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19Y1 -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19Y1
KR200322519Y1 KR20-2003-0015548U KR20030015548U KR200322519Y1 KR 200322519 Y1 KR200322519 Y1 KR 200322519Y1 KR 20030015548 U KR20030015548 U KR 20030015548U KR 200322519 Y1 KR200322519 Y1 KR 200322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usic
plate
support plate
music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국원
Original Assignee
윤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원 filed Critical 윤국원
Priority to KR20-2003-0015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보대의 지주와 악보받침판을 용이하게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악보받침판의 각도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하고, 또한 그 구성을 간단히하여 조립성 및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지지다리에 지주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주의 상단에는 악보받침판이 설치되는 악보대에 있어서, 상기 악보받침판(30)의 하부에 체결고정되는 연결판(41)과; 상기 연결판(41)의 하부 양측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의 체결공간에 지주(20)가 삽입되어 회전축(45)으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42)(43)과; 상기 고정판(42)(43)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관통되게 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46)과; 상기 가이드공(46)을 통하여 고정보울트(47) 및 고정너트(48)로서 지주(20)상에 체결고정토록 연결부재(40)를 갖추어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score supporting board in music stand}
본 고안은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보대의 지주와 악보받침판을 용이하게 연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악보받침판의 각도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하고, 또한 그 구성을 간단히하여 조립성 및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일정크기로 이루어지는 한 장 또는 그 이상의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게 되고, 이러한 악보는 악보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악보대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겠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악보대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도면의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첩이 가능하고 지면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는 삼발이 형태의 지지다리(10)와, 이 지지다리(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일정크기의 악보가 올려지는 악보받침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악보받침판(30)은 악보가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도록 판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 개의 금속편들이 절첩가능토록 조립구성되고, 이는 지주(20)의 상단과 별도의 브라켓트 등에 의한 각도조절수단으로 연결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종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상세히 보는 바와 같이 절첩가능한 악보받침판(30)의 후방에 브라켓트(1)가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트(1)의 일측에는 지주(20)의 상단부가 힌지축(2)으로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토록 구성된다.
또, 상기 브라켓트(1)의 타측에는 장공(3)을 가지는 지지편(4)이 또다른 제2힌지축(5)으로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을 회전가능토록 구성되고, 지지편(4)의 장공(3)을 통하여서는 나비보울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보울트(6)가 지주(20)에 나사조립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보울트(6)를 풀어서 지지편(4)의 장공(3)을 따라 그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악보받침판(30)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별도의 브라켓트(1)를 악보받침판(30)에 레벳팅,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트(1)상에 지주(20)의 끝단과 지지편(4)을 각각 축결합하여야만 하는 등 그 구조성 및 조립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부품수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개의 힌지축(2)(5) 및 조절보울트(6)로 인한 다수의 힌지점에 의한 각도조절방식임으로써 각도조절에 따른 사용성이 좋지 못하고, 외관도 투박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에 체결되는 악보받침판을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도 손쉽게 연결조립할 수 있고 각도조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선된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본 고안은 지주의 상단와 악보받침판의 하부를 하나의 연결부재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악보받침판의 회전방향을 따라 반원형의 가이드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의 가이드공을 통해 고정보울트를 지주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악보받침판의 연결과 아울러 그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악보대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1의 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3의 측면도
도 5는 도3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4의 확대구성도
도 7은 도6의 작동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악보대 10:지지다리
20:지주 30:악보받침판
31:수직편 32,33:수평편
34:연결편 40:연결부재
41:연결판 42,43:고정판
44:체결핀 45:회전축
46:가이드공 47:고정보울트
48:고정너트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악보대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악보대(100)는 절첩이 가능한 지지다리(10)와, 지지다리(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길이를 다단으로 가변할 수 있는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절첩이 가능한 악보받침판(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악보받침판(30)은 절첩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 즉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편(31)과, 이 수직편(31)의 하부에서 좌,우에 축결합되어 절첩이 가능한 좌,우 수평편(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편(31) 및 수평편(32)(33)의 사이에는 다수 개의 연결편(34)들이 축결합되어 최소의 부피로 접거나 또는 악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최대의 크기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주(20)와 악보받침판(30)을 연결조립하면서도 악보받침판(3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5 내지 도8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40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판(41)과, 이 연결판(41)의 하부 양측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판(42)(43)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41)은 상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끝단에 악보받침판(30)의 각 단위 부품들과 축결합된다.
즉, 상기 악보받침판(30)의 수직 및 수평편(31)(32)(33)이 축결합되는 지점에 체결핀(44)으로 각각 연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악보받침판(30)이 절첩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2)(43)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연결판(41)으로 부터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지주(20)가 삽입체결되는 체결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 고정판(42)(43)의 중심부에는 회전축(45)이 체결되어 체결공간내로 삽입되는 지주(20)의 끝단부와 축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을 회전가능하게 되고, 고정판(42)(43)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좌,우 관통되는 반원형의 가이드공(46)이 각각 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46)에는 지주(20)와 관통되게 고정보울트(47)가 체결되고, 이의 고정보울트(47)에는 고정너트(48)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는 악보대(100)의 지주(20)와 악보받침판(30)을 조립연결하면서도 악보받침판(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40)의 체결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고정판(42)(43)의 사이에 지주(20)가 삽입되어 회전축(45)으로 축결합되고, 이와 근접되는 지주(20)의 하부지점에는 양측 고정판(42)(43)의 가이드공(46)을 통해 관통되는 고정보울트(47)와 고정너트(48)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판(41)은 악보받침판(30)의 하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즉 악보받침판(30)의 수직편(31) 및 수평편(32)(33)이 조립되는 지점에 체결핀(44)으로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절첩식 악보받침판(30)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로서 절첩식이 아닌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여려 가지 악보받침판에도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악보대(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지지다리(10)를 펼침과 동시에 안테나식으로 이루어지는 지주(20)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고정보울트로 조여서 고정하고, 이어서 악보받침판(30)의 수직편(31) 및 수평편(32)(33), 그리고 연결편(34)들을 외측으로 펼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주(20)와 악보받침판(30)의 연결부분인 연결부재(40)를 통하여 그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즉 고정너트(48)를 고정보울트(47)로부터 풀어서 고정력을 해제한 다음, 악보받침판(30)을 원하는 각도만큼 기울려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악보받침판(30)과 연결판(41)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부재(40)는 그 중심의 회전축(45)을 지지점으로 지주(20)로부터 회전가능함으로써 악보받침판(30)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너트(48)를 다시 고정보울트(47)에 조여줌으로써 연결부재(40)의 양측 고정판(42)(43)이 지주(20)에 긴밀히 밀착되어 악보받침판(30)을 펼침과 동시에 그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악보대(100)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하여 접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악보받침판(30)의 수직편(31), 수평면(32)(33) 및 연결편(34)들을 접게 되면, 이들은 각 힌지점을 지지점으로 대략 일자형으로 모아져서 최소의 부피로 접혀지게 된다.
이어서 고정너트(48)를 약간 풀어서 고정력을 해제한 후 접혀진악보받침판(30)을 지주(20)측으로 간편하게 접고, 다시 지주(20)와 지지다리(10)를 전술한 역순으로 접어주면 악보대(100)는 최소의 부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악보대는 악보받침판의 각도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가 있고, 그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의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악보대의 지주와 악보받침판을 연결하는 기능과 더불어 각도조절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지지다리에 지주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지주의 상단에는 악보받침판이 설치되는 악보대에 있어서,
    상기 악보받침판(30)의 하부에 체결고정되는 연결판(41)과;
    상기 연결판(41)의 하부 양측에 직각으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의 체결공간에 지주(20)가 삽입되어 회전축(45)으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42)(43)과;
    상기 고정판(42)(43)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관통되게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46)과;
    상기 가이드공(46)을 통하여 고정보울트(47) 및 고정너트(48)로서 지주(20)상에 체결고정토록 연결부재(40)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KR20-2003-0015548U 2003-05-20 2003-05-20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KR200322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48U KR200322519Y1 (ko) 2003-05-20 2003-05-20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548U KR200322519Y1 (ko) 2003-05-20 2003-05-20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19Y1 true KR200322519Y1 (ko) 2003-08-06

Family

ID=4941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48U KR200322519Y1 (ko) 2003-05-20 2003-05-20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80Y1 (ko) 2010-02-26 2012-11-23 나원호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680Y1 (ko) 2010-02-26 2012-11-23 나원호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045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US7082643B2 (en) Hinge
JPH0516632Y2 (ko)
JP2002019621A (ja)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装置
US20040226903A1 (en) Rotatable and adjustable display shelf device
US7036781B1 (en) Connecting unit for the angle-adjustable connection of at least two loudspeaker enclosures, and correspondingly connected loudspeaker enclosures
GB2364347A (en)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furniture parts
WO2003035997A1 (fr) Jointeuse de rampe
KR200322519Y1 (ko) 악보대의 악보받침판 각도조절장치
JP4718998B2 (ja) 資料提示装置
US20070007423A1 (en)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US5479843A (en) Spin-lock musical instrument stand
JP2015083748A (ja) 蝶番及び音調パネル群
US20070215012A1 (en) Telescopic furniture
KR100714803B1 (ko) 이젤 기능을 갖는 책상
JP3314853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節装置
KR200322518Y1 (ko) 악보 고정클립
KR20050110965A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CN216486883U (zh) 一种音乐教学辅助设备
KR20040099839A (ko) 악보 고정클립
KR200299447Y1 (ko) 각도조절형 반사경 게시판
JPH0628020Y2 (ja) 携帯折り畳みテーブル
JP3317109B2 (ja) 譜面台装置
RU2288400C1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плея
GB2420353A (en) Adjustable flagpole se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