100)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측벽체(1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30)의 형태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갈수록 점점 넓어지고, 외측 방향에서 측벽체(120)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체(110)에 대하여 측벽체(12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로용 블럭(100)은 측벽체(120)의 높이가 2m 이상이 될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측벽체(120)의 높이에 따라 알맞은 갯 수의 탈출용 홈(140)이 상하로 형성된다. 즉, 측벽체(120)의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출용 홈(140)은 측벽체(120)의 높이에 따라 내측면 중간 부분에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체(120)의 높이에 따라 그 내측면 중간 부분에 일정 깊이의 탈출용 홈(140)을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용 블럭(100)의 시공에 따라 형성되는 수로에 사람이 빠졌을 경우 수로에 빠진 사람이 스스로 측벽체(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탈출용 홈(140)을 잡아 발로 디디고 서서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보강리브(130) 상에 형성되는 체결공(132)은 보강리브(130)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방측의 보강리브(130)에 형성되는 체결공(132)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후방측 보강리브(130)에 형성되는 체결공(132)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체결공(132)은 이웃하는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100)을 연결 시공시 후방측의 수로용 블럭(100)의 전방측 보강리브(130)와 전방측 수로용 블럭(100)의 후방측 보강리브(130)가 면접촉됨으로써 전후의 두 체결공(132)이 마주하여 중간 부분이 확장된 구조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100)을 연결 시공시 후방측의 수로용 블럭(100)의 전방측 보강리브(130)와 전방측 수로용 블럭(100)의 후방측 보강리브(130)가 면접촉됨으로써 중간 부분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두 체결공(132)으로 체결볼트(150)를 삽입 체결시 체결공(132)의 좁은 통해 삽입되는 체결볼트(150)의 선단은 타측 체결공(132) 내부의 확장된 곳을 통해 좁은 곳으로 안내되어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볼트(150)와 체결너트(152)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이웃하는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100)을 연결 시공시 후방측 수로용 블럭(100)의 전방측 보강리브(130)와 전방측 수로용 블럭(100)의 후방측 보강리브(130)가 면접촉됨으로써 중간 부분이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공(132)은 전후의 체결공(132)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어느 정도 틀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체결볼트(150)의 삽입 체결이 용이하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2 실시예로써 용수로용 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탈출수단이 적용된 수로용 블럭(200) 역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의 수로용블럭(100)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이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과 다른 점은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은 용수로용으로써의 수로용 블럭인 반면,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은 배수로용으로써의 수로용 블럭(200)이 다른 점이다.
즉,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은 다수의 침수공(212)이 형성되어 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210), 바닥체(210)의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다수의 통수공(222)이 형성된 측벽체(220), 측벽체(220)의 외측면과 바닥체(210)의 상부면이 이루는 사이의 전후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벽체(2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230) 및 측벽체(220)의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탈출용 홈(2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 예의 수로용 블럭(100)과의 차이점에 있어 수로를 흐르는 물이 땅 속으로 침수되도록 하거나 땅 속의 물이 수로의 내부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하는 침수공(212)과 통수공(222)이 형성되는 구성이 다르다. 통상적으로, 침수공(212)과 통수공(222)이 형성된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수로용 블럭(200)은 배수로용으로써 사용되고, 침수공과 통수공이 형성되지 않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수로용 블럭(100)은 용수로용으로써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로용 블럭(200)은 측벽체(220)의 높이가 2m 이상이 될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측벽체(220)의 높이에 따라 알맞은 갯 수의 탈출용 홈(240)이 상하로 형성된다. 즉, 측벽체(220)의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출용 홈(240)은 측벽체(220)의 높이에 따라 내측면 중간 부분에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수로용 블럭(200) 역시도 본 발명의 수로용 블럭(200)을 전후로 연결하여 수로를 시공하는 경우 전후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수로용 블럭(200)의 연결위치를 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바닥체(210) 전후에 형성되는 연결단턱(214)과 전후의 연결단턱(214)에 상호 대응하여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의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는 암수의 위치고정홈(214a)과 위치고정돌기(214b)가 구비된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측벽체(2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230)의 형태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갈수록 점점 넓어지고, 외측 방향에서 측벽체(220)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체(210)에 대하여 측벽체(22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체(220)의 높이에 따라 그 내측면 중간 부분에 일정 깊이의 탈출용 홈(240)을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수로용 블럭(200)의 시공에 따라 형성되는 수로에 사람이 빠졌을 경우 수로에 빠진 사람이 스스로 측벽체(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탈출용 홈(240)을 잡아 발로 디디고 서서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의 보강리브(230) 상에 형성된 체결공(232)과 체결공(232)을 통해 시공되는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200)을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볼트(250)와 체결너트(25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체결공(132), 체결볼트(150)와 체결너트(15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의 제 3 실시예로써 측벽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시공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예의 수로용 블럭(300) 역시도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 및 도 4 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 200)과 마찬가지로 측벽체(320)의 내측면 상에 탈출용 홈(34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수로에 빠진 사람이 탈출용 홈(340)을 발로 디디고 서서 수로를 스스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 6 및 도 7 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이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 및 도 4 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 200)과 다른점은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 및 도 4 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100, 200)이 "U" 형태의 개수로형 구조의 블럭인 반면, 도 6 및 도 7 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은 수로의 양측에 연결 설치한 후 바닥을 콘크리트로 현장 타설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구조의 측벽블럭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도 6 및 도 7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은 다수의침수공(312)이 형성되어 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310), 바닥체(3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다수의 통수공(322)이 형성된 측벽체(320), 측벽체(320)의 외측면과 바닥체(310)의 상부면이 이루는 사이의 전후에 일체로 형성되어 측벽체(320)를 보강하는 보강리브(330) 및 측벽체(320)의 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탈출용 홈(3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6 및 도 7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이 용수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침수공(312)과 통수공(322)의 구성이 없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 6 및 도 7 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은 측벽체(320)가 바닥체(310)의 일측에만 일체로 성형되어 수로의 양측에 설치된 후 바닥을 콘크리트를 통해 현장 타설하여 양측의 두 수로용 블럭(300)을 연결 시공하게 된다.
물론,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로용 블럭(300)에 형성된 침수공(312)과 통수공(322)의 기능은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의 침수공(212)과 통수공(222)과 동일한 기능을 하고, 보강리브(330)의 구성이나 연결단턱(314), 위치고정홈(314a) 및 위치고정돌기(314b)의 형성 및 기능이 도 4 및 도 5 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200)의 것과 동일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로용 블럭(300) 역시 측벽체(320)의 높이가 2m 이상이 될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측벽체(320)의 높이에 따라 알맞은 갯 수의 탈출용 홈(340)이 상하로 형성된다. 즉, 측벽체(320)의내측면 일정 높이에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출용 홈(340)은 측벽체(320)의 높이에 따라 내측면 중간 부분에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체(320)의 높이에 따라 그 내측면 중간 부분에 일정 깊이의 탈출용 홈(340)을 하나 또는 상하로 두 개 이상 형성함으로써 수로용 블럭(300)의 시공에 따라 형성되는 수로에 사람이 빠졌을 경우 수로에 빠진 사람이 스스로 측벽체(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탈출용 홈(340)을 잡아 발로 디디고 서서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 의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블럭(300)의 보강리브(330) 상에 형성된 체결공(332)과 이 체결공(332)을 통해 시공되는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300)을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볼트(350)와 체결너트(35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체결공(132, 232), 체결볼트(150, 250)와 체결너트(152, 252)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수로용 블럭(100, 200, 300)의 측벽체(120, 220, 320) 내측면 일정 높이에 하나 이상의 탈출용 홈(140, 240, 340)을 형성함으로써 수로에 사람이 빠졌을 때 탈출용 홈(140, 240, 340)을 통해 발을 디디고 설 수 있기 때문에 빠진 사람 스스로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의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할 정도로 깊고 대형인 구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부면 상에 탈출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대형인 수로에 빠졌을 때 빠진 사람 스스로가 탈출용 홈을 통해 수로를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로의 깊이가 일반 사람들의 키를 훨씬 상회할 정도로 깊고 대형인 구조의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부면 상에 탈출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후의 보다 안전한 구조의 수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농수로나 한천수로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 및 상기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가 일체로 성형되어 농수로, 한천수로, 도로측부 배수로 혹은 산비탈 배수로를 정비하되, 상기 전후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수로용 블럭의 연결위치를 결정 및 고정하도록 상기 바닥체 전후의 상·하부 연결단턱에 상호 대응하여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형태의 경사구조가 형성된 암수의 위치고정돌기와 위치고정홈;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과 바닥체의 상부면이 이루는 사이의 전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체를 보강하되, 상기 보강리브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한편, 외측 방향에서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체에 대하여 상기 측벽체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보강리브; 및 상기 수로용 블럭을 전후로 연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삽입 체결하여 체결너트와의 조임을 통해 연결된 전후의 두 수로용 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벽체의 외측면 전후로 형성된 상기 보강리브 각각에 전후의 외측방향으로 점점 확장되는 구조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 으로 이루어진 수로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수로용 블럭의 측벽체 내측면 일정 높이에는 발로 디디고 설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탈출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로 상에 빠졌을 때 이를 통해 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27598A 2004-04-21 2004-04-21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KR10046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598A KR100468227B1 (ko) 2004-04-21 2004-04-21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598A KR100468227B1 (ko) 2004-04-21 2004-04-21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265A KR20040039265A (ko) 2004-05-10
KR100468227B1 true KR100468227B1 (ko) 2005-01-26

Family

ID=3733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598A KR100468227B1 (ko) 2004-04-21 2004-04-21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64B1 (ko) * 2009-03-02 2011-12-20 (주)원전기업 배수로 블럭 성형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664B1 (ko) * 2009-03-02 2011-12-20 (주)원전기업 배수로 블럭 성형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265A (ko)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4664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5424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설치구조
KR20039979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468227B1 (ko) 탈출수단을 갖는 수로용 블럭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187682B1 (ko) 우수 저류조
KR20060060639A (ko) 친환경 수로블록
KR100465463B1 (ko) 피씨 침수옹벽
KR200341897Y1 (ko) 피씨 침수옹벽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1957455B1 (ko) Pc 래버린스 위어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KR100575134B1 (ko) 하수도관 맨홀 개량구조
KR200330081Y1 (ko) 조립식 수로관
KR200494078Y1 (ko) 무소음 트렌치
KR102194853B1 (ko) 생태통로부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수로 구조물
KR200259042Y1 (ko) 편두께 측부 수로
KR102194854B1 (ko)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JP2008163708A (ja) 路面用水路施設の形成方法及びその中継用水路ブロック、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102105819B1 (ko) 배수 기능을 가진 조립식 계단 블록
KR100284674B1 (ko) 철근콘크리트 수로관
KR200244462Y1 (ko) 피씨호안의 구조
KR940006801Y1 (ko) 합성수지 배수로관
JP5002785B2 (ja) 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20200001174U (ko) 선형으로 축조할 수 있는 축대 축조용 조립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